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문학사] 판소리 문학의 특질

 1  [한국문학사] 판소리 문학의 특질-1
 2  [한국문학사] 판소리 문학의 특질-2
 3  [한국문학사] 판소리 문학의 특질-3
 4  [한국문학사] 판소리 문학의 특질-4
 5  [한국문학사] 판소리 문학의 특질-5
 6  [한국문학사] 판소리 문학의 특질-6
 7  [한국문학사] 판소리 문학의 특질-7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국문학사] 판소리 문학의 특질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판소리의 정의와 특질

1) 판소리의 개념과 어원

2) 판소리의 특징

3) 판소리의 구성

4) 판소리 연행

2. 판소리의 형성과 발전

3. 판소리 열두 마당

1) 판소리 열두 마당

2) ‘타령’과 ‘가’

3) 판소리의 개작

4) 판소리 사설의 문학적 특성

5. 판소리계 소설의 작품세계

1) 판소리계 소설의 특징

2) 판소리계 소설의 주제


본문내용

3) 판소리의 구성

- 판소리의 3요소
① 광대 : 창과 아니리 발림을 한다
② 고수 : 북을 치고 추임새를 넣는다.
③ 관객 : 판소리를 구경한다.

- 판소리의 구성 요소
① 창(唱, 노래) : 일정한 곡조에 얹어 부르는 소리. 판소리 연창(演唱)에서 핵심
② 아니리(사설) : 창 아닌 말로, 창 도중에 이야기하는 말. 사건의 진행을 돕고, 광대의 숨을 돌리는 역할을 함다.
③ 발림(너름새) : 노래를 부르며 행하는 몸짓. 장면을 동작으로 묘사함으로써 관중의 이해를 돕는 역할을 한다.
④ 추임새 : 창자의 흥을 돋우기 위해 고수나 관객이 내는 소리. 분위기 조성과 무대 효과의 역할을 한다.
'얼씨구' '좋다' '잘 한다.' 등이 있다.


4) 판소리 연행
: 판소리는 광대․고수․관중으로 구성되는 소리판에서 연행되는 예술이다. 소리판은 아무런 장치가 없는 ‘빈 무대’로서, 원래 야외에서 벌어졌으나, 19세기 이후 실내 연행이 자리 잡으면서 대갓집이나 관청의 뜰․대청마루에서 벌어지는 경우가 많았다. 이때 광대는 부채를 들고 좌상객을 향하여 서고, 고수는 광대를 측면으로 마주보며 북을 잡고 앉고, 관중들은 그 주위에 둘러서거나 앉는다.
소리판이 구성되면 광대는 판소리에 앞서 허두가 또는 단가라고 불리는 짧은 노래를 먼저 부른다. 이는 소리판의 분위기를 조성하여 관중들의 동참을 유도하는 한편, 관중의 수준과 반응, 광대 자신의 목 상태를 미리 점검하고, 성대를 풀어 본격적인 판소리 창을 준비하는 동시에 음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한 것이다.
허두가가 끝나면 판소리로 들어가는데, 판소리 구연은 처음 담화체인 아니리로 시작하여 노래인 창으로 넘어가며, 이후 아니리와 창이 반복적으로 교체된다. 서사의 진행을 요약 서술하는 부분은 아니리로, 장면이나 사건을 초점화하여 묘사하는 부분은 창으로 구연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때 광대는 사설의 내용에 따라 발림 혹은 너름새라는 가벼운 몸짓을 곁들인다.
이때 고수와 관중은 반주와 추임새를 통해 판소리 연행에 동참한다. 고수의 북장단은 소리의 박자를 잡아주고 여러 부침 새의 공간을 메워주면서, 소리의 길을 열고 이끌어 간다. 고수의 북장단에 따라 광대의 소리가 살기도 하고 죽기도 하며, ‘일 고수 이 명창(一鼓手 二名唱)’이란 말이 있을 정도로 고수의 역할은 중요하다. 추임새는 광대의 창을 받쳐주면서 소리판 전체를 하나로 통합시키는 기능을 한다. 고수는 추임새로 창의 박자와 호흡을 조절해 주고, 관중은 자신들의 공감을 드러내어 광대를 격려하고 소리판의 흥을 돋운다. 추임새를 통해 광대․고수․관중의 일체화가 이루어지면서 무대는 관중석까지 확장되고, 소리판 전체의 극적 통합이 이루어진다.

2. 판소리의 형성과 발전

- 판소리의 형성과 전개
: 판소리가 처음 어떻게 발생했는지는 분명히 알려져 있지 않다. 판소리의 연원에 대해서는 문장체소설 기원설 · 설화기원설 · 중국 강창문학 운문과 산문이 섞여 있는 연예양식적 성격이 강한 중국문학의 한 양식. 문자 그대로 이야기(講)와 노래(唱)를 섞어서 연출하는 연예양식적 성격이 강한 중국 문학양식이다. 일명 설창이라고 하기도 하며, 설창예술이라고 하기도 한다. (http://100.naver.com/100.nhn?docid=743297)
(講唱文學) 기원설 · 서사무가 기원설 등 다양한 견해가 제시되어 있는데, 현재는 서사무가 기원설이 가장 유력하게 받아들여지고 있다.

- 서사무가 기원설 : 호남지역 세습무(단골무)들의 서사무가에서 판소리가 유래했다는 것.

참고문헌
강지희,「심청전의 형성과정과 현대적 변용 연구」, 조선대학교, 2005.
김승호,『한국 서사문학사론』, 국학자료원, 1997.
조동일,『판소리의 이해』, 창작과 비평사, 1978.
조동일,『한국문학통사 제4판 제3권』, 지식문학사, 2005.
http://cafe.naver.com/gaury.cafe?iframe_url=/ArticleRead.nhn%3Farticleid=14677(가우리 학문 공동체)
http://100.naver.com/100.nhn?docid=743297(네이버 국어사전 - ‘강창문학’)
http://krdic.naver.com/detail.nhn?docid=3676900(네이버 국어사전 - ‘관우희’)
http://krdic.naver.com/detail.nhn?docid=23893700(네이버 국어사전 - ‘신재효’)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