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교재의 연구사와 변천사

 1  한국어교재의 연구사와 변천사-1
 2  한국어교재의 연구사와 변천사-2
 3  한국어교재의 연구사와 변천사-3
 4  한국어교재의 연구사와 변천사-4
 5  한국어교재의 연구사와 변천사-5
 6  한국어교재의 연구사와 변천사-6
 7  한국어교재의 연구사와 변천사-7
 8  한국어교재의 연구사와 변천사-8
 9  한국어교재의 연구사와 변천사-9
 10  한국어교재의 연구사와 변천사-10
 11  한국어교재의 연구사와 변천사-11
 12  한국어교재의 연구사와 변천사-12
 13  한국어교재의 연구사와 변천사-13
 14  한국어교재의 연구사와 변천사-14
 15  한국어교재의 연구사와 변천사-15
 16  한국어교재의 연구사와 변천사-16
 17  한국어교재의 연구사와 변천사-17
 18  한국어교재의 연구사와 변천사-18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국어교재의 연구사와 변천사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머리말

2. 한국어 교재 연구사
2.1 1970년-1989년
2.2 1990년-1999년
2.3 2000년-2005년

3. 한국어 교재 변천사
3.1 근대계몽기-1958년
3.1.1 외국인 대상 교재
3.1.2 재외동포 대상 교재
3.2 1959년-1985년
3.2.1 외국인 대상 교재
3.2.2 재외동포 대상 교재
3.3 1986년-1997년
3.3.1 외국인 대상 교재
3.3.2 재외동포 대상 교재
3.4 1998년-2005년
3.4.1 외국인 대상 교재
3.4.2 재외동포 대상 교재

4. 맺음말

참고문헌
본문내용
2.2 1990년~1999년

1990년대에 들어와 한국어 교재에 대한 연구결과물이 많아지면서 연구 분야도 다양해지기 시작하였다. 이 시기에 발표된 학술지논문이나 학술대회 발표논문은 약 40편 정도이며, 학위논문은 교재 개발에 관한 박사학위 논문 2편과 석사학위 논문 6편이 있다. 전체적으로 많이 이루어진 연구 분야는 한국어 교재 개발 분야로 한국어 교재의 구성이나 내용 분석 및 검토를 통해 새로운 교재 개발을 제안하였다.
첫째, 한국어 교재 개발과 관련하여 개발의 방향과 방법에 대한 논의들로 이루어졌다.
둘째, 한국어 교재가 국내외에서 다양한 언어권별로 개발되면서 그와 관련된 연구 결과가 나오기 시작했다.
배회임(1990)과 리득춘(1997)에서는 중국인을 위한 교재 개발에 대한 연구를 하였다. 간노 히로오미(1991), 노마 히데키(1996)에서는 일본 사람의 입장에서 일본인을 위한 교재 개발에 대한 연구 결과를 발표하였다. 빌프리트 헤르만(1991)에서는 베를린 홈볼트 대학교의 교재 개발을 논의하였고, 김영순․보덴명래(1998)에서는 독일어권 한국인 2세를 위한 교재 개발에 대해 논의한 바 있다. 백웅진(1991)과 백봉자(1999)에서는 캐나다를 비롯하여 서양어권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교재 개발에 대해 연구하였고, 마주르 유엔(1991)에서는 러시아 학습자, 오가레크-최(1991)에서는 폴란드인 학습자를 위한 교재 개발에 대해 논의하였다.
셋째, 교재 분석이나 교재 개발에 대한 논의를 바탕으로 하면서 특정 분야나 영역에 대해 연구한 결과물은 다음과 같다.

(1) 이응백(1991), 러쓰 킹(1991), 서혁(1992), 이지연(1992), 김종운(1995), 이동재(1995), 권순희(1996), 우인혜(1996), 최정순(1996, 1997), 이상억(1998), 김선정․허용(1999), 김수정(1999), 김중섭(1999), 노은희(1999), 이해영(1999ㄱ. ㄴ), 진대연(1999), Wang, Hey-sook(1999)

자료 (1)에서는 교재 분석의 기준, 교재와 교사 역할의 관계, 교재와 교수법의 관계, 교재에 나타난 문법 분석, 오류와 교재 구성, 북한에서 사용되는 한국어 교재의 분석이나 기존에 출판된 특정 교재에 대한 분석, 교재 개작, 컴퓨터 보조 보충교재 개발, 부교재 개발, 교재와 문화, 교재에 나타난 화행 등과 관련되는 내용의 연구가 이루어졌다.
넷째, 이 시기에 나온 학위논문은 교육과정과 교재 개발에 관한 박사학위 논문과 석사학위 논문이 있다.
김정숙(1992)은 교육과정 개발과 교재에의 적용에 대해 연구하였고, 권미정(1992)에서는 기존 교재를 비교 검토하여 새 교재 모델을 모색하고 있다.
1990년대는 한국어 교재에 대한 연구결과물이 많아지고 연구 주제 및 연구 방향도 다양해지기 시작하였다. 곧, 교재 개발의 방향과 방법에 대한 논의가 활발해지고, 국내외에서 다양한 언어권별로 교재 개발 연구가 이루어졌으며, 주교재를 비롯하여 부교재 개발에도 관심을 갖기 시작하였다.

2.3 2000년~2005년

한국어 교재에 대한 연구는 2000년 이후에 와서 연구 주제도 더욱 다양해지고 연구 방법도 구체화, 세분화되었다. 이 시기에 발표된 학술지논문이나 학술대회 논문은 약 80편 정도이며, 학위논문은 약 40편 정도이다.
첫째, 교재 현황 분석 및 개발에 대한 연구로 새로운 교재를 개발하기 위해 기존의 교재를 분석하고 교재 개발의 이론적 검토와 논의가 이루어졌다.
둘째, 국외에서 개발하고 사용할 한국어 교재에 대한 연구로 호주, 중국, 영국, 미국, 대만, 러시아, 불가리아, 태국 등 여러 나라에서 필요한 교재 개발에 대해 논의하고 있다.
셋째, 교재 개발 방안에 관한 구체적인 논의가 이루어졌다. 교재의 유형이 다양해지면서 각 유형별 교재 개발에 대한 연구 결과가 나오기 시작하였다. 통합 교수를 위한 한국어 교재 개발이나
참고문헌
강승혜(2003), 한국어 교재 개발을 위한 학습자 요구 분석,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 28.
강인애(2001), 왜 구성주의인가, 문음사.
강현화(2004), 회화 교재의 주제 유형과 어휘,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 29.
고영근(1971), Review of: S E Martin et al Beginning Korean(1969), 언어교육 3-1.
고영근(1987), 국어문법의 연구, 탑출판사.
고영근(1998), 한국어문운동과 근대화, 탑출판사.
고영근(2001), 역대 한국문법의 통합적 연구, 서울대학교 출판부.
구로사와 신지(2003), 일본 지역 한국어교육 자료의 실태 및 개발 방향, 제4차 한국어세계화 국제학술대회, 한국어세계화추진위원회.
권현숙(2003), 전자교과서의 제작과 활용, 문학 교육을 통한 한국어교육,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003년도 춘계학술대회.
김경선(2003), 중국 지역 한국어교육 자료의 실태 및 개발 방향, 제4차 한국어세계화 국제학술대회, 한국어세계화추진위원회.
김문조(1998), 정보화 시대의 문화와 문화교육, 이중언어학 14, 이중언어학회.
김소영(2003), 불가리아 지역 한국어교육 자료의 실태 및 개발 방향, 제4차 한국어세계화국제학술대회, 한국어세계화추진위원회.
김순녀(2003), 중국 지역 한국어 교재의 현황과 과제, 제4차 한국어세계화 국제학술대회, 한국어세계화추진위원회.
김영만(1999),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재 개발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박사논문.
김영만(2001ㄱ), 학습자 중심의 한국어교육 방향, 외국어교육연구논문집 15, 한국외대.
김영만(2001ㄴ), 고급 수준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교재 단원 구성 방안, 한국어교육 12(2), 국제한국어교육학회
김영만(2005), 한국어교육의 이론과 실제, 역락출판사.
김영배(1997), 평안 방언 연구, 태학사.
김영아(2001), 호주의 한국어 교재 개발 현황 및 방향, 제2차 한국어세계화 국제학술대회, 한국어세계화추진위원회.
김유정(2001), 초급 교재에서의 주제․기능․문법의 상관성, 제2차 한국어세계화 국제학술대회, 한국어세계화추진위원회.
김윤경(2002), 중국에서의 외국인을 위한 중국어 교육과 교재, 이중언어학 제20호, 이중언어학회.
김은주(2003), 미국 대학에서의 한국어 교육과정, 국제한국어교육학회 제13차 국제학술대회 발표문, 국제한국어교육학회.
김정숙(2001), 한국어 초급 교재에서의 과제 구성의 실제성, 제2차 한국어세계화 국제학술대회, 한국어세계화추진위원회.
김정숙(2002), 한국어 교수요목설계와 교재구성, 21세기 한국어교육학의 현황과 과제, 한국문화사
김정숙(2004), 한국어 읽기, 쓰기 교재 개발 방안, 한국어교육 15-3, 국제한국어교육학회.
김정우(2005), 한국어 교재 개발을 위한 중국 교수 학습자들의 요구 분석 연구, 한국어교육 제16권 1호, 국제한국어교육학회.
김정화․황인교(2001), 초급단계에서의 듣기 교육자료의 실제성, 제2차 한국어세계화 국제학술대회, 한국어세계화추진위원회.
김종운(1995), 컴퓨터 보조 한국어 보충교재의 개발, 이중언어학회 제7차 국제대회 발표논문, 이중언어학회.
김중섭 외(2000-2003), 한국어 초급Ⅰ,Ⅱ/ 중급Ⅰ,Ⅱ/ 고급Ⅰ,Ⅱ, 경희대학교 출판국.
김중섭․이관식(1997),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교재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어교육 10-1.
김현진(2003), 한국어 중급 2 교재 개발, 제4차 한국어세계화 국제학술대회, 한국어세계화추진위원회.
김혜정(2003), 서유럽에서의 한국어 교재 개발 방향, 제4차 한국어세계화 국제학술대회, 한국어세계화추진위원회.
노금송(2004), 초급 한국어 교재 분석과 교재 개발, 한국(조선)어교육연구 2, 중국한국(조선)어교육연구학회.
노마 히데키(1996), 바람직한 한국어 교재란? - 일본어 화자의 경우, 어학연구소논집 제1호, 동경외국어대학.
노마 히데키(2001), 일본에서의 한국어 교육, 언어권별 한국어교육,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1차 국제학술회의 자료집.
노명완(2001), 한국어교육을 위한 교재론, 제2차 한국어세계화 국제학술대회, 한국어세계화추진위원회.
노형남(2001), 스페인의 외국인을 위한 언어 교육과 교재 개발, 제2차 한국어세계화 국제학술대회, 한국어세계화추진위원회.
라혜민, 우인혜(1999), 한국어 교재의 효율적 개발 방향, 한국어교육 10-2.
러쓰 킹(1991), 마틴-리의《한국어 입문》(1969)에 새 생명을 더하면서, 교육한글 제4호, 한글학회.
루라 아딘다(2003), 인도네시아 지역 한국어교육 자료의 실태 및 개발 방향, 제4차 한국어세계화 국제학술대회, 한국어세계화추진위원회.
마주르 유엔(1991), 러시아와 소련에서의 한국어학과 한국어교육, 이중언어학 8, 이중언어학회.
문금현(2001), 구어 중심의 한국어 교재 편찬 방안에 대하여, 국어교육 105.
민현식(2000), 한국어 교재의 실태 및 대안, 제2회 한국어교육 국제학술회의,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민현식(2002), 한국어교재론, 동남아시아 한국어교육의 오늘과 내일, 국제한국어교육학회.
박영순(2003), 한국어 교재의 개발 현황과 발전 방향, 한국어교육 14-3.
방성원(2003), 고급 교재의 문법 내용 구성 방안, 한국어교육 14-2.
백봉자(2001), 교재와 교수법을 통해 본 한국어교육의 역사와 과제,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25․26, 연세대 한국어학당.
서강대학교 한국학센터(2002-2005), 서강 한국어 1A, 2, 2A, 3A, 3B, 4, 하우.
서울대학교 어학연구소(1997), 한국어 1-4, 풍남.
서희정(2004), 학습자 중심 워크북 개발 방안 연구, 한국어교육 15-3, 국제한국어교육학회.
성기철(1998), 한국어교육의 목표와 내용, 이중언어학 15. 이중언어학회.
손호민(2004), 한국어교육 자료 개발의 새로운 방향, 국제한국어교육학회 제14차 국제학술대회 발표문. 국제한국어교육학회.
신현숙(2003), 근현대 한국어 교재 분석: 단원명과 단원구성의 흐름, The Korean Language in America 8, American Association of Teachers of Korean.
신현숙․이지영(2004ㄱ), 한국어 교재의 어휘 범주 분석: 1960년대, 국어교육 제113호, 한국국어교육연구학회.
신현숙․이지영(2004ㄴ), 한국어 교재의 단원명과 단원구성: 1981~2003, 한국(조선)어교육연구 2, 중국한국(조선)어교육연구학회.
싯티니 탐마차이(2003), 태국에서의 한국어 교재 개발, 제4차 한국어세계화 국제학술대회, 한국어세계화추진위원회.
연세대학교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2002), 자료 日韓會話,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27. 연세대학교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우인혜(2000), 한국어 인터넷 초급 교재 비교 분석-국제교육진흥원․모나쉬대․문화관광부․서강대 초급 인터넷 교재 중심으로, 새국어교육 60, 한국국어교육학회.
유영미(2001), 미국에서의 한국어 교재 개발 현황 및 방향, 제2차 한국어세계화 국제학술대회, 한국어세계화추진위원회.
유타니 유키토시(2001), 일본에서의 한국어교육용 소프트웨어 개발 현황 및 방향, 제2차 한국어세계화 국제학술대회, 한국어세계화추진위원회.
윤금선(2004), 19시게 초 재미 한인의 국어교육, 국어교육 113, 한국국어교육연구학회.
이관식(2005), 북한의 한국어교육 회화교재 분석 연구, 한국어교육 16-1, 국제한국어교육학회.
이미혜(2003), 직업을 위한 한국어교육 연구, 한국어교육 14-2, 국제한국어교육학회.
이상억(1983), 해외 교포 자녀를 위한 국어교육의 효율적 방안, 해외 자녀 교육의 현황과 과제, 이중언어학회.
이정희(2004), 한국어 부교재 개발에 관한 학습자 요구 조사 및 구성 방안, 이중언어학 25.
이주행(2004), 남한과 북한의 외국인을 위한 문법 교과서 비교 분석, 국어 교육 115, 한국국어교육연구학회.
이지영(2002), 근현대 한국어 교재의 사적 고찰, 국어교육연구 13, 국어교육학회.
이지영(2005), 1930년대 구소련 원동지역 한인 초등학교 문법 교재 내용 분석, 한국어교육 제16권 1호, 국제한국어교육학회.
이해영(1999), 이해 중심 기능의 교수 원리와 부교재 작성. 국제한국어교육학회 워크샵 발표요지, 국제한국어교육학회.
이해영(2001ㄱ), 교사용 지침서 개발의 원리와 실제, 제2차 한국어세계화 국제학술대회, 한국어세계화추진윈원회.
이해영(2001ㄴ), 한국어 교재에서의 주제와 과제 구성 방향 점검, 연세대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교육 학술대회 발표지.
이향순(2003), 북미 지역 한국어교육 자료의 실태 및 개발 방향, 제4차 한국어세계화 국제학술대회, 한국어세계화추진위원회.
임호빈 외(1987),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문법, 연세대학교 출판부.
정명숙(2003), 한국어 중급 1 실물교재 및 워크북 개발, 제4차 한국어세계화 국제학술대회, 한국어세계화추진위원회.
조항록(2003ㄱ), 한국어 교사 교육용 교재 개발, 제4차 한국어세계화 국제학술대회, 한국어세계화추진위원회.
조항록(2003ㄴ), 한국어 교재 개발의 기본 원리와 실제,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28.
조항록(2004), 한국어 교재 개발의 사적 흐름과 최근의 한국어 교재 분석, 한국(조선)어교육연구 2, 중국한국(조선)어교육연구학회.
조현용(2003), 한국어 교재 개발에서 고려할 점에 대하여, 국제한국어교육학회 제13차 국제학술대회 발표 자료집.
차윤정(2004), 근대 조선어 학습서에 나타난 오류 표현과 원인 분석, 한국어교육 제15권 3호, 국제한국어교육학회.
최성욱(1995),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을 위한 교재 개발 및 편찬 방법 연구, 홍익어문 14, 홍익대학교.
최인실(2003), 대양주 지역 한국어교재 개발의 현황과 미래 개발 방향, 제4차 한국어세계화 국제학술대회, 한국어세계화추진위원회.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