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7차 교육과정 중학교 1학년 1학기 국어교과서분석

 1  제7차 교육과정 중학교 1학년 1학기 국어교과서분석-1
 2  제7차 교육과정 중학교 1학년 1학기 국어교과서분석-2
 3  제7차 교육과정 중학교 1학년 1학기 국어교과서분석-3
 4  제7차 교육과정 중학교 1학년 1학기 국어교과서분석-4
 5  제7차 교육과정 중학교 1학년 1학기 국어교과서분석-5
 6  제7차 교육과정 중학교 1학년 1학기 국어교과서분석-6
 7  제7차 교육과정 중학교 1학년 1학기 국어교과서분석-7
 8  제7차 교육과정 중학교 1학년 1학기 국어교과서분석-8
 9  제7차 교육과정 중학교 1학년 1학기 국어교과서분석-9
 10  제7차 교육과정 중학교 1학년 1학기 국어교과서분석-10
 11  제7차 교육과정 중학교 1학년 1학기 국어교과서분석-11
 12  제7차 교육과정 중학교 1학년 1학기 국어교과서분석-12
 13  제7차 교육과정 중학교 1학년 1학기 국어교과서분석-13
 14  제7차 교육과정 중학교 1학년 1학기 국어교과서분석-14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제7차 교육과정 중학교 1학년 1학기 국어교과서분석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I. 서론

II. 본론
1. 이론적 배경
1) 교과서의 개념
2) 교과서의 기능
3) 교과서의 역할
4) 교과서관의 변화
5) 교과서의 체계
6) 국어 교육의 성격과 목표
2. 분석
1) 학습과제와 학습목표 기준
2) 텍스트별
3) 쓰기 부분
4) 색채어
5) 구성의 적절성과 현실성
6) 작가의 편견
7) 선행학습이 필요한 단원
8) 수준에 맞지 않는 지도
9) 완결성
10) 영역별 편성
11) 지문
12) 6차․7차 교육과정의 비교
3. 외국의 교과서 선정 정책
1) 미국
2) 일본
3) 영국
4) 프랑스
4. 대안

III. 결론

IV. 참고문헌
본문내용
3) 교과서의 역할

교육과정에서 제시하는 교과의 내용을 어떤 방법으로 학생들에게 전달하느냐가 교육 활동의 관건이 된다. 이렇게 교과의 내용을 학생들에게 전달하는 전과정을 전달체제라고 한다. 교과의 내용을 전달하는 방법으로는 교사가 교과의 내용을 직접 전달하거나, 교과 내용이 인쇄 매체나 시청각 매체에 의하여 전달되거나 현장 학습, 가정 학습 및 기타 학습에 의하여 전달되는 방법 등 여러 가지가 있다. 이와 같은 전달체제 가운데 지금까지 인쇄매체가 차지하는 비중은 어떠한 다른 전달 매체보다 그 역할이 컸었고 학교 교육에서는 마치 교과의 내용이 바로 교과서의 내용과 같을 만큼 교과서가 교육 활동에 대단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교과서는 교육과정에 따라 만들어진 가장 정선된 자료이다. 그러나 학습 자료중 가장 정선된 교재이지 학교 교육의 전부는 아니다. 교육과정의 내용을 학생들에게 전달하는 방법에는 교사의 교수-학습방법에 따라 다양한 학습 자료를 활용할 수 있다. 아무리 전달체제가 발달된다고 할지라도 학교 교육 활동에서 교사의 역할이 제일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고, 교육 내용을 전달하는 과정에는 이 이외에도 여러 종류의 효과적인 매체가 있을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교과서는 교육과정에 근거하여 만들어지기 때문에 교과 활동의 목표 달성을 위하여 편찬한 하나의 자료이며, 교과 활동을 위한 자료중에서 가장 중요한 자료라고 할 수 있다.

4) 교과서관의 변화

교과서는 교과서를 보는 종합적인 관점의 변화에 따라서 그 기능을 달리 규정할 수도 있다. 최근까지의 교과서는 교육의 도구 이상의 것이었고 각 시대의 교육관이나 국가 사회의 요청에 따라 변하여 왔다. 과거의 전통적인 교과서는 주지주의적 교육관에 따라 지식 중심으로 각 교과서가 지니는 학문적인 내용을 체계있게 조직․배열하여 일정량의 학문적인 지식을 학생들에게 전달하도록 구성되었다. 이러한 교과서관이 지배적인 교실에서는 교과서는 성전이었고 교과서의 독파가 학습 활동의 전부인양 교사는 교과서의 내용을 하나도 빠뜨리지 않고 철저하게 해석하고 주입하여야 했다. 따라서 교과서는 내용이 정선되고 체계있게 구성되어 교과서의 분량도 적고 문장도 간결하였다. 교과의 학문적 체계에 역점을 두어 학생의 성장 발달 수준이나 흥미 욕구를 충족시켜주지는 못하였지만 각 교과의 학문적 체계나 기본적인 개념을 쉽게 파악할 수 있었다.
그러나 현대 교육사조는 교과서를 성전시 하는데서 탈피해 학습자가 효율적으로 학습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도구적 성격으로 변하였다. 교과서는 교사나 학생 양자에게 기본적인 수업 도구에 불과한 것이다. 이렇나 교과서는 학문적 내용을 체계적으로 수록하는 것 외에도 학습자 자신의 학습 활동을 조장해 줄 수 있도록 문제의 시사, 문제의 탐구를 위한 안내 자료 등으로 조직․서술 되었다.
참고문헌
교육부, 중학 국어 1-1, 한국 교육 개발원, 1999

김규선, 국어과 교육의 원리, 학문사, 1994

노명완, 박영목, 권경언, 국어과 교육론, 갑을 출판사, 1997

박영목, 한철우, 윤희원, 국어과 교수 학습 방법 탐구, 교학사, 1994

윤종영, 교과서 선정의 바른길, 한국2종교과서협회, 1994

이종국, 교과서 체제. 새교육, 대한교육연합회, 19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