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윤리] 동성애에 대한 철학적 고찰

 1  [사회윤리] 동성애에 대한 철학적 고찰-1
 2  [사회윤리] 동성애에 대한 철학적 고찰-2
 3  [사회윤리] 동성애에 대한 철학적 고찰-3
 4  [사회윤리] 동성애에 대한 철학적 고찰-4
 5  [사회윤리] 동성애에 대한 철학적 고찰-5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사회윤리] 동성애에 대한 철학적 고찰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 문제제기
Ⅱ.본론
1) 한국에서의 동성애자의 현실과 인권침해 사례
2)동성애에 관한 철학적 접근
공리주의의 입장에서의 접근
밀의 자유론적 접근에서의 동성애
롤즈의 ‘무지의 베일’ 을 통한 동성애 인권보호에 대한 접근
포스트모더니즘 입장에서의 동성애
Ⅲ.결론
본문내용
➂ 방황하는 동성애자들
동성애자를 다방면으로 연구하며 그 기록을 정리해놓은 ‘동성애의 심리학’ 5) 윤가현 ‘동성애의 심리학’ , 학지사 , 1997
이라는 책에서는 많은 수의 동성애자들이 자신의 성정체성을 받아들이기 힘들어하며 이들 중 상당수는 결혼을 통해 이성애 제도에 편입하려고 노력한다고 말하고 있다.
저자에 따르면, 전체 레즈비언의 1/3은 결혼을 하며 그 중에 절반은 아이까지 낳는다고 한다. 또한 동성애자들은 자신의 성정체성을 인정하는 시기도 이성애자에 비해 매우 늦다. 비언의 경우에는 평균 22세, 여성 양성애자의 경우에는 평균 25세에 이르러서야 자신의 정체성을 겨우 인정하는 걸로 보고하고 있다.

2) 동성애에 대한 철학적 접근
① 공리주의적 관점에서의 접근
공리주의적 접근에서는 동성애는 호의적으로 해석될 여지가 많다. 벤담은 직접적으로 공리주의 철학의 이름으로 동성애에 무죄화에 대해 성찰하였다. 벤담은 살던 시대에는 동성애자에 대한 차별이 만행하던 시절이었다. 이런 시기에 벤담은 ""그 어떤 것도 반자역적이라거나 탈 자연적이라 말할 수 없다" 공리주의 철학의 이름으로 동성애 무죄화에 대해 성찰하였다. 그는 동성애가 다른 사람에게는 고통을 주지 않지만 어떤 사람에게는 쾌락을 주기 때문에 사회적으로 해롭지 않고 문제가 없다고 생각하였다. 그는 또한 모든 사람에게 성적 쾌감을 추구할 권리가 있다면 그것이 동성애자에게도 평등하게 주어져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오히려 동성애자 대한 사회적 편견과 억압이야말로 그들의 성적 쾌락을 박탈하고 고통을 야기하기 때문에 비도덕적인 것으로 비난 받아야 된다고 말하였다.

이와같이 공리주의적 관점에서는 동성애라는 남에게는 피해를 주지 않고 자신의 쾌락을
추구하는 행동이다. 이는 어떤 행위가 관련 당사자들에게 최대의 효용성 또는 행복을
가져다 줄 때 옳다는 공리주의 윤리설에 부합한다. 이관점에서는 동성애자들을 비난하고
차별하는 사람들은 사회구성원 중인 하나인 동성애자의 사회적 적응력이나 능력 활용을
떨어뜨려 사회 전체에 불이익을 가져오는 사람들이다.

➁ 밀의 자유론적 접근에서의 동성애
밀은 자유론에서 사람은 예외적으로 다른 사람에게 해를 끼칠 때를 제외하고 개인의 자유가 구속되는 것이 정당하지 않다고 주장한다.

밀의 자유론에 입각해서는 동성애는 각자가 자기의 자유를 추구하는 삶의 방식중에 하나고 타인에게는 해를 끼치지 않기 때문에 ‘위해의 원리’ 해당되지 않음으로 정당화 될 수 있다. 그러나 ‘혐오의 원리’ 에 있어서는 논란의 여지가 있을 것이다. 그러나 장애인을 보기에 불편하다는 이유로 차별하는 것이 ‘혐오의 원리’ 에 의해 정당화 되지 않듯이 단순히 자신이 보기에 불편하다는 이유로 동성애를 차별하는 것은 ‘혐오의 원리’ 에 의해 정당화 되기 힘들 것이다.

➂ 롤즈의 ‘무지의 베일’ 을 통한 동성애 인권보호에 대한 접근
롤즈는 자유주의적 체계아래서도 기본적인 사회적 약자들의 배려를 주장하면서 내 자신이 다음에 어떤 위치나 지위에 있을지 모르는 ‘무지의 베일’ 을 쓴채 사회적 조약에 대해 합의하면 모두가 사회적 약자의 보호에 동의할 것이라고 말하였다.
이러한 롤즈의 ‘무지의 베일’ 의 조건들 중에 ‘성적 지향’ 을 포함시켜서 생각해본다면 우
참고문헌
조성민, .사회윤리적 판단의 기준과 원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