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교육사] 조선시대의 교육

 1  [한국교육사] 조선시대의 교육-1
 2  [한국교육사] 조선시대의 교육-2
 3  [한국교육사] 조선시대의 교육-3
 4  [한국교육사] 조선시대의 교육-4
 5  [한국교육사] 조선시대의 교육-5
 6  [한국교육사] 조선시대의 교육-6
 7  [한국교육사] 조선시대의 교육-7
 8  [한국교육사] 조선시대의 교육-8
 9  [한국교육사] 조선시대의 교육-9
 10  [한국교육사] 조선시대의 교육-10
 11  [한국교육사] 조선시대의 교육-11
 12  [한국교육사] 조선시대의 교육-12
 13  [한국교육사] 조선시대의 교육-13
 14  [한국교육사] 조선시대의 교육-14
 15  [한국교육사] 조선시대의 교육-15
 16  [한국교육사] 조선시대의 교육-16
 17  [한국교육사] 조선시대의 교육-17
 18  [한국교육사] 조선시대의 교육-18
 19  [한국교육사] 조선시대의 교육-19
 20  [한국교육사] 조선시대의 교육-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국교육사] 조선시대의 교육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서론

본론1 사회적배경
본론2 교육기관
관학-성균관/4학/향교
사학-서원/서당
본론3 교육제도-과거제

결론 : 교육사적 의의

참고문헌
도판목록

본문내용
성리학적 국가기반

조선은 고려말의 부정성과 새 왕조 건설의 정당성을 마련하기 위한 정책 채택으로 친명외교, 억불숭유 (억불숭유: 고려 말의 폐단과 정도전을 비롯한 유신세력의 규합), 사전개혁을 행했다. 도읍을 한양으로 옮기고 군제를 개혁하고, 정비도첩제( 度牒:중이 되는 증명서)(사대외교: 명의 대외적인 보증을 통하여 왕권에 대한 권위를 확보하려는 외교정책은 조선의 일부 지식층에 사대사상을 심어주어 고질적인 폐단을 낳음)를 실시했으며 성균관과 향교를 일으켜 유학을 장려했다. 우리나라의 온 역사를 통틀어 가장 엄격한 신분적 계급 질서를 유지했으며 여러 번에 걸쳐 신분제는 정치적 사회적 혼란의 한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런 계급질서 속에서 교육은 과거를 통한 입신출세를 위한 주된 수단이 되었으며 조선의 교육은 지나치게 유학(성리학)만을 숭상하여 과학 기술의 발달이나 생산기술의 향상을 제약하는 결과를 초래한다. 조선의 학문적 수준은 매우 높았으며 특히 학문과 예의를 숭상하고 교육을 중시하는 전통을 형성한다. 임진왜란 이후 청나라의 고증학의 영향과 서양 문물의 전래와 일부 지식인의 반성으로 인하여 실용적이고 실증적인 학문을 추구하는 실학 운동이 일어나 근대화 기반이 되었으며 개화사상으로 연결 교육 근대화의 사상적 맥을 잇게 한다.
조선 교육의 중심인 성리학의 교육철학은 상호일치인 성인을 중시했고 세상의 고저원리 강조로 위계질서를 신성화했다. 성리학의 전래와 그 영향을 살펴보면 도덕적 실천의 중시, 위기지학의 강조, 4서와 경학의 중시, 유교적 예속 강조를 들 수 있다.
성리학의 영향으로 관학의 정비가 이루어졌다. 성균관과 4학(4부학당)은 체계적으로 연계되어 있었으나 향교는 독자적으로 운영되어, 현대의 학제와는 달리 중등교육과 고등교육이 체계적으로 연계되지는 못했다. 또 백성의 교화정책으로 소학의 중시 (소학선강의 원칙), 의례와 사회예속의 유교화, 를 비롯한 윤리서의 보급, 훈민정음의 창제 = "백성을 깨우치는 바른 소리", 정표정책의 시행, 향교를 통한 유교적 의례행사가 있다.

선비정신

선비는 몽골어에 어원을 둔 ‘어질고 지식 있는 사람’을 뜻한다는 설이 있으며 한자 士는 ‘仕(벼슬할 사)로서 어떤 직분을 맡고 있다’, ‘事(섬길 사)로서 낮은 지위에서 일을 맡은 기능적성격’. 한자 儒는 선비와 같은 뜻으로 유교 이념을 담당한 인격을 의미한다.
선비의 임무는 관직에 있을 때 임금을 도와 정치를 담당하고 물러나면 사림에 은거해 도(道)를 강론하여 실천하는 임무를 수행한다. 조선시대 선비는 유교적 도덕 규범을 모범으로 대중을 교화시키는 사회적 책임을 졌다. 선비정신의 개념은 입지(立志), 의(義)를 위해 목숨을 바침, 예의와 염치를 지킴으로 뜻을 세워, 경건한 마음으로 학문과 덕을 쌓아, 올바른 길로 지조를 지켜 살아가려는 정신이라 할 수 있다. 선비정신의 계승은 사회라는 환경 속에서 살아가는 현대인들의 삶이 정상적이기 위해서는 부단한 내면적 수양을 통해 사회적 당면 문제를 합리적으로 해결해야 하며 시대적인 사명감과 책임의식, 비판정신, 저항정신을 함양하고 지조, 청빈, 청렴, 검약, 절제 및 포용력, 인간미, 선공후사, 의리정신 등의 덕목을 체득하여 이 주체가 선비이고 그러한 정신이 선비정신이다.
실로 조선시대의 선비들은 ‘의리정신’을 선비정신의 핵심으로 삼고, 유교를 신봉. 사회적, 문화적, 정치적, 학문적 흐름을 주도하며 조선 사회를 이끌어간 사람이었으며 국정을 감시․비판하는 역할, 국난 시에 의병 참여, 정신적 가치를 소중히 여기고, 권력과 부를 하찮게 여겼으며, 서원과 같은 사학을 창도하여 자신의 학문과 지조를 지켜나가는 실천적 지식인이었다. 이런 의미에서 선비정신은 인격의 기준인 동시에 조선 사회의 양심이요 지성이었다.

실학사상

실학사상의 개념은 허 (虛)에 대한 반대 개념으로서 실질적인 학문으로 고려에서는 불교를인륜 규범에 관한 실천적 예학 으로 삼았고 조선 초기 정통 유학자들이 비실용적인 사장학(詞章學)에 대비하여 자신들의 철학인 도학 즉 성리학을 실학이라고 강조했다. 조선 후기 영 정조 시대 양심적인 학자와 지식층을 중심으로 나타났으며 일정한 역사적 시기의 학문적 경향을 말한다. 집권층에 대한 비판과 아울러 집권층의 이데올로기를 대변하는 지나치게 관념적이고 사변적인 주자학에 대하여 비판을 가했으며 학문적 경향은 근대 지향적, 그들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