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업을 위한 한국어 교육 연구

 1  직업을 위한 한국어 교육 연구-1
 2  직업을 위한 한국어 교육 연구-2
 3  직업을 위한 한국어 교육 연구-3
 4  직업을 위한 한국어 교육 연구-4
 5  직업을 위한 한국어 교육 연구-5
 6  직업을 위한 한국어 교육 연구-6
 7  직업을 위한 한국어 교육 연구-7
 8  직업을 위한 한국어 교육 연구-8
 9  직업을 위한 한국어 교육 연구-9
 10  직업을 위한 한국어 교육 연구-10
 11  직업을 위한 한국어 교육 연구-11
 12  직업을 위한 한국어 교육 연구-12
 13  직업을 위한 한국어 교육 연구-13
 14  직업을 위한 한국어 교육 연구-14
 15  직업을 위한 한국어 교육 연구-15
 16  직업을 위한 한국어 교육 연구-16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직업을 위한 한국어 교육 연구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들어가는 말

2. 직업을 위한 한국어 교육 특성
2.1 학습자 집단
2.2 정의 및 분류
2.3 특성
2.3.1 학습자의 직업과 관련된 목표
2.3.2 학습자, 학습 상황의 다양성
2.3.3 언어 학습과 내용 학습의 조화
2.3.4 일반 목적에서 직업 목적으로 세분화

3. 직업을 위한 한국어 교육 현황
3.1 국내 교육기관의 교육
3.2 정부 주관의 연수

4. ‘비즈니스 한국어’ 개발
4.1 개요
4.2 학습자 요구 조사: 조사 대상 및 설문지 구성
4.2.1 결과 분석 방법
4.2.2 결과 분석
4.3 소결론

5.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본문내용
2.3 특성

직업을 위한 한국어 교육은 일반 목적의 한국어 교육과 구별되는 다음과 같은 특성을 갖는다.

2.3.1 학습자의 직업과 관련된 목표
학습목표는 언제나 학습자의 직업과 관련되어 있다. 때때로 이것은 일반화된 비즈니스 스킬, 예를 들어 프리젠테이션하는 능력 등을 개발하는 것일 수도 있고, 때로는 매우 기술적이고 전문적인 능력을 요구할 수도 있다. 중요한 것은 학습자는 언제나 직업 목적으로 언어를 사용하려 한다는 것이다.

2.3.2 학습자, 학습 상황의 다양성
학습자들의 직업은 매우 넓게 분포하고 있다. 학습자들은 한국어를 주로 동료와 사용할 수도 있으며 낯선 고객 집단을 대상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그 밖에도 교육이 실시되는 곳이 회사일 수도 있고 학교일 수도 있으며, 교육 시간도 근무시간 중에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근무 시간 외에 이루어질 수도 있다. 직업을 위한 한국어 교육은 학습자 변인이 매우 다양하며 학습 상황도 다양하다는 특성이 있다.

2.3.3 언어 학습과 내용 학습의 조화
언어 기술은 실제 생활과 유사하게 구현된 상황에서 의사소통 중심의 교육(Communicative Language Teaching: CLT)에 따라 연습하게 될 것이다. 그러나 전문 분야 지식을 학습할 때는 내용 중심의 언어교수법(Content-based Instruction: CBI)을 따르는 것이 효과적이다.
내용 중심의 언어교수법은 특정 과목의 내용 학습과 외국어 학습을 통합하려는 시도에서 시작된 것으로 특정 과목의 내용 학습을 통해 언어를 학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언어 학습과 내용 학습 중 어디에 중심을 둘 것인가에 따라 ‘내용 우선 언어학습 프로그램(content-driven language programs), 내용 학습과 언어 학습의 병존 프로그램, 언어 우선 내용 학습 프로그램(language-driven content programs), 외국어 우선 학습 프로그램’으로 분류할 수 있다.
직업을 위한 한국어 교육이 국내에서 이루어지는지 국외에서 이루어지는지, 대학의 정규 과목으로 실시되는지 언어교육기관에서 실시되는지 등에 따라 내용과 언어의 중요도는 달라질 것이며 이에 따른 언어학습과 내용 학습의 조화가 필요하다.

2.3.4 일반 목적에서 직업 목적으로 세분화
특정 목적의 교육은 언어에 대한 일반적인 지식이 있다는 가정 하에서 이루어지므로 일반적인 중․고급 학습자를 위해 고안된다. 그러므로 직업을 위한 한국어 교육 과정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일반 목적에서 특정 목적으로 어떻게 분화할 것인지를 세밀하게 검토하여야 한다.
비즈니스 한국어의 교과과정을 개발한다면 다음과 같은 예가 될 것이다.

한국어 교육에서 일반 목적에서 직업목적으로의 분화

단계


활용



고급



중급



초급


목표 및 내용
•특정 직업 또는 세분화된 비즈니스 활동 관련 스킬
•직업에 따른 전문적인 어휘
•공적, 격식적인 생활을 위한 표현과 어휘


•공통된 비즈니스 스킬
•비즈니스, 직장 생활 관련 필수 어휘


•일상생활의 복잡한 문제 해결, 단순한 비즈니스 스킬
•한국 생활의 다양한 문화 요소 학습
•복잡한 일상 어휘


•한국어의 기본적인 표현
•일상생활에서의 의사소통
•일상 어휘



참고문헌
구민숙(2001), 외국인 노동자를 위한 한국어 교육 방안 연구-교재구성을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영실(1993), “비서영어교육을 위한 ESP 교과설계의 기초 연구”, 비서학논총 1(1), 한국비서학회, 25-44쪽.
김진숙(2003), 특정 목적 한국어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과제 단위 학습자 요구 분석-기업체 근무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박준언(2000), “외국어 학습의 최근 흐름과 우리나라 외국어 교육에의 시사점”, Foreign Languages Education 7(1), 한국외국어교육회, 1-23쪽.
배두본(2000), 외국어 교육 과정론, 한국문화사.
변혜경․서정미․와카츠키 사치코(2002), “주한 외국인 노무자를 위한 한국어 교육과정 개발의 기초연구”, 국제한국어교육학회 제12차 국제학술대회 발표논문집, 371-381쪽.
이정희․김지영(2003), “내용중심 한국어교육과정 수립을 위한 기초 연구”, 한국어교육 14-1,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11-232쪽.
전지현․최윤미(2000), “비즈니스 영어 평가 개발을 위한 델파이 연구”, 영어교육 57-2, 한국영어교육학회, 451-479쪽.
조항록(2001), “한국어 교육 환경의 변화와 대안의 모색”, 한국응용언어학회 2001 겨울학술대회 발표문.
조항록(2001), “한국어 교육의 현황과 교육정책”,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25․26, 연세대학교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149-178쪽.
조항록․김정숙․이미혜(2002), 한국어와 한국 생활, 한국산업인력공단.
황성훈(1999), 외국인 노동자 선교를 위한 교육과정 개발, 총신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14쪽.
황혜진(2001), “국제회의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ESP 교과과정 개발에 관한 연구”, Foreign Languages Education 8(1), 한국외국어교육회, 319-340쪽.
Donna, S.(2000), Teach Business English,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Douglas, D.(2000), Assessing Languages for Specific Purposes,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Dudley-Evans, T. & St. John, M. J.(1998), Developments in English for specific purposes.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Ellis, M. and Johnson, C.(1994), Teaching Business English,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Hutchinson, T., & Waters, A.(1987), English for specific purposes,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Johns, Ann M.(1991), “English for Specific Purposes(ESP)”, In Marianne Celce-Murcia(ed.), Teaching English as a Second or Foreign Language, 2nd ed, MA: Heinle & Heinle Publishers, 67-77쪽.
Jun-Eon Park(2003), “Research Issues in ESP”, Proceedings of the KATE 2003 Winter International Conference, The Korea Association of Teachers of English, 25-30쪽.
Munby, J.(1978), Communicative syllabus design,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Nunan, D.(1988), Syllabus Design,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Robinson, P.(1980), ESP(English for Specific Purposes), Oxford: Pergamon Press.
Robinson, P.(1991), ESP TODAY: A Practitioner’s Guide, Printice Hall.
Strevens, P.(1977), New orientations in the teaching of English,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Weddowson, H. G.(1978), Teaching Language as Communication,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