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수필] 이규보의 시에 나타난 생태적 사유연구

 1  [고전수필] 이규보의 시에 나타난 생태적 사유연구-1
 2  [고전수필] 이규보의 시에 나타난 생태적 사유연구-2
 3  [고전수필] 이규보의 시에 나타난 생태적 사유연구-3
 4  [고전수필] 이규보의 시에 나타난 생태적 사유연구-4
 5  [고전수필] 이규보의 시에 나타난 생태적 사유연구-5
 6  [고전수필] 이규보의 시에 나타난 생태적 사유연구-6
 7  [고전수필] 이규보의 시에 나타난 생태적 사유연구-7
 8  [고전수필] 이규보의 시에 나타난 생태적 사유연구-8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고전수필] 이규보의 시에 나타난 생태적 사유연구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목차-
1. 서론
2. 이규보의 도가사상과 생태주의
3. 이규보의 시에 나타난 생태적 사유
4. 결론

본문내용
2. 이규보의 도가사상과 생태주의

우주와 자연에 대한 도가사상의 입장은 생태주의 대부분의 생태주의가 동의하는 핵심적인 명제는 다음과 같다. (1)자연은 하나의 전체로서 유기체이다. (2)인간은 유기체로서 자연의 일부이다. (3)자연의 구성원은 평등하다. (4)인간은 자연 속에서 공존을 도모해야 한다.
와 유사성을 지니고 있다. 대부분의 생태주의가 동의하는 핵심적인 명제는 첫째, 자연은 하나의 전체로서 유기체이며, 둘째, 인간은 유기체로서 자연의 일부이다. 셋째, 자연의 모든 구성원은 평등하며 넷째, 인간은 자연 속에서 공존을 도모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를 염두에 두고 이규보의 도가사상을 살펴보도록 한다.
노장사상을 바탕으로 한 이규보의 도가사상은 제물(齊物), 망기(忘機), 소요(逍遙), 청정무위(淸淨無爲) 노평규, 「이규보의 철학사상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논문, 1991, p.107-115.
네 가지로 살펴볼 수 있는데, 제물과 망기만이 생태주의와 연관성을 지닌다. 제물은「장자」의 『제물론』편에 연원한 것으로 도의 관점―― 여기에는 만물은 시공의 제한을 받아 분(分), 성(成), 훼(毁)를 피할 수 없는 무상(無常)한 존재이고, 도는 상도(常道)로 항존보편(恒存普遍)자라는 것이 전제되어 있다 ――에서 일체를 하나로 한다는 것이 주지이다. 도는 절대 정신과 같은 것이며, 만물은 도 앞에 균등하므로 현상의 모든 차이는 상대적인 것이며 절대적인 도의 상태가 아니다. 그러므로 도의 세계에서는 인간과 자연의 구별이 무의미하다. 이규보는 제물론을 잘 체득하여 일물일물(一物一物), 사생(死生), 부귀빈천(富貴貧賤), 화복(禍福), 희비(喜悲), 몽각(夢覺), 대소(大小), 속(俗)과 산수대자연 등 일체를 등관(等觀: 평등한 관찰)하였다.
나아가 이규보는 만물이 평등하여 상하귀천을 구분하는 것은 의미가 없으므로 백성들도 인간생태계의 일원으로써 생태계 안에서 행복을 누릴 수 있어야 한다고 하였다. 이러한 이규보의 제물에 대한 사유는 일원론적 세계관에 입각하여 생명체와 인간을 둘러싼 만물 간의 관계를 통합적으로 인식하는 생태주의와 상통한다고 할 수 있다.
참고문헌
민족문화추진회, 국역 『동국이상국집』Ⅰ~Ⅵ, 1982.
박희병, 『한국의 생태사상』, 돌배개, 2005.
노평규, 「이규보의 철학사상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논문, 1991.

인용하지는 않았지만 참고하였던 논문들입니다.

김옥성, 「한용운의 생태주의와 시학」,『동양학』41집, 건국대학교 동양학연구소, 2007.
김철웅 「이규보의 도교관」,『 한국사상사학』13집, 한국사상사학회, 1999.
박희병, 「한국 전통사상의 생태주의적 음미」,『철학사상』15집,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2002.
이효걸, 「생태론의 빛과 그림자 : 환경 생태 문제에 대한 동양 철학의 대안」『중국철학』 5집, 중국철학회, 1997.
정륜, 「도가의 자연관과 환경윤리」,『범한철학』31집, 범한철학회, 2003.
최진석, 「도가의 자연관과 생태문제」,『동양철학』13집, 한국동양철학회 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