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20년대 후반 한국시

 1  1920년대 후반 한국시-1
 2  1920년대 후반 한국시-2
 3  1920년대 후반 한국시-3
 4  1920년대 후반 한국시-4
 5  1920년대 후반 한국시-5
 6  1920년대 후반 한국시-6
 7  1920년대 후반 한국시-7
 8  1920년대 후반 한국시-8
 9  1920년대 후반 한국시-9
 10  1920년대 후반 한국시-10
 11  1920년대 후반 한국시-11
 12  1920년대 후반 한국시-12
 13  1920년대 후반 한국시-13
 14  1920년대 후반 한국시-14
 15  1920년대 후반 한국시-15
 16  1920년대 후반 한국시-16
 17  1920년대 후반 한국시-17
 18  1920년대 후반 한국시-18
 19  1920년대 후반 한국시-19
 20  1920년대 후반 한국시-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1920년대 후반 한국시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1920년대 후반의 시대 상황
1. 일제의 문화 정치
2. 사회주의의 유입
3. 경제 수탈의 확대
4. 국내 민족 운동의 흐름

Ⅱ. 주요 시단의 개괄
1. 프로 계열 문학
1) 카프 문학
① 신(新)경향파 문학
② 카프 이전의 단계, 염군사와 파스큘라
③ 카프(KAPF) 문학의 전개
2) 주요 시인과 작품들
①박영희 ②김기진 ③임화 ④이상화 ⑤김창술 ⑥박팔양
⑦유완희 ⑧권환 ⑨박세영 ⑩김형원 ⑪조명희 ⑫김해강

2. 민족주의 계열 문학
1) 민요시
ⓛ 민요시의 등장배경
② 민요와 민요시의 구분
③ 주요시인과 작품들
㉠ 김억 ㉡ 주요한 ㉢ 김소월 ㉣ 김동환
2) 현대시조
①현대시조의 정의
② 현대 시조의 전개와 대표 작가ㆍ작품
㉠ 최남선 ㉡ 이광수 ㉢ 이은상 ㉣ 이병기
③ 시조부흥운동(時調復興運動)
㉠ 시조부흥운동의 전개
㉡ 시조부흥의 논쟁
㉢ 시조부흥운동의 의의와 한계
3) 김소월과 한용운에 대하여
① 김소월
② 한용운

3. 모더니즘 계열 문학
1) 모더니즘, 다다이즘, 이미지즘
① 모더니즘 ② 다다이즘 ③ 이미지즘

2) 한국문학에서의 모더니즘 수용과 전개
①모더니즘의 기점
② 모더니즘의 시인들
㉠ 정지용 ㉡ 이장희 ㉢ 김기림

Ⅲ. 교과서 속 작품들과 만나다

Ⅳ. 임용고시 기출문제

본문내용
1) 카프문학
① 신(新)경향파 문학

우리 시단에 현실주의적 문예 작품이 등장하기 시작한 것은 1920년대 초반부터이다. 3.1 운동 이후 급격하게 성장한 사회주의 사상의 영향으로 현실에 대한 관심이 확산되고 문학도 민족의 모순을 타개하는 데 기여해야 한다는 인식이 자리 잡게 됨에 따라 이러한 경향의 시들이 전개되기 시작했던 것이다. 송기한, 「1920-30년대 카프시의 전개양상」, 인문과학논문집 31. 2001. p. 3.
신경향파 문학은 한국에서 프롤레타리아 문학이 등장하기 전에 전개된 문학으로서, 아직 사회주의적 목적의식이 드러나지 않은 문학을 가리킨다. 신경향파라는 용어는 박영희의 「신경향파의 문학과 그 문단적 지위」(개벽, 1925. 12)라는 글에서 처음 사용되었다. 당시 사회주의 사상에 관심을 가졌던 사람들은 민족해방운동을 펼쳐보려는 목적으로 여러 단체를 결성하는 동시에 ㆍㆍ· · 등의 잡지를 발행하여 종래의 관념적ㆍ퇴폐적인 문학을 버리고 현실을 바탕으로 한 문학을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들 시는 어조 상의 낭만적 영탄조는 그대로 가지고 있는 경우가 많았지만 개인적 정서에서 그치는 것이 아닌, 사회적 공통적 기반에 대해 문제를 삼는다는 점에서 기존의 문단의 경향과 차별성을 드러내었다. 그러나 사회적 불평등과 억압의 원인을 사회구조적 관점에서 올바르게 형상화하지 못하고 현실에 대한 직접적인 폭로와 고발에 그친 한계를 지닌다. 그 결과 주인공의 행동이 주로 개인적인 복수나 본능적인 반항 · 살인 · 방화 · 자살 등으로 끝나고 있다.
하지만 신경향파 문학과 프롤레타리아문학(이하 프로 문학)은 그 성격에 약간의 차이가 있다. 일반적으로 경향시는 카프라는 조직이 결성되기 전에 쓰여진 현실주의적 경향의 시들을, 카프시는 조직을 기반으로 하여 쓰여진 시들을 일컫는다. 또한 1920년대 초반에 전개된 현실주의 시가 자연발생적인 것으로서 현실상에 대한 즉자적인 반영과 감정적 대응에서 그친 것이었다면, 1925년 염구사와 백조 후신인 파스큘라의 통합체로 탄생한 카프 결성 이후의 시들은 미래에 대한 낙관적인 비전과 함께 모호하나마 역사적 방향성을 담고 있다는 특징을 가진다고 볼 수 있겠다.
김성윤 김성윤, 「1920-30년대 경향시의 전개양상」, 연세대 대학원, 1988.
은 카프 결성 후 1927년의 목적의식기를 기점으로 하여 그 전은 신경향파시, 그 후를 프로시로 구분한다. 또한 신경향파시를 카프결성을 전후하여 전기 신경향파시와 후기 신경향파시로 나누고 카프시를 카프의 2차 방향 전환을 기점으로 목적의식시와 프로시와 볼세비키화 프로시로 구분한다. 이러한 구분은 현실주의시들의 사상적 변모 과정을 기준으로 하여 내린 것으로 이러한 구분을 통해 조직 내부의 변화까지 살펴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윤여탁 윤여탁, 「1920-30년대 리얼리즘시의 현실인식과 형상화 방법에 대한 연구」, 서울대 대학원, 1991.
은 경향시와 프로시의 구분에 주목하기보다 현실적 경향의 시들은 모두 리얼리즘시라는 하나의 범주 속에서 논하고 있다. 이러한 접근은 세부적인 창작 방법을 고찰할 것을 염두에 두는 것으로 문학 외부적 요인보다는 내재적인 관점을 중시한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있다. 그렇다면 먼저 다음장에서는 카프의 전신인 염군사와 파스큘라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다.
② 카프 이전의 단계, 염군사와 파스큘라

한국 문학사에서 계급주의 문학운동은 ‘염군사’와 ‘파스큘라’의 활동에서 시작되었다. 1922년 이적효(李赤曉), 이호(李浩), 김홍파(金紅波), 김두수(金斗洙), 최승일(崔承一), 심대섭(沈大燮), 김영팔(金永八), 박용대(朴容大) 등이 염군사(焰群社)를 조직하였다. 또한 김기진(金基鎭), 박영희(朴英熙), 이익상(李益相), 이상화(李相和), 안석주(安碩柱) 등이 파스큘라(PASKYULA)를 결성하여 무산자 계급 해방을 위한 문화 및 문학 운동을 주장하였다. 이승하, 위의 책 p. 62.

염군사는 1922년 9월에 발족한 프로문학 조직이다. 염군사 동인들은 그들의 문학 활동 일환으로 곧 발간을 시도했다. 그 가운데는 이적효, , 이호, , 박세영, 등이 포함되어 있었다고 한다. 일제의 규제, 간섭에 의해 이들 작품은 을 통해 발표되지는 못했다.
PASKYULA는 염군사보다 그 발족이 조금 뒤 늦었다. 이익상이나 김형원(金炯元)은 1920년대 초두부터 명백하게 경향적 색채를 띤 시와 소설을 발표했다. 또한 김복진(金復鎭)과 연학년(延鶴年) 등은 그 이전에 계급주의를 지향한 사회조직에 관계하고 있었다. 여기에 기폭 장치를 마련한 것이 동경 유학생 신분의 김기진이다. 그는 당시 일본에서 유포된 신흥사회과학에 빠져든 다음 특히 계급주의를 지향한 『씨뿌리는 사람』을 탐닉하게 되었다. 그리고는 그 정신적인 동조자를 찾아 나서서 먼저 배재고보의 동창생인 박영희, 이상화, 안석주 및 상기 네 사람을 더 가담시켜서 구성원들의 이름 두문자를 딴 PASKYULA를 발족시
참고문헌
맹문재, 「石松 金炯元 硏究」, 중앙대학교 대학원, 1996.
한성우, 「朴世永詩 硏究= 시집 와 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대학원, 1996.
『카프시인집』, 열린책들, 2004.
박세영, 『산제비:박세영 전집』,미래사, 1991.
이상화, 『이상화 전집: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 』,대구문인협회, 1998.
차한수, 「李相和 詩 硏究」,인하대학교 대학원, 1990.
이상화, 『石人像 : 李相和 詩選集 』,修書院, 1984.
임규찬, 한기형, 『카프시대의 회고와 문학사』, 太學社, 1990.
김창술, 권환, 임화, 박세영, 안막, 『카프 시인집』, 열린책들, 2004.
우정권, 『조명희와 선봉』, 역락, 2005.
정덕준, 『조명희』, 새미, 1999.
조명희, 『포석 조명희 전집: 민족문학의 선구자』,1995.
이동순, 황선열, 『깜박 잊어버린 그 이름: 권환 시전집』, 솔, 1998.
권은경, 「권환 시 연구」, 경남대학교, 1990.
황선열, 『아름다운 평등: 권환 전집』, 전망, 2002.
박경수, 『한국현대시의 정체성탐구 』, 국학자료원, 2000.
한국사특강편찬위원회, 『한국사 특강』,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5.
송기한, 「1920-30년대 카프시의 전개양상」, 인문과학논문집 31. 2001.
김성윤, 「1920-30년대 경향시의 전개양상」, 연세대 대학원, 1988.
윤여탁, 「1920-30년대 리얼리즘시의 현실인식과 형상화 방법에 대한 연구」, 서울대 대학원, 1991.
권영민, 『한국계급문학운동사』, 문예출판사. 1998.
김기진, 「단편서사시의 길로」, , 1929.5.
김재홍, 『카프시인비평』, 서울대학교 출판부, 1990.
편집부, 『한국문학대사전』, 고려출판사.
김윤식, 『박영희연구』, 열음사, 1989.
최두석, 『임화의시세계』.
양승준, 양승국, 『한국현대시400선 1권』, 태학사.
이승원, 『교과서 시 정본해설』, human&books, 2008.
김흥규, 『한국 현대시를 찾아서』,푸른나무, 2005.
『권한 시전집』, 솔, 2005.
한성우, 『박세영 시 연구』, 대광문화사, 2000.
조동일,『한국문학통사6』, 지식산업사.
박철희, 김시태, 『한국현대문학사』, 시문학사.
김용직, 『현대경향시 해석 비판』, 느티나무, 1991.
오세영, 「韓國浪漫主義詩硏究」, 일지사, 1980.
권영민, 『한국현대문학사 1』, 민음사. 2007.
조동구, 「안서 김억 연구 시론과 시의 변모과정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1989.
양승준․양승국, 『한국 현대시 400선 : 이해와 감상』, 태학사. 1996.
허금주, 「안서 김억 시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1992.
김우정, 「주요한론」, 《현대시학》, 1969, 4호.
『시가집』, 1929, 10.
유송재, 「주요한 시연구」,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1992.
권영민, 『한국현대문학사 1』, 민음사, 2007.
조성국, 「김동환 연구」. 서강대학교 대학원. 1984.
한춘섭, 박병순, 이태극 공저. 『한국시조큰사전』. 을지출판공사. 1985.
김연옥. 「이병기론」. 『한국시조작가론』. 국학자료원. 1999.
이혜순. 「시조부흥론」『한국문학사의 쟁점』. 장덕순 외. 집문당. 1989.
김제현. 『시조문학론』. 예전사 1999
권영민. 『한국현대문학비평사-자료2-』. 단대출판사 . 1981.
「시조는 부흥할 것인가」. 《신민》. 23호 1927.3.
《동아일보》. 1932.2.16.
조동일. 『한국문학통사5』 . 지식산업사 . 1998.
권영민.「사뿐히 즈려밟고 가시옵소서의 의미」. 1998.
김윤식.「한국 신문학에 나타난 Female-Complex에 대하여 :해방전까지의 시를 중심으로」. 제 9집 . 1970.
신동욱.「김소월의 시에 관한 연구」 . 1990.6.
이희중.「김소월 시의 율격 연구」. 1997.
김동리.『문학과 인간』. 민음사.1997.06.01.
김용직.『한국문학의 비평적 성찰』. 만음사. 1979.
권영민.「김소월의 산유화 - “저만치 혼자서 피어 있네”의 경우」. 1999.
이경교.「맺힘과 풀림의 美學」 . 1991.
전도현.「김소월의 현실지향적 시의식 연구」. 2001.
박혜숙.「김소월 시에서 不在의 님과 공간의식」. 1994
김은철.「개인적 체험과 공동체의식」. 1992.
오세영.『김소월, 그의 삶과 문학』. 서울대학교 출판부.2009.9.
이병문,「만해 한용운의 시연구」, 광주보건대학교 . 2000.
최규현,「한용운 시의 연구」, 서남대 교육대학원 . 2001.
박장훈,「한용운의 생애와 사상」, 경희대 교육대학원
이병문,「만해 한용운의 시연구」, 2001.
이기형.「모더니즘시론의 한국적 수용양상」. 1994.
박인기. 『한국현대시의 모더니즘 연구』. 단대출판부 . 1988.
조달곤. 『한국 모더니즘 시학의 지형도』. 국학자료원 . 2006.
이승훈. 『한국 모더니즘 시사』. 문예출판사 . 2000.
김유중. 『한국 모더니즘 문학과 그 주변』푸른 사상 . 2006.
오세영. 『20세기 한국시연구』. 새문사 . 1989.
김준오, 「한국모더니즘의 현단계」,『현대시사상 1 』, 고려원, 1988.
김기림, 「모더니즘의 역사적 깊이」, 김기림『시론』, 백양당, 1949.
이기형, 「모더니즘시론의 한국적 수용양상」. 1994.
文德守,『韓國모더니즘詩硏究』. 詩文學社 , 1981 ,
김용직, 『한국현대시요람』. 박영사, 1982 ,
유병석,「30년대 모더니즘의 특징」
김기림, ‘1933년 시단의 회고’, 『시론』, 백양당, 1947.
『정지용전집 1, 詩』, 민음사, 1988.
권영민,『정지용 詩 - 126편 다시 읽기,
김종길,「意味」, 『詩論』. 탐구당, 1965,
양왕용,『시와 문학 vol-No.13』. 1994 ,
박호영, 「카페․프란스」에 대한 해석의 방향
김병익, 『한국문단사 3쇄』 . 일지사 . 1976 .
사나다 히로코, 『최초의 모더니스트 정지용』. 역락출판사 . 2002.
김진송, 『서울에 딴스홀을 허하라』. 현실문화연구 . 1999 . pp.259-260
최미숙, 『한국 모더니즘시의 글쓰기 방식과 시 해석』. 소명출판사 . 2000 .
정지용의 시 2편과 학사논문 발굴, , 2002.9.30
정지용,『정지용전집 (상)』산문, 동지사 . 1949.
박용철, 「書信」, 『박용철전집』2 . 시문학사, 1939 ,
신용협, 「정지용론」, 『한국현대시연구』,새미 ,2001
홍기원, 「정지용 시 연구」
김학동. 「이장희의 시작활동」. 『현대시연구, 2』. 새문사.1995.
이승훈. 「1920년대 한국모더니즘시 연구」. 1996.
이형기. 「李章熙 論」. 1988.
이남호,「현실과 문학과 모더니즘」,『세계의 문학』1988.
모더니즘의 한국적 전개 = 문학평론가/서강대교수
양왕용. 「김기림의 생애와 문학세계」. 2008.12.19.
이승훈. 「1930년대 한국모더니즘시 연구(1)」. 1997.
18종 해법문학자습서
교과서정본해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