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명과학] 줄기세포 연구 -성체, 배아, 유도만능

 1  [생명과학] 줄기세포 연구 -성체, 배아, 유도만능-1
 2  [생명과학] 줄기세포 연구 -성체, 배아, 유도만능-2
 3  [생명과학] 줄기세포 연구 -성체, 배아, 유도만능-3
 4  [생명과학] 줄기세포 연구 -성체, 배아, 유도만능-4
 5  [생명과학] 줄기세포 연구 -성체, 배아, 유도만능-5
 6  [생명과학] 줄기세포 연구 -성체, 배아, 유도만능-6
 7  [생명과학] 줄기세포 연구 -성체, 배아, 유도만능-7
 8  [생명과학] 줄기세포 연구 -성체, 배아, 유도만능-8
 9  [생명과학] 줄기세포 연구 -성체, 배아, 유도만능-9
 10  [생명과학] 줄기세포 연구 -성체, 배아, 유도만능-10
 11  [생명과학] 줄기세포 연구 -성체, 배아, 유도만능-11
 12  [생명과학] 줄기세포 연구 -성체, 배아, 유도만능-12
 13  [생명과학] 줄기세포 연구 -성체, 배아, 유도만능-13
 14  [생명과학] 줄기세포 연구 -성체, 배아, 유도만능-14
 15  [생명과학] 줄기세포 연구 -성체, 배아, 유도만능-15
 16  [생명과학] 줄기세포 연구 -성체, 배아, 유도만능-16
 17  [생명과학] 줄기세포 연구 -성체, 배아, 유도만능-17
 18  [생명과학] 줄기세포 연구 -성체, 배아, 유도만능-18
 19  [생명과학] 줄기세포 연구 -성체, 배아, 유도만능-19
 20  [생명과학] 줄기세포 연구 -성체, 배아, 유도만능-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생명과학] 줄기세포 연구 -성체, 배아, 유도만능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줄기세포 일반

2. 성체줄기세포

3. 배아 줄기세포

4. 만능유도줄기세포 (iPS,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

Ⅲ. 결론


본문내용
1) 연구현황
① 의학적 가능성
성체 줄기세포는 존재가 모두 확인되지 않았고, 세포의 수가 많지 않아 분리하기가 쉽지 않으며, 나이가 들수록 조직에 존재하는 성체 줄기세포의 숫자, 분화능력 및 증식능력이 감소한다. 또한 유전적 및 대사성 질환이 있는 환자의 경우 환자 자신의 자가 성체 줄기세포는 질병에 대한 세포 치료에 사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그러나 자가 성체 줄기세포는 증식과 분화능력 및 그 활용에 있어서 제한적인 것은 사실이지만 이미 의료현장에 초기 임상 적용이 되고 있으며 분화능력과 활용범위에 있어서 긍정적인 연구결과가 꾸준히 보고되고 있어 발전 가능성이 절대로 배아 줄기세포에 떨어지지 않는다. 또한 유전체가 안정되어 있고, 기형화와 종양화의 가능성이 거의 없음으로 인해 안전성이 높으며 자기세포를 사용하고 복제과정이 생략되므로 편의성, 반복성, 윤리성에서 큰 장점이 있다.
성체 줄기세포의 정의 및 개념이 변화되면서 발달생물학적 연구에 대한 관심이 증가 되었을 뿐 만 아니라 줄기세포를 이용한 임상적 세포치료의 경향 역시 기존의 배아 줄기세포나 핵치환에 의한 복제 배아 줄기세포에서 성체 줄기세포나 만능공여 줄기세포주 쪽으로 무게 중심이 이동하고 있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성체의 각 장기에서 추출한 자가 성체 줄기세포는 극단적인 경우 배아 줄기세포와 유사한 분화능력을 보이므로 본 세포를 세포치료에 사용할 경우, 배아 줄기세포 사용 시 필연적으로 동반되는 윤리적, 도덕적 및 법적인 문제와 논란을 해결할 수 있고, 자가 세포를 사용함에 따라 세포 이식에 따른 면역 거부 현상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배아 줄기세포는 발달 초기 단계의 분화 능력을 가지고 있어서 대개 외배엽, 중배엽 및 내배엽성 조직이 혼재되어 있는 세포들로 분화되며, 단독의 특이 세포 만으로의 분화 유도는 아직 쉽지 않아 생체 내 이식 시 기형 종양 발생이 동반 될 수 있으나, 성체 줄기세포를 성체 조직에 이식하여 성체의 세포 환경에 노출하였을 경우는 대개 성체 줄기세포가 유래된 기관 특이적인 세포로만 분화되므로 조직에 적합하지 않은 세포 혹은 조직으로의 분화(예를 들면 신경계 속에 근육세포, 심장 속의 신경관 발생)를 막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참고문헌
1. 단행본
강양구, 김병수, 한재각. 「침묵과 열광 황우석 사태 7년의 기록」. 후마니타스, 2006.
권복규, 김현철. 「생명윤리와 법」
2. 정기간행물
노진섭. “줄기세포 주사에 목숨 거는 사람들.” 「시사저널」, 2009년 10월 14일.
오성희. "수정 후 14일에 대한 생각.“ 「함께사는 길」, 2005년 9월호.
조선일보, 2009 .09. 01
조선일보, 2009. 04. 28
한겨레신문, 2009. 07. 28
생화학분자생물학뉴스 2009년 6월호
3. 미간행물
강경선. “성체줄기세포의 전망” 2001년 10월 18일, 대중 심포지엄.
김철근. “배아줄기세포연구의 가능성과 한계 - 잉여배아 활용과 배아복제의 비교”
김환석. “우리나라 인간배아 연구의 윤리적 쟁점과 입법방향”

생명공감시연대 토론회 - 인간배야연구, 이대로 좋은가?
4. 기타자료
김병수. “불법 임상치료 환자 88명, 건강상태 무방비 노출.” 2004, 참여연대.
기관생명윤리심의위원회 구성·운영 표준지침서. 2006년 12월.
박재형. “배아실험의 윤리적 문제점”. http://www.anticlone.kr (배아 복제를 반대하는 모임)
코메디닷컴. “해외 줄기세포치료 처벌해야 하나?”. http://www.kormedi.com
RNL BIO. http://rn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