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어로서의 한국어 수업을 위한 교재의 구성

 1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수업을 위한 교재의 구성-1
 2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수업을 위한 교재의 구성-2
 3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수업을 위한 교재의 구성-3
 4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수업을 위한 교재의 구성-4
 5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수업을 위한 교재의 구성-5
 6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수업을 위한 교재의 구성-6
 7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수업을 위한 교재의 구성-7
 8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수업을 위한 교재의 구성-8
 9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수업을 위한 교재의 구성-9
 10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수업을 위한 교재의 구성-10
 11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수업을 위한 교재의 구성-11
 12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수업을 위한 교재의 구성-12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수업을 위한 교재의 구성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머리말

2. 언어 교육의 원리
2.1. 의사소통 능력(Communicative Competence)과 언어 숙달도(Proficiency)의 개념
2.2. 언어 교육의 기본 원리

3. 말하기, 듣기, 읽기, 쓰기 교육과 교제 구성
3.1. 말하기 교육
3.2. 듣기 교육
3.3. 읽기 교육
3.4. 쓰기 교육

4. 맺음말

참고문헌
본문내용
그런데 이후 커넬(1983)은 의사소통 능력과 실제 의사소통(actual communication) 간의 차이를 인식하고 실제 의사소통이라는 용어를 즐겨 썼으며, 의사소통 능력이라는 용어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이는 언어와 의사소통을 위한 언어 사용과 기술에 관한 기저 지식을 의미할 뿐만 아니라 실제 의사소통 상황에서 지식을 기반으로 한 언어 수행 능력이라는 개념까지를 포괄하는 의미로 사용하였다.
언어 능력의 두 번째 구성 요소인 전략적 능력에는 평가(assessment), 목표 설정(goal getting), 계획(planning)이라는 세 단계의 초인지 전략이 포함된다. 평가는 특정 목표의 달성이 가능한 맥락을 결정하고, 특정 맥락에서의 목표 달성에 무엇이 필요한가를 결정하며, 어떤 언어 지식과 스키마가 목표를 수행하는 데 유용한가를 결정하는 것을 말한다. 목표 설정은 달성하고자 하는 하나 이상의 의사소통 목표를 설정하고 선정하며, 선정된 의사소통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시도의 수행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말한다. 계획은 주어진 의사소통 목적 수행을 위해 관련된 언어 지식 영역 선정하고 발화의 생산과 수용에서 이들 영역을 보충하기 위한 계획을 수립하는 것을 말한다.
그런데 1980년대에 들어 언어 평가와 관련되어 언어 숙달도(proficiency)라는 용어가 도입되어 의사소통 능력과 함께 언어 능력을 규정하는 개념으로 사용되기 시작하였다. 언어 숙달도는 그 언어를 이용해 무엇을 수행할 수 있는가 하는, 언어의 기능적 측면을 강조한 것으로, 실생활에서의 언어 수행에 기반을 둔 일련의 언어능력이다.
숙달도의 개념을 가장 분명하게 살펴볼 수 있는 것으로 ACTFL(American Council on the Teaching of Foreign Languages)의 숙달도 등급 체계1)를 들 수 있다. 여기서는 숙달도를 초급(Novice)-중급(Intermediate)-고급(Advanced)-최상급(Superior)의 주요 4등급으로 나누고, 이를 다시 세분하여 전체를 9등급으로 나누었다. 그리고 평가 범주를 과제/기능(task/function), 맥락(context), 내용(content), 정확성(accuracy), 담화 형태(text type)로 설정하였다. 여기서 과제/기능이란 화자가 그 언어를 이용한 실세계에서의 과제 수행 능력을 말하는 것으로, 숙달도가 높아질수록 정형화된 발화, 나열 등의 기능으로부터 질문과 대답→설명과 묘사→추상화, 가설 수립, 논쟁 등의 기능 수행 능력으로 발전한다. 맥락은 화자가 처해 있는 환경 및 조건을 말하는 것으로, 숙달도가 높아질수록 예측가능한 일상적인 맥락으로부터 → 일부 비공식적 맥락, 제한적인 사회적 맥락 → 대개의 비공식적 맥락, 일부 공식적 맥락 → 대개의 공식적, 비공식적 맥락으로 발전한다.
내용은 대화의 화제나 주제를 일컫는 것으로, 숙달도가 높아질수록 일상생활과 관련된 극히 일반적인 분절 요소로부터 → 자신과 인접 환경과 밀접하게 관련된 화제 → 개인적이거나 공공의 관심사와 관련된 구체적이며 실제적인 화제 → 일반적인 화제와 일부 전문 분야의 화제를 다룰 줄 아는 능력으로 발전한다. 정확성은 전달되는 메시지의 수용가능성, 질, 정확성 등을 말하는데, 여기에는 유창성, 문법, 발음, 어휘, 화용적 능력, 사회언어학적 능력 등이 포함된다. 숙달도가 높아질수록 외국인에게 익숙한 사람도 이해하기 힘든 단계로부터 외국인에게 익숙한 화자라면 반복을 통해 이해할 수 있는 단계 → 외국인에게 익숙지 않은 화자라도 반복을 통해 이해할 수 있는 단계 → 오류가 있기는 하나 의사소통을 방해하지는 않는 정도로 발전한다.
담화 형태는 담화의 구조에 대한 영역으로, 담화의 양과 구성적인 측면에 관한 것으로, 숙달도가 높아질수록 분절된 단어나 구로부터 → 분절된 문장이나 문장의 연쇄 → 문단 → 2
참고문헌
김공언(1985), 한국어 교재 개발의 기술적 문제, 이중언어학 2. 이중언어학회.
김영만(1999),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재 개발 연구, 한국외국어대 박사학위논문.
김영만(1999), 한국어 교수․학습 개선 방향. 이중언어학 16, 이중언어학회.
김영만(2000), 한국어 교재 개선 방안에 대한 연구, 제1차 한국어교육 국제학술대회 발표문, 한국어세계화추진위원회․이중언어학회.
김영만(2001), 학습자 중심의 한국어 교육 방향, 외국어교육연구논집 15, 한국외대 외국어교육 연구소.
김중섭․이관식(1999),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교재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말 교육10-1, 국제한국어교육학회.
김하수 외(1997), 한국어 능력 평가 제도의 기본 모형 개발에 관한 최종 연구 보고서, 문화관광부.
김하수(1998), 한국어 세계화 추진을 위한 기초 기반 구축 사업 1차년도 결과 보고서: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을 위한 기본 문형 선정 연구, 문화관광부.
김하수(1999), 범용 한국어 교육 교재(초급)의 개발 사업 보고서, 문화관광부.
김하수 외(2000), 한국어 초급 교재 개발 사업 보고서, 문화관광부.
민현식(2000), 한국어 교재의 현황과 개발 방향, 제2회 한국어 교육 국제학술회의 발표문,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박경자 외(1998), 영어교육입문, 박영사.
박영순(2001),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론, 월인.
백봉자(1991), 한국어 교재 개발을 위한 기초 작업, 교육한글 4, 한글학회.
이관규(1995), 한국어 교재 구성 원리와 내용, 이중언어학 12, 이중언어학회.
이정노(1991),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교재 편찬에 있어서 고려할 몇 가지, 교육한글 4, 한글학회.
최정순(1997), 개발자로서의 교사, 한국어 교육 8, 국제한국어교육학회.
ACTFL(1989), The ACTFL Oral Proficiency Interview - Tester Training Manual, ACTFL.
ACTFL(1989), Oral Proficiency Interview. New York: The American Council on the Teaching of Foreign Languages.
Bachman, F. Lyle(1991), "What Does Language Testing Have to Offer?" Tesol Quarterly, Vol 25, No.4, Winter 1991.
Breen, M.(1987), Learner Contributions to Task Design. In Candlin, C., & Murphy, D. (Eds). 1987, Language Learning Tasks. Prentice Hall.
Brown, H. Douglas(1994), Teaching by Principles - An Interactive Approach to Language Pedagogy. Prentice Hall Regents.
Brown, H. Douglas(1994), Principles of Language Learning and Teaching, 3rd edition, Prentice Hall Regents.
Hymes, D.(1972), On Communicative Competence. In Pride, J and Holmes, J. (Eds). Sociolinguistics, Penguin.
Nunan, David(1989), Designing Tasks for the Communicative Classroom. Cambridge University Press.
Omaggio, Alice H.(1993), Teaching Language in Context, Heinle & Heinle Publishers.
Sohn, H.(1993), Korean Proficiency Guidelines, Journal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4. IAKLE.
Sohn, H.(1995), Performance-based Principles and Proficiency Criteria for KFL Textbook Development. Journal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6. IAKLE..
Tomlinson, B.(1998), Materials Development in Language Teaching, Cambridge University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