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경제] 한식의 세계화 진출

 1  [문화경제] 한식의 세계화 진출-1
 2  [문화경제] 한식의 세계화 진출-2
 3  [문화경제] 한식의 세계화 진출-3
 4  [문화경제] 한식의 세계화 진출-4
 5  [문화경제] 한식의 세계화 진출-5
 6  [문화경제] 한식의 세계화 진출-6
 7  [문화경제] 한식의 세계화 진출-7
 8  [문화경제] 한식의 세계화 진출-8
 9  [문화경제] 한식의 세계화 진출-9
 10  [문화경제] 한식의 세계화 진출-10
 11  [문화경제] 한식의 세계화 진출-11
 12  [문화경제] 한식의 세계화 진출-12
 13  [문화경제] 한식의 세계화 진출-13
 14  [문화경제] 한식의 세계화 진출-14
 15  [문화경제] 한식의 세계화 진출-15
 16  [문화경제] 한식의 세계화 진출-16
 17  [문화경제] 한식의 세계화 진출-17
 18  [문화경제] 한식의 세계화 진출-18
 19  [문화경제] 한식의 세계화 진출-19
 20  [문화경제] 한식의 세계화 진출-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문화경제] 한식의 세계화 진출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Part 1. 개요 -김의겸

Ⅰ. 외식산업의 개요
Ⅱ. 세계적인 트렌드변화
Ⅲ. 외식산업 소비자들의 트렌드변화

Part 2. 외국사례 -오두환

Ⅰ.외국외식산업
1.중국
2.일본
3.미국

Part 3. 한식의 세계화 진출 가능한가 - 신동섭 & 홍민영

Ⅰ. 한식의 우수성
Ⅱ.한식업계의 세계화 진출의 장애물
Ⅲ. 중국인의 시각으로 본 한식
Ⅳ. 한식의 세계화 진출의 기회

Part 3. 한식의 세계화 진출의 구체적인 방안 -홍민영

I. 대안제시 - 범정부적 차원의 대대적인 전략 수립
Ⅱ. 구체적인 실천방안

본문내용
3. 외식산업의 경제적효과
외식산업은 소득수준 형상과 여성들의 사회참여가 늘어나면서 성장성이 부각되는 산업이다. 외식산업은 부가가치가 높은 산업으로 고용창출효과가 클 뿐만 아니라 여타 문화 산업 등과 결합하여 국민경제의 질적인 수준을 향상시키는 산업이라고 할 수 있다.
국민총생산액(GDP)이 2002년말 기준으로 외식산업 40조5천억원, 식품제조 35조4천억원, 농업부문 24조원 등 모두 100조원이 넘는 거대산업이다. 식품제조가공산업의 경우 국내 제조업 GDP의 20%를 차지할 정도로 국가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 전자, 자동차, 화학, 기계 다음으로 규모가 큰 산업이다. 특히 외식산업의 경우 여성의 사회참여 확대와 주5일근무제 시행 등으로 큰 폭의 성장세를 보이고 있는 분야이다. 식품・외식산업은 150여만명의 고용창출 효과 등 사회적 관점에서 볼 때도 중요한 산업으로 꼽히고 있다. 최근에는 세계적으로 건강기능식품이 새로운 성장산업으로 부각되면서 엄청난 부가가치를 창출하고 있어 식품산업은 재래식 산업이 아니라 첨단 신성장 산업으로 인식되기까지 하고 있는 실정이다.
다시 말하면 외식산업이 발전함으로 해서 주부들의 경제활동이 가능해지고 이에 따라 국민경제의 잠재성장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여타 문화, 오락산업의 발전을 뒷받침하는 역할도 담당하고 있다. 외식업 자체의 고용효과도 크기 때문에 제조업의 비중이 줄어들고 있는 상황에서 고용증가에 일익을 담당하고 있다. 이러한 외식산업의 성장은 식생활의 외부화 서비스화로 이루어진 것이다. 식생활의 변화는 크게 고급화 다양화 간편화 건강 및 안전 지향 등으로 범주화하여 파악할 수 있는데, 한국의 경우 지배적인 흐름은 간편화 경향의 강화라고 할 수 있다. 간편화 지향이란 식사관련 가사노동의 절감(조리의 외부화)에 따라 일어나는 식생활 변화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경향이 외식의 증가를 수반하는 「식생활의 외부화」로 표출되고 있으며 이와 같은 소비패턴 변화는 食(최종소비)과 農(농업생산) 사이의 거리가 멀어지는 과정이다. 농가에서 생산된 농산물이 직접 소비자에 전달되는 것이 아니라, 식품제조업자, 유통업자, 외식사업자 등의 경제행위를 통해 '농산물-식재-조리품' 등 단계적으로 모습이 변화되어 최종소비되는 것이다. 이는 필연적으로 '食'과 '農' 사이에 많은 경제주체가 개입됨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 식품산업의 구성주체인 식품제조업 식료유통업 외식산업이 우리 나라 식료공급의 중요 담당자로 등장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외식산업이 세부산업 면에서 볼 때 농업에 미치는 영향도 큽이다. 대량구매, 계약구매 등을 통하여 농업의 안정성이 높아지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매출액(백만원)
사업체수(개)
종사자수(명)
1982
7,431,793
207,080
521,508
1986
10,603,201
259,451
708,905
1990
18,329,125
298,196
871,636
1996
31,394,502
520,576
1,254,367
1997
30,229,944
550,526
1,278,623
1998
27,256,435
543,030
1,220,200
1999
33,259,204
564,686
1,332,598
2000
35,472,249
570,576
1,430,476
2002
40,491,040
595,791
1,586,409
2003
44,263,494
605,614
1,594,789
2004
48,369,597
600,233
1,556,008
2006
50,892,342
546,504
1,450,469
자료: 통계청, 도소매업통계조사(2006)

년도
1990
1992
1995
1998
1999
2000
2001
2002
2003
2004
매출액
10.7
15.8
20.0
28.0
30.0
33.6
35.8
40.0
43.0
45.0

단위 : 조원
4. 외식산업과 문화
세계 각국의 ‘외식 전쟁’=‘음식에는 민족의 혼이 스며 있다’는 말이 있다. 음식을 수출한다는 것은 곧 문화를 수출한다는 의미다. 또한 문화는 한 국가의 이미지이다. 일본이 ‘기무치’로 김치 종주국인 한국의 위상을 위협하고 불고기를 ‘야키니쿠’로 바꿔 세계인을 공략한 데 주목해봤을 때 그만큼 음식은 문화이자 하나의 혼이다.
어떤 재료로 만든 어떤 음식을 먹느냐에 따라 사람의 성품이 달라진다고까지 한다. 나라마다 국민성이 다른 이유 중에는 음식문화가 다르기 때문이라는 것도 중요한 이유로 꼽히고 있다. 음식은 사회 구성원들이 언어와 같이 매일 접하고 사용하는 문화이기 때문에 영향력이 매우 크다고 볼 수 있다. 문화는 눈에 보이지 않게 서서히 사람들의 의식과 행동을 변화시키기 때문에 한번 새로운 조류로 형성된 문화를 되돌리는데도 그만큼 오랜 시간이 필요하다는 점에서 신중한 정책이 필요하다. 정치적 식민지보다 문화적 식민지가 더 무서운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또한 외식산업은 그 자체로서 문화이지만, 문화마케팅을 이용하여 문화경제발전에 큰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국민의 관심이 몸의 건강을 위한 ‘먹거리 웰빙’을 넘어서 고객의 건강한 생활을 위한‘문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