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요약][국어문법론] 15세기 국어의 부정법 연구

 1  [논문요약][국어문법론] 15세기 국어의 부정법 연구-1
 2  [논문요약][국어문법론] 15세기 국어의 부정법 연구-2
 3  [논문요약][국어문법론] 15세기 국어의 부정법 연구-3
 4  [논문요약][국어문법론] 15세기 국어의 부정법 연구-4
 5  [논문요약][국어문법론] 15세기 국어의 부정법 연구-5
 6  [논문요약][국어문법론] 15세기 국어의 부정법 연구-6
 7  [논문요약][국어문법론] 15세기 국어의 부정법 연구-7
 8  [논문요약][국어문법론] 15세기 국어의 부정법 연구-8
 9  [논문요약][국어문법론] 15세기 국어의 부정법 연구-9
 10  [논문요약][국어문법론] 15세기 국어의 부정법 연구-10
 11  [논문요약][국어문법론] 15세기 국어의 부정법 연구-11
 12  [논문요약][국어문법론] 15세기 국어의 부정법 연구-12
 13  [논문요약][국어문법론] 15세기 국어의 부정법 연구-13
 14  [논문요약][국어문법론] 15세기 국어의 부정법 연구-14
 15  [논문요약][국어문법론] 15세기 국어의 부정법 연구-15
 16  [논문요약][국어문법론] 15세기 국어의 부정법 연구-16
 17  [논문요약][국어문법론] 15세기 국어의 부정법 연구-17
 18  [논문요약][국어문법론] 15세기 국어의 부정법 연구-18
 19  [논문요약][국어문법론] 15세기 국어의 부정법 연구-19
 20  [논문요약][국어문법론] 15세기 국어의 부정법 연구-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논문요약][국어문법론] 15세기 국어의 부정법 연구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하나, 머리말
둘, 본론1 - 두 개의 논문을 정리하기

첫 번째 논문; 15세기 국어의 부정법 연구 - 조은주
Ⅰ. 서론
Ⅱ. 본론; 15세기 국어의 부정법
1. 부정소 ‘아니’
1-1. 명사문 부정형식
1-2. 용언문 부정형식
2. 부정소 ‘몯’
2-1. 명사문 부정형식
2-2. 용언문 부정형식
3. 부정소 ‘말’
3-1. 명사문 부정형식
3-2. 용언문 부정형식
4. 부정을 포함한 어휘
4-1. ‘모ㄹ-’
4-2. ‘없-’
Ⅲ. 결론

두 번째 논문; 15세기 부정법 실현 방법과 부정문의 통사론적 특성 - 허재영
Ⅰ. 서론
Ⅱ. 본론
1. 15세기 부정법의 실현방법
1-1. 어휘적 방법
1-2. 파생적 방법
1-3. 통사적 방법
2. 15세기 부정문의 통사적 특징
2-1. 부정부사의 결합 양상도
2-2. 씨끌과 토씨의 결합
Ⅲ. 결론

셋, 본론2 - 정리한 논문 ‘자세히 말하기’

넷, 맺음말
본문내용
하나, 머리말

부정은 긍정의 모순 개념으로 부정문은 긍정문에 부정소를 첨가함으로써 이루어진다. 긍정문을 부정문화하는 요소를 부정소(Nagatives, Negative elements)라 한다. 또한, 부정문은 우리가 국어 생활을 함께 있어서 많이 쓰이는 표현 중의 하나이다. 이 부정표현을 문법화 한 것이 부정법이다. 그런데, 이러한 부정법이 15세기에는 오늘날과 비교해서 조금 다른 모습을 띄고 있다. 여기에 흥미를 느끼고 과연 15세기의 부정법은 어떻게 표현되었는지 알아보기로 하였다. 연구방법은 동일한 주제를 가진 논문을 비교함으로써 어떠한 다른 방법으로 주제에 접근하였는지를 살펴보기로 하겠다.

둘, 본론1 - 두 개의 논문을 정리하기

첫 번째 논문; 15세기 국어의 부정법 연구 - 조은주

Ⅰ. 서론
15세기의 부정소로는 ‘아니, 몯, 말-’이 있다. 이들 부정소의 표현 형식을 기술함으로써 15세기 국어 부정법을 고찰해 보는 것이 이 논문의 목적이다.

Ⅱ. 본론; 15세기 국어의 부정법

1. 부정소 ‘아니’
부정소 ‘아니’는 한문 부정소 ‘不, 非’의 번역으로, 15세기 부정법을 대표하는 순수한 부정소이다. 이것의 부정형식은 한자어 명사, 고유어 명사를 피부정소로 하는 명사문 부정형식과 단형부정문과 장형 부정문의 용언문 부정형식으로 나타난다.

1-1. 명사문 부정형식
부정소 ‘아니’가 체언이나 그에 준하는 성분을 피부정소로 하는 부정문 형식으로 부정소 ‘아니’가 피부정소에 후행하여 나타난다.

(1) a. 모시 바리 아니며 두들기 뫼히 아니라(月二,76a)
b. 實 아니며 虛 아니며 如 아니며 異 아닌 뵈시니(月十五,84b)
c. 나 아닌 거긔 둘 아닌 고 길(月八,30b)
d. 千乘엣 사 法行이 며 妄量앳 지우미 아닐니라(법육, 145b)
d'. 千乘엣 사 法行이 자 妄量로 아니니라(釋二十,13a)

(1a)는 고유어 명사, (1b)는 한자어 명사 (1c)는 수사, (1d)는 N1+앳+N2로 된 명사구 즉, N2가 용언의 명사형인 동명사구를 피부정소로 한 예이다. (1d')는 (1d)의 동일 원문의 번역본으로 명사 ‘妄量’에 조사 ‘-로’가 연결되어 나타난 예
참고문헌
1. 15세기 국어의 부정법 연구/ 조은주/ 단국대학교국어국문학과/ 국문학론집제17집/ 2000.12/ pp.25~56
2. 15세기 부정법 실현 방법과 부정문의 통사론적 특성/ 허재영/ 건국대학교/ 학술논문집 vol.48/ 1998/ pp. 45~67
하고 싶은 말
옛글은 표기가 안되네요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