현대중국어의 보어 문제

 1  현대중국어의 보어 문제-1
 2  현대중국어의 보어 문제-2
 3  현대중국어의 보어 문제-3
 4  현대중국어의 보어 문제-4
 5  현대중국어의 보어 문제-5
 6  현대중국어의 보어 문제-6
 7  현대중국어의 보어 문제-7
 8  현대중국어의 보어 문제-8
 9  현대중국어의 보어 문제-9
 10  현대중국어의 보어 문제-10
 11  현대중국어의 보어 문제-11
 12  현대중국어의 보어 문제-12
 13  현대중국어의 보어 문제-13
 14  현대중국어의 보어 문제-14
 15  현대중국어의 보어 문제-15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현대중국어의 보어 문제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들어가며
2. 현대중국어의 보어
2.1 현상: 보어와 보충어
2.2 해석 원리: 동사는 한 개의 보충어를 가진다
2.3 원리의 위배?
3. 새로운 해석을 향하여
3.1 보충어인가 부가어인가
3.2 의미화용론적 원리
4. 나오며


본문내용
(18) 아 은 득[불]동 저개엄파. (=3)

이 예문도 Huang이 제시한 원리를 충실히 따른다. 하지만 이것 역시 [V+결과보어]와 마찬가지로 [V+가능보어]를 V0 범주로 가정하는 경우에 가능하다. 이 가정이 옳다면, 이 경우에도 동사가 목적어 NP라는 한 개의 보충어를 갖게 된다. [V+결과보어]와는 달리 [V+가능보어] 뒤에는 료1을 붙일 수 없으므로, 료1으로써 [V+가능보어]의 V0 범주 가능성을 증명할 수는 없다. 그러나 [V+[득/불]가능보어] 형태의 많은 수가 사전에 표제어로 등장한다는 사실은 [V+가능보어]의 어휘화-즉 V0화-를 방증한다고 할 수 있겠다.
넷째, 동량보어와 목적어가 공기하는 경우
(19) 아문명천요 연 량장 화극. (=4a)

위 예문도 Huang이 제시한 원리를 충실히 따른다. (19)가 이 원리를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V+동량보어+목적어]의 [동량보어+목적어]를 하나의 NP로 가정하여야 한다. 즉 양장을 준정어로 분석하여 화극를 수식하는 성분으로 이해한다면, 동사가 목적어 NP(즉 양장화극)라는 한 개의 보충어를 갖게 된다. 하지만 양장을 준정어로 분석한 것은 황정덕(1988)에서 “아개료타적완소.”의 타를 완소의 준정어로 간주한 사실에서 유추한 것이므로, 이 가정의 유효성은 좀더 궁구할 필요가 있겠다.
다섯째, 시량보어와 목적어가 공기하는 경우

(20) a. 타 매료 반천 (적)서. (=4b)
b. 타 매 서 매료 반천. (=4c)

이 예문도 Huang이 제시한 원리를 충실히 따른다. (20a)는 (19)와 마찬가지로 동사가 준정어를 포함하는 목적어 NP를 보충어로 갖고, (20b)는 동사가 각각 한 개의 보충어를 갖고 있다. 여기서 (20a) 역시 준정어와 관련이 있으므로 판단을 보류해 두도록 하겠다.
여섯째, 방향보어와 목적어가 공기하는 경우는 매우 복잡한 양상을 보이므로 차후의 논의로 남겨두기로 한다.
이상의 논의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첫째, 현대중국어의 보어를 지배-결속이론의 보충어로 재분석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
둘째, Huang에 따르면, 현대중국어의 동사는 동시에 한 개 이상의 보충어를 가질 수 없다.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