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요약][국어문법론] 한국어 피동법 피동표현에 관한 연구논문 비교

 1  [논문요약][국어문법론] 한국어 피동법 피동표현에 관한 연구논문 비교-1
 2  [논문요약][국어문법론] 한국어 피동법 피동표현에 관한 연구논문 비교-2
 3  [논문요약][국어문법론] 한국어 피동법 피동표현에 관한 연구논문 비교-3
 4  [논문요약][국어문법론] 한국어 피동법 피동표현에 관한 연구논문 비교-4
 5  [논문요약][국어문법론] 한국어 피동법 피동표현에 관한 연구논문 비교-5
 6  [논문요약][국어문법론] 한국어 피동법 피동표현에 관한 연구논문 비교-6
 7  [논문요약][국어문법론] 한국어 피동법 피동표현에 관한 연구논문 비교-7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논문요약][국어문법론] 한국어 피동법 피동표현에 관한 연구논문 비교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 현대 한국어의 피동법 연구, 1998, 서울시립대학교, 北村唯司
1. 피동의 의미
2. 피동법의 특성
3. 피동형태의 의미와 분포
4. 피동문의 의미론적 성격
5. 남겨진 과제

◈ 한국어 피동표현의 연구, 덕성여자대학교, 김순좌
1. 연구의 방향
2. 한국어 피동문의 형성과정
3. 피동사의 생성과정과 한국어 피동표현의 이해

◈ 두 논문에 대한 개인적 고찰
본문내용
◈ 현대 한국어의 피동법 연구, 1998, 서울시립대학교, 北村唯司

1. 피동의 의미
이전 연구에서 규정된 피동의 의미: 문장 주어가 스스로 동작하거나 상태를 변화시키지 않고, 주어 외부에 있는 원인에 의하여 그러한 동작이나 상태 변화를 겪게 되는 것
- 졸음으로 인해 눈이 감겼다 → 위 조건에 어긋나지 않지만 피동성을 나타내지 않는다.
- 철수는 일부러 술래에게 잡혔다 → 피동작주의 의도성이나 자발성이 개입된 피동문.
∴ 피동의 의미: 주어가 주어 이외의 동작주에 의하여 동작이나 상태변화를 겼는 것

2, 피동법의 특성
(1) 형태론적 특성
① ‘-히’: 꽃이 영희에게 꺾였다. 어린이가 개한테 물렸다. 다음의 두 문장은 동사구에 ‘-히-’가 쓰인 문장들이다, 여기서 주어인 ‘꽃, 어린이’가 다른 동작주인 ‘영희, 개’에 의하여 꺾임, 물림‘이라는 상태 변화나 동작을 겪는다는 피동성이 확인된다.
② ‘-어지다’: ‘-어지다’는 전통적으로 피동 형태로 인정되어 왔지만, 현대에 들어 몇몇 연구자들에 의해 피동형태에서 제외된 바 있다. 현재 ‘-어지다’를 피동형태로 인정하는 견해와 인정하지 않는 견해가 편을 가르고 있다. ‘-어지다’의 기본 의미를 변화성이나 기동성으로 규정하면서, 동시에 피동성도 드러낼 수 있는 것으로 본다면 ‘-어지다’는 피동형태로 인정이 되지만 변화성이나 기동성으로만 본다면 피동형태로 인정되지 않는다. 이러한 견해 중 본 논문에서는 ‘-어지다’의 기존 의미를 변화성과 같은 개념으로 규정하고, -어지다‘가 타동사와 결합될 때는 문맥의 의미로서 피동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인정하고있다.
(2) 통사론적 특성: 능동대당문을 상정하여, 동작주와 피동작주 간에 이루어지는 동작을 상정할 수 있다. 능동대당문을 상저할 수 없는 의사피동문은 피동문에서 제외된다.
ex) a. 요즘 밥이 잘 먹힌다/ b. 요즘 (내가) 밥을 잘 먹는다. → a는 동작주가 나타나지 않으며, 피동성을 판단하기 어렵지만 능동대당문을 상정할 수 있기
참고문헌
- 北村唯司, 현대 한국어의 피동법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석사학위논문
- 김순좌, 한국어 피동표현의 연구, 덕성여자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석사학위논문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