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신화] 서왕모(西王母)이미지의 변화

 1  [중국의 신화] 서왕모(西王母)이미지의 변화-1
 2  [중국의 신화] 서왕모(西王母)이미지의 변화-2
 3  [중국의 신화] 서왕모(西王母)이미지의 변화-3
 4  [중국의 신화] 서왕모(西王母)이미지의 변화-4
 5  [중국의 신화] 서왕모(西王母)이미지의 변화-5
 6  [중국의 신화] 서왕모(西王母)이미지의 변화-6
 7  [중국의 신화] 서왕모(西王母)이미지의 변화-7
 8  [중국의 신화] 서왕모(西王母)이미지의 변화-8
 9  [중국의 신화] 서왕모(西王母)이미지의 변화-9
 10  [중국의 신화] 서왕모(西王母)이미지의 변화-10
 11  [중국의 신화] 서왕모(西王母)이미지의 변화-11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중국의 신화] 서왕모(西王母)이미지의 변화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 머리말

■ 이야기 속의 서왕모 신화

■ 그림 속의 서왕모 신화

■ 현대의 서왕모의 모습

참고문헌
본문내용
■ 그림 속의 서왕모 신화

고대 서왕모의 모습 즉, 에 등장하는 괴이한 모습의 서왕모 그림은 쉽게 찾아보기 힘든데 이를 묘사한 그림이 과거에 흔히 존재하지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중국 미술의 특징을 볼 때 사실상 신화를 바탕으로 한 미술작품은 자주 등장하지 않았다. 고대의 제의를 위한 공예품이나 고분 벽화, 부장품 중에 신화를 기반으로 한 미술품이 있었으나 중국은 이미 후한 때부터 종교적 미술, 불교미술이 조각과 공예의 거의 대부분을 차지하게 된다. 또한 회화에 있어서도 객관적이고 사실적인 묘사를 토대로 추상화를 배척하는 중국 회화의 특성상, 허무맹랑한 이야기에 속하는 신화를 주제로 한 그림은 흔한 것이 아니었다.
그러나 서왕모의 모습은 도교의 신선사상과 더불어 인간과 매우 가까운 신으로 묘사되어 지면서 종종 그 모습을 비춘다. 왼쪽의 그림은 서왕모의 가장 원시적인 형상을 묘사한 그림으로 에서 읽어낼 수 있는 모습보다는 비교적 초라하지만 결코 아름답지 않은 모습을 보이고 있다. 마치 서양의 마귀할멈과 같은 인상을 주는 이 그림은 청나라 왕불의 에 등장하는 이미지로 을 읽고 묘사한 것으로 보인다.
한대는 유가사상이 통치 이데올로기로 확립된 시기로 한대 초기를 지나며 무제 때에 유가사상이 우위를 점하게 되고, 이러한 사상적 성향은 여러 방면에 흔적을 남기게 되는데, 한대의 화상석묘나 사당 역시 당시의 독특한 역사, 문화적 배경 하에서 나오게 된 문화현상 중의 하나로 볼 수 있다. 나라가 강해지고 부유해지자 각지의 제후와 호족들이 화려한 무덤을 만들 수 있는 사회경제적 분위기가 조성되고, 불사와 장생 추구의 사회문화적 요소들 때문에 성행하게 된 후장 풍습은 화상석묘가 성행한 중요한 원이이라고 볼 수 있다. 무덤이나 사당의 벽에 새겨진 화상석 석조의 분묘(墳墓)나 사당(祠堂)의 평평한 내벽(內壁)·석주(石柱)·석관(石棺) 등의 표면, 또는 전(塼)·축묘(築墓)의 석문(石門) 등에 새겨진 장식화상(裝飾畵像).
에는 역사인물이나 일상생활의 여러 모습들이 등장할 뿐 아니라 신화전설에 관한 이미지들이 많이 등장한다. 김선자. “도상해석학적 관점에서 본 漢代 畵像石 :西王母 圖像을 중심으로”. 「중국어문학논집」. 中國語文學硏究會 권호정보 제21호. 2002. p394.
한대의 화상석에는 특히 서왕모가 자주 등장하며, 시대가 지남에 따라 서왕모의 이미지가 변화하는 과정이 구체적으로 묘사되어 있다.
오른쪽 그림(1) 에서는 서왕모 도상의 초기 형태를 엿볼 수 있다. 이는 서한 중기의 화상석으로 곤륜산 선계를 의미하는 개명수와 양쪽에 머리가 달린 신 ▲ 1. 산동 가상현 화림촌 출토 사당 서쪽 벽 도상
수의 도상을 그렸다. 사당 서쪽 벽의 가장 상층부에 새겨진 이 도상은 사당의 주인이 죽은 뒤에 서쪽에 있는 신선들의 세계로 갈 수 있기를 기원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 그림의 바로 아래층에 곤륜산 선계를 향해가는 무덤주인의 승선도가 보인다고 한다. 위 논문, p 398.



▲ 2. 산동 가상 홍산촌 출토 사당 서벽 화상






참고문헌
- 김선자. “도상해석학적 관점에서 본 漢代 畵像石 :西王母 圖像을 중심으로”. 「중국어문학논집」. 中國語文學硏究會 권호정보 제21호. 2002.

- 마츠바라 사브로 편. 김원동 외 역.「동양미술사」. 예경. 2004.

- 빙심, 동내빈, 전리군. 김태만 외 옮김.「그림으로 읽는 중국문학 오천년」. 예담. 2004.

- 장수철.「산해경」. 현암사. 2005.

- 빙심, 동내빈, 전리군. 김태만 외 옮김.「그림으로 읽는 중국문학 오천년」. 예담. 2004.

- 전호태.「古代 中國의 西王母像」. UUP (울산대학교 출판부). 2005.

- 정재서.「정재서 교수의 이야기 동양신화, 중국편1」.황금부엉이. 2007.

- 두산백과사전 EnCyber & EnCyber.com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