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역사] 영조의 일대기와 탕평정책

 1  [한국역사] 영조의 일대기와 탕평정책-1
 2  [한국역사] 영조의 일대기와 탕평정책-2
 3  [한국역사] 영조의 일대기와 탕평정책-3
 4  [한국역사] 영조의 일대기와 탕평정책-4
 5  [한국역사] 영조의 일대기와 탕평정책-5
 6  [한국역사] 영조의 일대기와 탕평정책-6
 7  [한국역사] 영조의 일대기와 탕평정책-7
 8  [한국역사] 영조의 일대기와 탕평정책-8
 9  [한국역사] 영조의 일대기와 탕평정책-9
 10  [한국역사] 영조의 일대기와 탕평정책-10
 11  [한국역사] 영조의 일대기와 탕평정책-11
 12  [한국역사] 영조의 일대기와 탕평정책-12
 13  [한국역사] 영조의 일대기와 탕평정책-13
 14  [한국역사] 영조의 일대기와 탕평정책-14
 15  [한국역사] 영조의 일대기와 탕평정책-15
 16  [한국역사] 영조의 일대기와 탕평정책-16
 17  [한국역사] 영조의 일대기와 탕평정책-17
 18  [한국역사] 영조의 일대기와 탕평정책-18
 19  [한국역사] 영조의 일대기와 탕평정책-19
 20  [한국역사] 영조의 일대기와 탕평정책-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국역사] 영조의 일대기와 탕평정책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序論



Ⅱ. 本論


1. 영조의 일대기
1-1 . 조선 제 21대 영조
1-2 . 경종의 죽음과 관련된 영조
1-3 . 이복형 경종과의 악연
2. 영조 관련 야사
2-1 . 무수리의 소생, 영조의 열등감
2-2 . 사도세자
3. 영조의 붕당정책
3-1 . 붕당정치의 변질과 정국의 변화



Ⅲ. 結論



參考文獻


본문내용
2. 즉위 후의 탕평책
영조가 즉위한 것은 정치권의 안정을 되찾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정치권을 혼란 속으로 빠지게 했다. 그것은 바로 영조가 붕당에 가장 밀접한 관계가 있는 인물이기 때문이다. 영조는 세제책봉에서부터 노론 세력에 의해 추대된 것이기 때문이다. 노론의 정치권의 장악에 영조라는 인물이 필요하였기에 그가 세제로 추대된 것이다. 노론에 의해 세제로 추대된 전력이 있던 그가 소론 임금의 뒤를 이어 즉위한 것이기에 소론 强硬派들은 영조를 임금으로 인정하지 않았다. 노론·소론의 당론에 처하여 생명의 위협까지 받은 뒤 1724년에 즉위한 영조는 바로 탕평정국의 서곡인 붕당의 폐해를 하교하였다.
영조가 탕평책을 절실히 느끼게 된 것은 아마도 세제로 책봉된 뒤부터라고 생각된다. 왜냐하면 그가 왕세제로 책봉된 뒤부터는 본격적으로 노론·소론의 당론이 심화되어 여러 차례에 걸쳐 거기에 휘말렸으며, 그 때문에 생명의 위협까지도 받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영조가 의도하였던 탕평정국과는 달리 노론내 강경세력인 준론자들은 소론에 대한 공격을 일삼는 등 또다시 노론·소론의 파쟁으로 흘러가자 1727년에는 노론내 준론세력들을 축출하였다. 곧 이어 1729년에는 기유처분으로 노론·소론내 탕평세력을 고르게 등용, 초기의 탕평정국을 이루었다.
이때 인사정책으로 쌍거호대의 방식을 취하였다. 노론을 영의정으로 삼으면 소론을 좌의정으로 삼아 상대하게 한 것 등이 그것이다.
그 뒤 영조 자신의 의도대로 정국을 수습하게 되자 기초를 다진 왕권으로 쌍거호대의 방식을 극복, 유재시용의 인사정책을 단행하게 되었다.
초기에는 재능에 관계없이 탕평론자를 중심으로 노론·소론만 등용하다가 탕평정국이 본궤도에 오르자 이의 정착을 제도적으로 보장하려는 방향으로 그 기반을 강화시켜나갔다. 이러한 정국구도에 따라 노론·소론·남인·소북 등 사색을 고르게 등용, 탕평정국을 확대시켜나갔던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정책의 시행과정에서 문제가 없었던 것은 아니었다. 즉위 후 을사처분으로 노론을 불러들여 왕위정통성 확보와 탕평정국을 급히 서두르다가 1728년에는 정계에서 밀려난 소론측의 반발세력인 이인좌의 난을 겪었고, 1755년에는 을사처분 때 귀양을 가서 20여년 동안이나 한을 품어온 소론 윤지(尹志) 등이 주동, 나주에 괘서사건을 일으켰다. 그리고 이듬해 토역과를 보일 때 그 답안지에 소론계 인물들이 조정을 비방하는 글을 써서 물의를 일으키기도 하였다.

영조의 탕평책은 왕권 강화를 통해 노론과 소론을 견제하며 군제.경제 개혁을 이루고, 탕평파를 육성하는 등 정권 안정을 이룩하였다. 그러나 탕평의 원리에 의해 노론과 소론이 공존해 있었으나, 강력한 왕권에 의한 정쟁의 억제에 불과하다는 한계를 가졌다. 토역 경과 사건과 나주 괘서사건 등의 이후 소론은 점차 약화되고, 특히 사도세자는 영조의 둘째 아들로 조숙하고 총명한데다 영조의 총애를 독차지하여 언행에 거리낌이 없었다. 게다가 호기심이 많아 지난날의 정쟁에 깊은 관심을 보였고, 기존 질서에 거부감을 지니고 있었다. 탕평책에 따라 다시 정계에 발을 들여놓은 남인과 노론 명분 속에 미약한 권력을 유지하여 온 소론 등이 사도세자를 등에 업고 정권을 잡을 기회만 노리고 있었다.
이를 간파한 노론측 김한구·홍계희 등이 나경언을 사주하여 사도세자의 비행과 난행을 고발하게 하여 뒤주 속에 세자를 가두어 죽이는 참사를 불러일으키기도 하였다. 드디어는 뒤주에 가두어 굶어 죽게
참고문헌
이태진, 범어사, 1991.
최완기, 한길사, 1994.
최완기, 느티나무, 1993.
최이돈, 한길사, 1994.
박광용, 푸른역사, 1998
최범서, 가람기획, 2004
최선경, 김영사, 2007
신명호, 김영사, 2009
한국역사연구회, , 2005
혜경궁 홍씨, 한중록(우리 고전 다시읽기1) 신원문화사, 2002
박광용, 영조와 정조의 나라. 푸른 역사, 1998
이덕일, 사도세자의 고백. 휴머니스트, 2007
이덕일, 여인열전. 김영사, 2003
이덕일, 당쟁으로 보는 조선역사, 석필출판사, 2004
강영민, 조선시대 왕들의 생로병사, 태학사, 2002
이성무, 조선왕조사, 동방미디어, 1998
박영규, 한 권으로 읽는 조선왕조실록, 들녘, 2004
이기백, 한국사신론, 일조각, 1999
정신문화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2008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