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조교육] 중고등학교 교과서의 시조 제재 선정 현황과 문제점

 1  [시조교육] 중고등학교 교과서의 시조 제재 선정 현황과 문제점-1
 2  [시조교육] 중고등학교 교과서의 시조 제재 선정 현황과 문제점-2
 3  [시조교육] 중고등학교 교과서의 시조 제재 선정 현황과 문제점-3
 4  [시조교육] 중고등학교 교과서의 시조 제재 선정 현황과 문제점-4
 5  [시조교육] 중고등학교 교과서의 시조 제재 선정 현황과 문제점-5
 6  [시조교육] 중고등학교 교과서의 시조 제재 선정 현황과 문제점-6
 7  [시조교육] 중고등학교 교과서의 시조 제재 선정 현황과 문제점-7
 8  [시조교육] 중고등학교 교과서의 시조 제재 선정 현황과 문제점-8
 9  [시조교육] 중고등학교 교과서의 시조 제재 선정 현황과 문제점-9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시조교육] 중고등학교 교과서의 시조 제재 선정 현황과 문제점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문제제기

1. 중학교 교과서의 시조 제재 선정 현황과 문제점

1) 문학영역 중심의 제재구성으로 인한 고전문학의 입지 축소

2) 일부 단원에만 집중된 시조 교육

3) 주제의 편중 양상과 제재의 대표성을 고려하지 않은 제재 선정

2. 고등학교 교과서의 시조 제재 선정 현황과 문제점

Ⅲ. 교과서에 수록할 제재 선정 시 고려사항

1. 대표성을 고려한 제재 선정

2. 학습목표와의 연계성을 통한 상호텍스트성 고려

3. 작품에 드러난 표현방식을 고려한 제재 선정 제재 선정 분류 기준인 개성적 표현과 관습적 표현은 ‘고영화(2007), 시조 교육의 위계화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의 교재론 부분은 참고한 것임.


4. 시조 형식의 다양성을 반영한 제재 선정

5. 원문 표기를 고려한 제재 수록

Ⅳ. 나가는 말


본문내용
1) 문학영역 중심의 제재구성으로 인한 고전문학의 입지 축소

현재 중학교 국어 교과서에서 현대 문학과 고전문학 작품 수록 비율을 살펴보면 현대문학이 현저하게 많음을 알 수 있다. 3년간의 문학 교육이 현대문학에 치중하여 이뤄진다는 것은 국문학의 전통 명맥 유지를 저해하고 나아가 한국인으로서의 고유한 정서를 이해하는 것을 어렵게 하므로 작은 문제가 아니다. 이 문제는 곧 우리 문화의 질적 발전을 저해하고 사회의 문화적 동질감 획득을 어렵게 하기 때문이다.
고전문학 제재가 교과서에 적게 실릴 수밖에 없었던 배경은 5차 교육과정 이전으로까지 거슬러 올라갈 수 있다. 5차 이전은 글 중심 교재관을 가지고 교재를 구성했기 때문에 제재에 대한 학습을 매우 중시했다. 따라서 자연스럽게 문학도 문학 작품 이해 위주로 교육이 되었다. 이 당시엔 글 중심이었기 때문에 글 제재를 많이 다뤄서 정전으로 치부되는 고전 문학 제재들이 교과서에 많이 실렸다. 그러나 제재와 작가에 대한 지식 암기식으로 교육이 이루어지게 되어 이에 대한 국어교육계의 반성으로 5차 이후부터는 교재 구성 시 목표를 중시하게 되었다. 그로 인해 5차 이후 국어의 사용기능을 강조하는 목표중심 단원구성 방식을 채택하여 제재는 목표달성 수단인 ‘자료’ 정도로 여겨지게 되었다. 즉, 여전히 제재에 대한 학습이 목표 달성을 위해 필요하긴 하지만 그것이 궁극적인 목표가 되진 않게 된 셈이다.
7차로 오면서 기능영역과 문학영역의 통합교육을 강조하긴 했으나 여전히 국어 교과서의 단원구성방식을 보면 ‘문학’과 ‘읽기’로 단원을 구분해 놓고 있다. 그나마 현대문학 제재를 실어놓고 학습활동으로 구현해 놓은 것들은 다른 기능영역들과 통합해 놓은 것들이 눈에 띄지만, 고전 문학 제재들은 대개 문학영역에 치중해서 구현해 놓았다.
즉, 중학교 국어 교과서에서 고전 제재들의 비율이 적은 것은 교재 구성 시 고전을 문학중심으로만 구현하였기 때문이다. 따라서 고전문학 제재의 입지를 넓히기 위해서는 고전 제재도 기능영역의 목표와 통합하여 자료로 사용가능하도록 교재 구성을 해야 할 것이다.

2) 일부 단원에만 집중된 시조 교육

시조는 독자적인 문학의 한 갈래라는 측면에서 그것만이 가지는 고유한 양식과 특질이 있는가하면, 또 한편으로는 그것이 문학작품, 더 나아가 언어로 구현된 것이라는 점에서 다른 문학 갈래 ․ 언어양식과 함께 다루어질 수 있는 부분 또한 존재한다. 따라서 진정한 의미의 시조 교육은 시조만으로 한 단원을 독자적으로 구성하여 시조 자체에 대한 이해에 집중해서 가르치는 것으로는 충분하지 않다. 넓은 개념에서 이라는 것이 가지는 요소들을 시조를 통해 학습할 수 있을 것이고, 더 나아가 라는 커다란 세계를 시조를 통해 이해할 수 있는 부분들이 있기 때문이다.
현재 7차 국어교과서를 보면, 하나의 갈래를 특정 시기에 몰아서 구성한 모습을 볼 수 있다. 특히 시조의 경우 중학교에서 1학년 2학기 교과서에서 잠깐 다루고 3학년 2학기 4단원에 서만 언급될 뿐이다. 그리고 이 단원에서는 그 동안 가르치지 않았던 시조를 한꺼번에 가르치겠다는 듯이 7편 정도의 작품을 수록하고 있다.
물론 한 소단원에서 시조를 중점적으로 가르치는 것이 꼭 나쁘다는 것은 아니다. 그 단원에서 시조를 중심으로 많은 작품들을 접하는 것은 시조를 깊게 학습하는 데에도 도움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