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정치] 남한의 통일정책과 북한의 통일정책

 1  [북한정치] 남한의 통일정책과 북한의 통일정책-1
 2  [북한정치] 남한의 통일정책과 북한의 통일정책-2
 3  [북한정치] 남한의 통일정책과 북한의 통일정책-3
 4  [북한정치] 남한의 통일정책과 북한의 통일정책-4
 5  [북한정치] 남한의 통일정책과 북한의 통일정책-5
 6  [북한정치] 남한의 통일정책과 북한의 통일정책-6
 7  [북한정치] 남한의 통일정책과 북한의 통일정책-7
 8  [북한정치] 남한의 통일정책과 북한의 통일정책-8
 9  [북한정치] 남한의 통일정책과 북한의 통일정책-9
 10  [북한정치] 남한의 통일정책과 북한의 통일정책-10
 11  [북한정치] 남한의 통일정책과 북한의 통일정책-11
 12  [북한정치] 남한의 통일정책과 북한의 통일정책-12
 13  [북한정치] 남한의 통일정책과 북한의 통일정책-13
 14  [북한정치] 남한의 통일정책과 북한의 통일정책-14
 15  [북한정치] 남한의 통일정책과 북한의 통일정책-15
 16  [북한정치] 남한의 통일정책과 북한의 통일정책-16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북한정치] 남한의 통일정책과 북한의 통일정책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서론

본론

Ⅰ.북한의 통일 정책

Ⅱ. 남한의 통일정책.

결론

남한과 북한의 통일 정책 비교

1. 남북연합과 낮은 단계 연방제 공통성 합의의 의의

2. 남북연합과 낮은 단계 연방제의 공통점

3. 남북연합과 낮은 단계 연방제의 갈등요소

가. ‘남북연합’과 ‘연방제’ 개념의 모호성

나. 중앙정부와 지방정부의 권력 배분 문제

다. 집단안보제도의 미비와 내전 가능성

라. 기타

참고문헌
본문내용
해방정국에서 한국 전쟁 전까지의 북한의 통일론은 “혁명운동은 심각한 계급투쟁의 과정이며, 혁명운동의 승리는 반혁명역량에 대한 혁명역량의 압도적 우세에 의하여 보장된다. 라는 혁명관점에 근거하여 북한지역을 남조선혁명의 승리와 조국통일을 이룩하려는 전략적 거점인 동시에 보루로 삼으려는 「민주기지론」이었다. 이후 북한의 통일방안은 ‘자주적 평화통일’이라는 핵심은 보존하면서 시대적인 적응성과 환경적인 융통성을 가지고 변화를 거듭해나간다
우선 50년대 ‘평화통일론’을 북한이 주장한 이유는 전 후 시기는 반제 반봉건 민주주의 혁명의 과업을 완전히 수행하고 식민지 반봉건사회로부터 새로운 인민민주주의 사회로 전변되며 사회주의에로 이행하는 과도기로서 규정되고 있으므로 이행과 건설의 평화적 완수를 위하여 남북 간의 일정한 긴장완화와 감정적 평화가 요구되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북한은 남반부의 ‘민주기지노선’을 결코 포기한 내용의 평화통일론은 아니었다. 당시 제네바회담에서 북한은 “전조선 주민의 자유의사 표시에 입각한 통일 전선정부와 국회를 구성하기 위하여 총선거를 실시할 것”등의 평화통일 방식을 제안하는 한편, 조선노동당 3차대회에서는 “혁명의 원천지인 공화국 북반부의 민주기지를 다방면으로 강화시켜 남북한의 통일을 쟁취하기 위한 결정적 역량으로 전변시켜야 할 것” 이라는 한국 전쟁전의 ‘민주기지노선’이 재확인 되었다.
60년대 북한의 통일론은 통일문제와 남조선혁명을 별도의 과제로 정립한 ‘남조선혁명론’에 근거한 자주적 평화통일론을 정립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북한은 1960년 8.15해방 15주년 경축대회에서 “조선인민 속에서 조국통일의 기운이 거세게 일어나는 정세 하에서 북한정부의 조국통일에 관한 일관된 기본방침을 재차 전면적으로 분명히 하면서 만약 남한당국이 지금도 자유로운 남북 총선거 실시에 응하지 않는다면 완전한 통일을 실현할 때까지의 과도적 대책으로 남북조선연방제를 실시하여 남북조선간의 평화협정을 체결하자라는 새로운 획기적인 제안을 했다” 이한. 1989『북한의 통일정책 변천사』온누리출판사 page 24
이것은 ‘반드시 자주적으로 어떠한 외국의 간섭도 없이’라는 형태로 자주성이 강조되고 있다. 이는 남조선혁명을 ‘반제민족해방, 반봉건민주주의 혁명’이라 규정하고 이를 위하여 노동동맹에 근거한 ‘반미 구국통일전선’의 형성을 요구하고 있다.
70년대 북한 통일정책의 대강은 ‘조국통일 5대강령(1973,6)에서 보이고 있다. 남북한 군사적 대치상태해소와 긴장상태 완화, 다방면적인 합작과 교류, 통일문제 해결을 위한 대민족회의 소집, ‘고려연방공화국’의 단일국호에 의한 남북연방제 실시 등을 내용으로 하는 ‘5대강령’에서 주목할 것은, 이전의 연방제와 질적 차별성이 있는 새로운 연방제 안을 제시하고 있다는 것이다. 60년대 통일 정책과 비교하자면 60년대 ‘과도적 대책’으로서의 연방제가 ‘경제 문화적 문제’를 다루는 데 비해 ‘고려연방공화국’은 정치, 외교 .군사까지도 포괄하고 있다. 또 60년대 ‘연방제’는 각계각층을 망라하는 통일적인 국가적 지도‘를 상정하지 않고 ’정부의 대표‘로 구성되는 ‘최고민족회의’의 조직을 통해 구성하려 했던 것에 비해 ‘고려연방공화국’은 남북한의 각계각층의 ‘인민대중’들과 각 정당 사회단체 대표로 ‘대민족회의’를 소집하여 구성하자는 것이며, 이는 당연히 민족의 대표로서 외교권을 가지는 것이기 때문에 단일국호에 의한 국제기구 가입이 가능해 진다 고 설명한다.
또한 북한의 70년대 통일방안은 교차 승인론, 유엔동시 가입 안, 미일의 힘의 균형론 을 미국의 ‘2개의 조선책동’으로 규정하고 ‘3자회담’을 통한 ‘대미평화협정’의 체결을 요구 하고 있다.
80년대의 북한의 통일방안은 ‘고려민주연방공화국 안’ 과 ‘민족 화합 민주 통일 방안’을 말할 수 있는데 첫째로 ‘고려민주연방공화국 안’에 대하여 설명하자면, 북한은 80년 10월 6차 당 대회에서 통일을 달성하기 위한 실천방안이자 이론으로서 ‘고려민주연방공화국’ 안을 제시하고 있다 여기서 “조국의 자주적 평화통일을 이룩하기” 위한 전제 조건으로 ① “남조
참고문헌
통일부 통일교육원 2009『통일문제 이해』
김강녕 2008.12 『한반도 통일문제와 민족정신』
김용민(연세대) 2008.6 『독일 통일에 비추어 본 한반도 통일방안』
국토통일원, 1983『북한개요』
김창희. 1999 『김정의 정권의 대외, 통일정책의 전개와 방향』
강만길, “통일방향의 합의,” 한겨레신문 2000년 6월 26일 칼럼.
남궁영, “대북정책의 국내정치적 갈등: 쟁점과 과제,” 세종연구소,『국가전략』제7권 4호 (성남: 세종연구소, 2001),
아태평화재단, 『남북정상회담: 이해의 길잡이』(서울: 아태평화재단, 2000),
김근식, “연합제와 연방제의 공통성 인정: 통일접근 방식과 평화공존에 합의,” 아태평화재단, 『아태포럼』, 제39호, 2000년 7월,
남주홍, “예견된 혼란,” 문화일보 2001년 8월 24일 시론.
박상철, “북 기념탑과 6․15선언,” 한겨레신문 2001년 9월 11일 13
전인영, “한민족 공동체 통일방안의 이념적 측면: 남북한의 시각 및 인지비교,” 『한민족공동체 통일방안의 이론적 기초와 정책방향』(서울: 국토통일원, 1990)
양길현, “신남북시대의 평화공영과 연합제: 낮은 단계의 연방제,” 세종연구소, 『국가전략』, 2001년 제7권 4호 (성남: 세종연구소, 2001),
이영일, “3단계 통일론 국민합의 거쳤나,” 동아일보 2001년 10월 15일 6면
Daniel J. Elazar, Constitutionalizing Globalization,
아태평화재단, 『김대중의 3단계 통일론: 남북연합을 중심으로』 (서울: 아태평화재단, 1995),
통일부, 『북한동향』 제507호(2000. 9. 30-10. 6) (서울: 통일원, 2000)

이한, 1989『북한의 통일정책 변천사』온누리출판사
이종석 1985 『남한의 통일정책과 통일운동』한길사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