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음운] 자음체계에 대한 통시적 공시적 고찰

 1  [국어음운] 자음체계에 대한 통시적 공시적 고찰-1
 2  [국어음운] 자음체계에 대한 통시적 공시적 고찰-2
 3  [국어음운] 자음체계에 대한 통시적 공시적 고찰-3
 4  [국어음운] 자음체계에 대한 통시적 공시적 고찰-4
 5  [국어음운] 자음체계에 대한 통시적 공시적 고찰-5
 6  [국어음운] 자음체계에 대한 통시적 공시적 고찰-6
 7  [국어음운] 자음체계에 대한 통시적 공시적 고찰-7
 8  [국어음운] 자음체계에 대한 통시적 공시적 고찰-8
 9  [국어음운] 자음체계에 대한 통시적 공시적 고찰-9
 10  [국어음운] 자음체계에 대한 통시적 공시적 고찰-10
 11  [국어음운] 자음체계에 대한 통시적 공시적 고찰-11
 12  [국어음운] 자음체계에 대한 통시적 공시적 고찰-12
 13  [국어음운] 자음체계에 대한 통시적 공시적 고찰-13
 14  [국어음운] 자음체계에 대한 통시적 공시적 고찰-14
 15  [국어음운] 자음체계에 대한 통시적 공시적 고찰-15
 16  [국어음운] 자음체계에 대한 통시적 공시적 고찰-16
 17  [국어음운] 자음체계에 대한 통시적 공시적 고찰-17
 18  [국어음운] 자음체계에 대한 통시적 공시적 고찰-18
 19  [국어음운] 자음체계에 대한 통시적 공시적 고찰-19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국어음운] 자음체계에 대한 통시적 공시적 고찰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고대국어의 자음체계

Ⅱ. 중세전기 국어 자음체계

1. 된소리

2.어두자음군

3.유성마찰음

4.파찰음

5.음절말 자음

6.합성어의 ‘ㄹ’탈락

Ⅲ. 훈민정음 체계

1. 초성(初聲)

2. 중성 (中聲)

3. 종성 (終聲)

4. 합자

5. 방점

Ⅳ. 후기 중세국어의 자음체계

1. 유성마찰음의 존재

1). ‘ㅸ’

1-2) ‘ㅸ’이 나타나는 환경

1-3) ‘ㅸ’의 변화

2) ‘ㅿ’

2-1) ‘ㅿ’의 음가

2-2) ‘ㅿ’이 나타나는 환경

2-3) 'ㅿ‘의 변화

3) ‘ㅇ’

3-1) ‘ㅇ’의 두 종류

3-2) ‘ㅇ’의 음가

3-3) ‘ㅇ’이 나타나는 환경

3-4) ‘ㅇ’의 변화

2. 후기 중세국어의 된소리

3. 후기 중세국어의 자음체계

Ⅴ. 근대 국어의 자음체계

Ⅵ. 현대 국어의 자음 체계

1. 현대 국어의 시기

2. 현대 국어의 음운체계

3. 현대 국어의 자음체계



1.평남 개천 방언

2. 경북 의성 방언

3. 중국 연변 방언


4. 강경 지역 방언

5. 충남 청양 방언

본문내용
Ⅱ. 중세전기 국어 자음체계

1. 된소리
된소리 계열의 등장이 중세어의 자음체계 중 가장 큰 특징이다. 안타깝게도 중세 전기 자료에는 어두 된소리의 명확한 증거가 나타나있지 않지만, 이것은 중세전기 때 등장되었다고 추측된다. 그 근거는 고대국어의 된소리흔적에서 찾을 수 있다. 고대국어에서는 속격조사 叱 (ㅅ)이나 동명사어미 尸(ㄹ) 뒤에 오는 단어의 첫소리 'ㅂ,ㄷ,ㅅ,ㅈ,ㄱ' 이 된소리로 발음되었다고 추측되어진다. 중세전기 때 이 된소리가 어두에 나타남으로써 자음체계 속에 확고히 자리 잡게 된 것이라 추정 된다. 후기 중세어 자료에는 이것이 광범위하게 사용되었음이 확인된다. 따라서 고대국어의 제한된 환경에서 된소리로 발음되던 것이 중세 전기 때 어두에 나타나는 과정이 있었고 이것이 중세 후기 때 널리 사용되었다고 보인다.

2.어두자음군
중세후기에는 어두자음군이 존재하지만 중세전기의 자료 에서는 어두자음군이 아직 형성되지 않았다. 다만, 15c의 자료에 어두자음군이 존재하는 것으로 보아 중세전기국어 때 어두자음군이 생성되는 과정이 있었다고 보인다. 의 “白米日漢菩薩” “栗日田菩薩” 의 살은 15c 의 ‘’ (米 ) 과 대응하는 것으로 보이는데, 중세 전기 때에는 ㅂ,ㅅ 사이에 모음이 있는 2음절어였으나 제1음절 모음의 탈락으로 어두자음군이 있는 1음절‘’이 된 것임을 알 수 있다. 그런데 의 “女兒日寶妲” 의 ‘’ 역시 앞에서 살펴본 ‘>’ 과 동일한 모음의 탈락을 경험한 듯이 보이는데, 15c문헌에는 ‘’로 나타나지 않고, ‘’로 나타난다. 이는 ‘’이 ‘’의 단계를 거쳐 15c에 ‘’이 되었다고 볼 수밖에 없다.


3.유성마찰음

반치음은 중세전기이전부터 내려와서 13c이후에 s>z의 음가 변화를 거친 후 후기 중세국어에도 나타난다. 중세 전기 때 음가변화에 관련된 예 ,
참고문헌
 국어 음운사 연구 (도수희)
 중세 국어 문법론 (안병희)
 중세 국어 자음연구 (박창원)
 근대국어 연구(1) (홍윤표, 태학사, 1994)
 국어사개설 (이기문. 태학사. 2000)
 국어음운사연구 (이기문. 국어학회. 1997)
 국어음운학 (허웅)
 우리말발달사 (김형주)
 국어학 ․ 언어학 용어 (이은정)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