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시제의 개념 탐구 -`한국어 현재 시제의 다의적 현상에 대한 고찰`을 중심으로

 1  현재 시제의 개념 탐구 -`한국어 현재 시제의 다의적 현상에 대한 고찰`을 중심으로-1
 2  현재 시제의 개념 탐구 -`한국어 현재 시제의 다의적 현상에 대한 고찰`을 중심으로-2
 3  현재 시제의 개념 탐구 -`한국어 현재 시제의 다의적 현상에 대한 고찰`을 중심으로-3
 4  현재 시제의 개념 탐구 -`한국어 현재 시제의 다의적 현상에 대한 고찰`을 중심으로-4
 5  현재 시제의 개념 탐구 -`한국어 현재 시제의 다의적 현상에 대한 고찰`을 중심으로-5
 6  현재 시제의 개념 탐구 -`한국어 현재 시제의 다의적 현상에 대한 고찰`을 중심으로-6
 7  현재 시제의 개념 탐구 -`한국어 현재 시제의 다의적 현상에 대한 고찰`을 중심으로-7
 8  현재 시제의 개념 탐구 -`한국어 현재 시제의 다의적 현상에 대한 고찰`을 중심으로-8
 9  현재 시제의 개념 탐구 -`한국어 현재 시제의 다의적 현상에 대한 고찰`을 중심으로-9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현재 시제의 개념 탐구 -`한국어 현재 시제의 다의적 현상에 대한 고찰`을 중심으로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2.1. 시간의 인식과 시제: 과거 대 현재
2.2. 현재 시제의 다의적 현상에 대한 분석
가. 현재 시제와 상황 인식: 구조장과 실제장
나. 현재 시제와 시점 이동: 미래의 대용, 역사적 현재


3. 결론
본문내용
2. 본론

2.1. 시간의 인식과 시제: 과거 대 현재

시제는 외부의 객관적 사태가 시간과 관련하여 어떻게 언어적으로 표현되는가를 나타내는 문법범주이다. 그러므로 시제는 물리적인 시간을 그대로 반영하고 있는 것이 아니라고 할 수 있다. 즉, 시제는 시간 자체를 나타내는 것이 목적이 아니라 사태를 인식상의 시간선 위에 위치시키는 것이 그 주된 기능이다. 따라서 시제를 논할 때 가장 중요한 것은 ‘시간(time)’이라는 의미론적 개념과 ‘시제(tense)’라는 문법적 개념을 철저히 구분하는 일일 것이다. 미래나 과거도 현제 시제로 표현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우리는 시간이 흘러간다고 생각하는데 이는 추상적인 시간을 구체적으로 감각할 수 있는 공간으로 전환하여 인식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시간은 곧 시간 선으로, 물리적 현재를 포함하는 현재 시를 중심으로 왼쪽에는 과거시를, 오른쪽에는 미래시를 둔다. 또한 사태는 발화시를 기준으로 각각 지금보다 앞선 시간, 동일한 시간, 앞으로 다가올 시간에 있는 것으로, 우리에게 순서에 의한 시간으로 인식된다.
지금까지 국어에서 시간의 언어적 인식은 ‘-었-’의 부재 또는 ‘-었-’과 ‘-∅-’의 대립에 의한 과거와 비과거의 2분 체계로 보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이 비과거는 다시 ‘문맥’에 따라 현재와 미래로 나뉜다고 보고 있다. 이에 따라 아래의 (1ㄱ)은 과거를, (1ㄴ, ㄷ)은 각각 현재와 미래를 나타낸다.

(1) ㄱ. 그는 어제 수영을 했겠다.
ㄴ. 그는 지금 수영을 하겠다.
ㄷ. 그는 내일 수영을 하겠다.

(1ㄱ)에서 ‘-겠-’이 과거를 나타내는 것이 아니듯이, (2ㄴ, ㄷ)에서 ‘-겠-’이 현재와 미래는 지시하는 것이 아니라 비과거 시제가 각각 문맥에 의해 현재와 미래를 지시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참고문헌
김종도(1999). 『인지 문법의 토대 Ⅰ⋅Ⅱ (R. W. Langacker, Foundation of Cognitive Gramma Ⅰ⋅Ⅱ, 1991)』. 박이정.
김차균(1999). 『우리말의 시제 구조와 상 인식』. 태학사.
서정수(1976). 『국어 시상형태의 의미 분석 연구』. 문법 연구 3. 탑출판사.
이재성(2001). 『한국어의 시제와 상』. 국학자료원.
한동완(1996). 『국어의 시제 연구』. 태학사.
문숙영(2005). 「한국어 시제 범주 연구」. 서울대 박사학위논문.
신언호(2006). 「한국어 현재 시제의 다의적 현상에 대한 고찰」. 한국어 의미학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