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학] 북중관계 평가와 시사점

 1  [북한학] 북중관계 평가와 시사점-1
 2  [북한학] 북중관계 평가와 시사점-2
 3  [북한학] 북중관계 평가와 시사점-3
 4  [북한학] 북중관계 평가와 시사점-4
 5  [북한학] 북중관계 평가와 시사점-5
 6  [북한학] 북중관계 평가와 시사점-6
 7  [북한학] 북중관계 평가와 시사점-7
 8  [북한학] 북중관계 평가와 시사점-8
 9  [북한학] 북중관계 평가와 시사점-9
 10  [북한학] 북중관계 평가와 시사점-10
 11  [북한학] 북중관계 평가와 시사점-11
 12  [북한학] 북중관계 평가와 시사점-12
 13  [북한학] 북중관계 평가와 시사점-13
 14  [북한학] 북중관계 평가와 시사점-14
 15  [북한학] 북중관계 평가와 시사점-15
 16  [북한학] 북중관계 평가와 시사점-16
 17  [북한학] 북중관계 평가와 시사점-17
 18  [북한학] 북중관계 평가와 시사점-18
 19  [북한학] 북중관계 평가와 시사점-19
 20  [북한학] 북중관계 평가와 시사점-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북한학] 북중관계 평가와 시사점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연구목적

2. 연구범위

3. 연구방법

4. 장절편성

▣ 중국이 들어서기 전 (1949년 전)

▣ 김일성 시절 (1949년 ~ 1994년)

※ 참고자료

▣ 김정일 시절 (94년 후)
II. 북한과 중국의 경제관계

III. 북한과 중국의 정치관계

※ 참고자료

▣ 북중관계 현재 Top Issue

▣ 앞으로의 북중관계 진행방향과 우리에게 미치는 영향



중국이 들어서기 전 북한과 중국과의 관계

1. 김일성은 왜 마오쩌둥과 스탈린을 찾아갔을까?

2. 마오쩌둥과 스탈린이 김일성은 지원한 이유는?

3.중국이 북한과 군사관계를 맺게 된 배경은 무엇일까?



1.혈맹관계인 북한과 중국 - 군사적 지원

2.북중관계 발전 계기

3.중소이데올로기 논쟁 이후, 김일성 독재체계 수립

4.김일성의 주체 외교

5.한중수교로 인한 북중관계의 전환

6.중국의 개혁개방으로 멀어지는 북중관계

7. 참고 문헌




김일성 사망 이후 김정일 통치 체제에서의 북한과 중국관의 관계

* 경제적 측면





※ 북·중 관계 정의

● 정치·이념적 관계

● 경제적 관계

● 외교적 관계(Ⅰ)

● 외교적 관계(Ⅱ) - 북핵문제를 둘러싼 북·중의 태도

● 군사적 관계

※ 참고자료



- Outline -

□ 중국의 한반도 안보 전략 기조

1. 한반도의 안정 유지

2. 대한국 관계 확대 : “한,중 전면적 협력 동반자 관계” 구축

3. 북한의 안전 도모

4. 중국의 대한반도 영향력 확대 모색

□ 중국과 북한의 관계 변화

□ 유사시 북한의 붕괴 시나리오

1. 중국 경제권에 종속

2. 북한의 남침

3. 한,미 연합군의 선제공격(1)

4. 한,미 연합군의 선제공격(2)

5. 최후의 보루로 북한이 핵을 사용

□ 앞으로 한국이 나아가야 할 정책 방향

1. 한.미.일 공조체제 적극 추진


2. 한국의 대중 외교 적극 추진

3. 북한의 개방 유도 모색

4. 한국의 군사력 강화

5. 전시작전 통제권

* 참고문헌 *

본문내용
▣ 김일성 시절 (1949년 ~ 1994년)

I. 혈맹관계인 북한과 중국 - 군사적 지원
-> 김일성은 유엔군의 반격으로 전선이 불리해지자 마오쩌둥에게 군사지원을 요청. 그후로부터 북한과 중국의 혈맹관계 유지

II. 북중관계 발전 계기
-> 6.25전쟁은 김일성이 소련과의 일방적 관계에서 벗어나 중국과 소련 양다리 외교를 시작할 수 있는 계기

III. 중소이데올로기 논쟁 이후, 김일성 독재체계 수립
-> 김일성은 공산권의 정치사상적 변화와 6.25전쟁으로 가까워진 중국을 이용하여 자신의 독재체계를 굳건히 함

IV. 김일성의 주체 외교
-> 북한의 외교노선은 중국, 소련에 치우치지 않은 두 대국 간의 이해관계를 이용해 국익을 최대한 증진시키는 주체외교

V. 한중수교로 인한 북중관계의 전환
-> 한중수교 공동성명문

VI. 중국의 개혁개방으로 멀어지는 북중관계
-> 중국의 개혁개방은 북한에게 이전까지와 사상이 다르다는 사실을 선언한 뚜렷한 분수령

※ 참고자료
http://blog.naver.com/repan?Redirect=Log&logNo=50012637730
http://historia.tistory.com/1972?srchid=BR1http%3A%2F%2Fhistoria.tistory.com%2F1972 (한중수교 공동성명문)
http://psk21.com/home/bbs/board.php?bo_table=press&wr_id=3&page=16(한중수교의미)
http://baekdoo.encyber.com/search_w/ctdetail.php?gs=ws&gd=&cd=&q=&p=&masterno=58352&contentno=58352 (마르크스-레닌주의)
http://100.naver.com/100.nhn?docid=793202 (흑묘백묘론)


▣ 김정일 시절 (94년 후)

I. 김일성 사망 이후 김정일 통치 체제에서의 북한과 중국관의 관계

-> 김정일은 김일성의 집단적인 환상으로 유지되고 있는 '정통성'과 '특이성'을 계승하는 가운데 대중국 관계를 어떠한 자세로 임할 것인가는 향후 북한 체제와 동아시아 정세를 전망하는 데 있어서 중요한 포인트

-> 김정일 논문 1994년 11월 1일자 '사회주의는 과학이다'에서 모든 수정주의 사조를 철저하게 배격해야 한다며 직접적으로 중국을 언급하진 않았지만 중국은 이를 불쾌하게 느끼고 북한과 대립 혹은 불협화음을 시사 하는 대응을 보임

-> 90년대 초의 사회주의국가들의 붕괴 및 시장경제로써의 전환은 북한에게 있어 급속한 대외관계 단절로 이어짐

-> 90년대 북한 전체 경제규모가 50%이상 줄어드는 건국이후 최대의 경제적 위기를 맞으며 경제발전에 주력하며 경제 분야의 개혁 및 제한적 대외개방정책을 추진, 1999년 '사회주의 경제대국을 건설하자'라는 목표를 제시하고 김영남 최고인민위원회 상임위원장의 방중을 시작으로 2000년 김정일 국장위원장의 방중, 2001년 강택민 국가주석의 방북으로 북중 관계는 상당히 정상화

II. 북한과 중국의 경제관계

-> 사회주의 시장이 사라지면서 기존의 국가무역 중심에서 다양한 무역형태로 변화. 특히 중국의 대북지원의 규모와 다양성, 지속성이라는 면에서 많은 변화를 보여주고 있음.

-> 중국의 대북 투자 추진현황과 교역 규모의 주목 필요성
참고문헌
중국의 한반도 안보 전략과 한국의 안보정책 방향 / 최준흠 / 통일연구원 / 2003. 12. 31 / p.3~p.8
북한학 / 한용원 / 오름 / 98.1.25 / p.343~431
북한외교정책 결정구조와 과정 / 허문영 / 민족통일연구원 / 1998.12.28 / p.81~103
중국. 북한 동맹관계 : 불편한 동거의 역사 / 최명해 / 오름 / 2009 / p.89~97
북한-중국관계 / 이종석 / 2000 / p.37~45
북한-중국간 사회,경제적 연결망의 형성과 구조 / 김병로외 5명 / 통일평화연구소 / 2008. 9 / p.171~197
‘미.중 관계와 한반도’ / 온대원 / 미발표논문
중국의 한반도 안보 전략과 한국의 안보정책 방향 / 최준흠 / 통일연구원 / 2003. 12. 31 / p.56~p.60
이명박 정부 출범과 통일정책의 방향 / 정경환 외 6명 / 이경 / 2008. 10 / p.194~227
http://www.etnews.co.kr/news/detail.html?id=200910220236
http://www.tongilnews.com/news
http://k.daum.net/qna/view.html?qid=3xBHy
http://storye.net/bbs/zboard.php?id=push_nov&no=4484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