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문학사] 1960년대 문학의 시대적 배경과 시

 1  [현대문학사] 1960년대 문학의 시대적 배경과 시-1
 2  [현대문학사] 1960년대 문학의 시대적 배경과 시-2
 3  [현대문학사] 1960년대 문학의 시대적 배경과 시-3
 4  [현대문학사] 1960년대 문학의 시대적 배경과 시-4
 5  [현대문학사] 1960년대 문학의 시대적 배경과 시-5
 6  [현대문학사] 1960년대 문학의 시대적 배경과 시-6
 7  [현대문학사] 1960년대 문학의 시대적 배경과 시-7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현대문학사] 1960년대 문학의 시대적 배경과 시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1. 1960년대의 시대적 배경
2. 1960년대의 의미단락
Ⅱ. 참여시
1. 김수영
2. 신동엽
3. 이성부
Ⅲ. 언어실험과 순수시
1. 성찬경
2. 박희진
3. 김구용
4. 김춘수
5. 이승훈
6. 오세영
7. 정현종
Ⅳ. 전통시 ‧ 기타
1. 서정주
2. 박목월
3. 유치환 ‧ 고은 ‧ 김현승 ‧ 김남조 ‧ 박이도
4. 황동규
Ⅴ. 시조와 형식 실험의 한계
Ⅵ.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2. 1960년대의 의미단락
1960년대 시사는 사실상 4 ․ 19혁명으로부터 시작하여 5 ․ 16 쿠데타를 거쳐 유신이 선포되는 1970년대 초까지의 정치적, 사회적 진행 과정과 상호 연관성을 가지고 전개되었다. 4 ․ 19혁명을 통해 기치를 내건 '민주주의'의 과제는 미완으로 끝난 혁명 이후에 등장한 군사 정권의 '개발 우선정책'에 의해 억압되면서 '근대화' 혹은 '산업화'의 과제로 대치되었다. '민주주의'와 '산업화'라는 이 모순된 두 과제는 중첩되고 혼재하면서 1960년대 이후 1970년대까지 우리 사회와 문화의 제반 양상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고, 1960년대의 시사는 치열하게 전개될 수밖에 없었는데 그 특징은 다음과 같다.
먼저, 1960년대의 시사의 핵심은 참여문학논쟁이 아닐 수 없다. 4∙19혁명과 5∙16쿠데타로 시작되는 1960년대에 참여시의 당위성을 인정하면서도 현실과 관계에서 문학의 본질과 기능을 재검토해보려는 문학관의 정립이 문제가 된 게 이 논쟁의 정체였다. 이것은 물론 비평사적 문맥에서 보다 큰 의의를 갖지만 한국현대시를 순수, 참여시의 2분법으로 ‘편 가르기’하는 경직된 사고를 낳게 했다.
두 번째로, 1960년대에 본격적으로 주목받기 시작한 시적 난해성이 있다. 모더니즘의 시로 흔히 명명되는 1960년대 일부 순수시는 현대시가 필연적이면서 본질적으로 난해시라는 명제를 뚜렷이 표방하고 나섰다. 그러나 난해성이 현대시를 특정 짓는 미학임에도 불구하고 1960년대 난해시는 서구의 현대시를 흉내 낸 ‘가짜’의 애매모호함, 또는 시인의 부정직성으로까지 매도되기도 했다.
세 번째로, 1960년대 시는 위의 난해성과 연관되어 다양한 실험을 시도했다. 일반적으로 이것은 언어실험 또는 형식실험을 가리키지만 한 평자가 서정주의 예를 들어 ‘특이한 실험’이라고 적절히 지적했듯이 시의 소재가 되는 새로운 경험의 추구도 함축된다. 이 실험은 1970년대에 나타난 전통 서정양식의 해제 징후만큼 두드러진 것도 급진적인 것도 아니었다. 그러나 이 온건한 실험은 1950년대 시와 확연히 구별 짓게 하면서 1970년대 시에 심화, 확대되는 씨앗이 되는 1960년대 시의 변화의 몫이었다.
참고문헌
권영민, 『한국현대문학사2』, 민음사, 2002.
김명인, 『(살아있는)김수영』, 창비, 2005.
김윤식 ‧ 김재홍 ‧ 정호웅 ‧ 서경석, 『 우리문학 100년』, 현암사, 2001.
김윤식 ‧ 김종우 외 34인, 『한국현대문학사』, 현대문학, 2008.
김준오, 『현대시와 장르비평』, 문학과 지성사, 2009.
박몽구, 『한중인문학연구』, 제 9집, 2002.
송기한, 『1960년대 시인연구』, 역락, 2007.
신동엽, 『껍데기는 가라 ; 신동엽 전집』, 미래사, 1996.
신동욱, 『한국현대문학사』, 집문당, 2004.
유종호 ‧ 김윤식 ‧ 백낙청 ‧ 도정일 외, 『한국현대문학 50년』, 민음사, 1995.
이건청, 『한국언어문화』 22권, 2002.
이수명, 「김구용과 한국 현대시」, 한국학술정보, 2008.
최라영, 「김춘수 무의미시 연구」, 새미, 2004.
한혜선, 『그물코 한국문학 4』, 풀빛, 1995.

[서울신문], 2006년 7월 7일자, ‘서울신문 제정 제14회 공초문학상 수상 성찬경 시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