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소설] 신재효의 판소리 만들기 -변강쇠가

 1  [고소설] 신재효의 판소리 만들기 -변강쇠가-1
 2  [고소설] 신재효의 판소리 만들기 -변강쇠가-2
 3  [고소설] 신재효의 판소리 만들기 -변강쇠가-3
 4  [고소설] 신재효의 판소리 만들기 -변강쇠가-4
 5  [고소설] 신재효의 판소리 만들기 -변강쇠가-5
 6  [고소설] 신재효의 판소리 만들기 -변강쇠가-6
 7  [고소설] 신재효의 판소리 만들기 -변강쇠가-7
 8  [고소설] 신재효의 판소리 만들기 -변강쇠가-8
 9  [고소설] 신재효의 판소리 만들기 -변강쇠가-9
 10  [고소설] 신재효의 판소리 만들기 -변강쇠가-10
 11  [고소설] 신재효의 판소리 만들기 -변강쇠가-11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고소설] 신재효의 판소리 만들기 -변강쇠가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판소리 이론가이자 후원자, 지도자, 그리고 창작가로서의 신재효 (1812~84)

2. 〈변강쇠가〉에 내제된 창작의 근거
1) 사설단위의 수용과 변형 그리고 창작
1)-1. 끼워 맞추듯 삽입한 사설들
1)-2. 창작된 사설
2) 지나치게 많은 등장인물

Ⅲ. 결론
본문내용
Ⅰ. 서론

본래 기층 민중들의 연희였던 판소리는 18C 이후 서서히 양반 지식인층으로 침투하여 기록자를 만나게 된다. 그 기록자로 대표적인 사람은 판소리 여섯 마당을 정리한 신재효이다. 그는 자신의 막대한 치산을 통해 광대를 후원하였다. 당시 이러한 분위기를 바탕으로 박유전을 아꼈던 흥선대원군을 비롯한 사대부들은ꡐ패트런ꡑ의 역할을 맡아 재능 있는 소리꾼들을 후원하기 시작했다.
이러한 그가 흔히 ‘개작’했다고 전해지는 판소리 일곱 마당 중〈변강쇠가〉는 판소리의 변모와 전승의 측면에서 독특한 위치를 점유한다.
〈변강쇠가〉는 일명〈변강쇠타령〉,〈가로지기타령〉,〈횡부가〉,〈송장가〉,〈변강전〉등으로 불려왔으며 현재에는 소리의 맥을 상실하여 사설만 전해지고 있는 판소리이다. 판소리 학회,「변강쇠가」,『판소리의 세계』, 문학과 지성사, 2000. p.283.
송만재의 『관우희』에 〈변강쇠타령〉이라는 곡명이 처음으로 보이고, 신재효가 정리한 판소리 여섯 마당에 포함되어있으며, 조선 말기의 명창인 송홍록 ․ 장자백 등이 이 소리를 잘했다는 기록 정노식,『조선 창극사』, 조선일보사, 1940, p.25, p.105
을 참고하면, 〈변강쇠가〉는 적어도 1920년 이전까지는 연행되었으리라 짐작된다. 그후 전승이 끊어졌다가 1970년에 박동진이 신재효의 사설을 개편하여 곡을 붙여 가창을 했고, 이후 몇 차례 더 공연된 바 있다.
〈변강쇠가〉의 이본을 살펴보면, 신재효가 최종 정리 ․ 개작한 판소리 사설만이 전하고 있을 뿐, 오늘날 아직까지 그 외의 특별한 이본은 발견되지 않고 있다. 다만 신재효의 〈변강쇠가〉를 모본(母本)으로 필사한 성두본(星斗本) ․ 고수본(古水本) ․ 가람본 ․ 새터본 등의 필사본이 전하고 있을 뿐이다. 강한영, 「신재효 판소리 사설 해본」『한국 고전 문학 대계』12집, 민중서관, 1974, pp.28~29 강쇠의 시신을 갈이질 한 뎁득이가 개과천선을 약속하고 떠난 후 음행을 경계하는 사설 내용이 부연되어 여타본에 비해 사설의 완결성을 보이고 있다.
이들 필사본들은 크게 성두본 계열과 고수본 계열로 나눌 수 있는데, 이들 본들은 완형(完型)이냐 탈락한 부분이 있느냐 하는 차이점과 표기상의 차이점만 있을 뿐, 이본으로서의 독자성을 찾을 수는 없다. 황인완, 「변강쇠가의 줄거리체계와 작중인물들의 성격과 작중기능」, 고려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민술학술자료총서』150권 판소리의 종류2, 우리마당 터, 2002
본 고는 바로 이러한 사실에 주목해 보고자 한다. 수많은 이본을 가진 판소리들과 달리 왜 유독〈변강쇠가〉는 신재효의 〈변강쇠가〉이외의 이렇다 할 이본이 존재하지 않는 것일까. 〈변강쇠가〉는 신재효의 판소리 정리 작업에 속하는 ‘개작’이 아닌 ‘창작’은 아닐까.
이와 같은 의문을 토대로 하여 본 고는 〈변강쇠가〉가 신재효에 의해 창작되었다는 가정 하에, 신재효란 인물의 삶의 내력을
참고문헌
김태준 역주, 『흥부전/변강쇠가』,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1995.
판소리 학회,『판소리의 세계』, 문학과 지성사, 2000.
정노식,『조선 창극사』, 조선일보사, 1940,
강한영, 「신재효 판소리 사설 해본」『한국 고전 문학 대계』12집, 민중서관, 1974,
황인완, 「변강쇠가의 줄거리체계와 작중인물들의 성격과 작중기능」, 고려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민 술학술자료총서』150권 판소리의 종류2, 우리마당 터, 2002
서종문 ․ 정병헌 편,「인간 신재효의 재조명」, 『신재효 연구』, 태학사. 1997.
정노식, 「신오위장 소전」,『조선창극사』, p.256
최승범, 「도리화가에서 본 신재효와 진채선」,(『문학사상』147, 문학사상사 1985.1)
전경욱,「청중의 취향이 삽입된 판소리 가요 -시조․12가사․12잡가․가면극․민요․무가와의 교섭양상」, 《월간 문화예술》통권 118호, 한국문화예술진흥원,19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