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북아 에너지협력과 한국의 그린에너지 정책

 1  동북아 에너지협력과 한국의 그린에너지 정책-1
 2  동북아 에너지협력과 한국의 그린에너지 정책-2
 3  동북아 에너지협력과 한국의 그린에너지 정책-3
 4  동북아 에너지협력과 한국의 그린에너지 정책-4
 5  동북아 에너지협력과 한국의 그린에너지 정책-5
 6  동북아 에너지협력과 한국의 그린에너지 정책-6
 7  동북아 에너지협력과 한국의 그린에너지 정책-7
 8  동북아 에너지협력과 한국의 그린에너지 정책-8
 9  동북아 에너지협력과 한국의 그린에너지 정책-9
 10  동북아 에너지협력과 한국의 그린에너지 정책-10
 11  동북아 에너지협력과 한국의 그린에너지 정책-11
 12  동북아 에너지협력과 한국의 그린에너지 정책-12
 13  동북아 에너지협력과 한국의 그린에너지 정책-13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동북아 에너지협력과 한국의 그린에너지 정책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1. 세계적으로 관심이 집중되고있는 그린에너지
2. 동북아 에너지 협력의 필요성

Ⅱ. 동북아 3국의 에너지정책과 에너지협력현황
1. 중 국
2. 일 본
3. 한 국
4. 동북아 에너지협력 현황

Ⅲ. 한국의 그린에너지 사업개요
1. 국가에너지․자원기술개발 기본계획
2. 국내기업의 그린에너지 사업 현황

Ⅳ. 한국의 그린에너지 개발현황
1. 태양광
2. 바이오
3. 연료전지
4. 수소

Ⅴ. 결론




본문내용
Ⅱ. 동북아 3국의 에너지정책과 에너지협력현황
1. 중 국
2006년 상반기 세계 석유수요량 증가분의 38%를 차지하는 중국은 에너지 확보를 경제외교의 최우선 순위로 설정하여 서구 메이저들의 진출이 적은 아프리카나 중남미 자원보유국들과의 유대 및 협력을 강화시키는 등 무차별적인 공세를 벌이고 있다. 이와 더불어 수단, 나이지리아, 베네수엘라 등 인권침해와 부패 만연으로 소위 불량 국가로 지목받는 자원보유국들에 대한 중국의 무차별 협력을 추진하여 미국 등 서방세계로부터 인권과 지배구조(governance) 개선이라는 국제사회의 대의를 외면하고 중상주의적 이익 (mercantilistic interest)만을 추구한다고 비판을 받고 있지만, 에너지 외교에 있어서는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는 면모를 보이고 있다. 손성환, 「동북아지역의 에너지 협력 방안」(서울: 외교안보연구원 .2006)

이렇게 에너지 외교에 있어 적극적인 중국은 에너지뿐만 아니라 대체적으로 지역경제협력의 범위를 아시아 전체로 설정하고 APEC과 ASEAN+3 ASEAN(동남아시아국가연합)+3(한 ․ 중 ․ 일)
차원에서의 협력에 참여하고 있으나, 동북아 소지역 차원의 다자 에너지협력 문제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입장 표명을 하지 않고 있다.

2. 일 본
일본은 1990년대에 들어와 냉전 종식과 세계화의 진전으로 인한 국제지형의 변화와 지구온난화의 대처를 위해 에너지 정책을 근본적으로 수정하였다. 에너지정책의 목표로 규제완화와 시장 자유화를 통한 경제적 효율성(Economic Efficiency)제고, 지구온난화 대처를 위한 환경보호(Environment Protection), 에너지안보(Energy Security) 증진의 3E를 설정한 것이다. 또한 일본은 자원보유국의 요구에 부합하는 형태의 경제협력을 실시하기 위해 2006년 5월 신국가에너지 전략을 채택하여 2030년까지 달성해야할 구체적 수치를 설정하고, 에너지효율기술 및 원유비축 기술, 경험들을 공유하는 등 아시아 국가들과의 에너지 협력을 주도하는 한편, 친환경 에너지기술 시장의 창출 및 선점에 힘을 쏟고 있다. 이와 함께 국제 에너지 시장의 안정을 위해 자원 보유국에 대한 포괄적․협력적 접근을 위해 ODA 정부개발원조(ODA :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의 전략적 활용과 경제파트너십 협정(EPA)을 체결하고 일본기업에 대한 재정적 지원체계를 강화해 해외투자부문의 역량을 높이는 등 자원외교를 적극 전개할 목표를 세웠다.
이에 일본은 전통적으로 경제발전의 한 축을 동아시아 국가들과의 연대에 두고 동아시아 국가들과 경제협력의 일환으로 지역 에너지협력을 주도하고자 하였고, 그 맥락에서 경제통상산업성(METI)은 에너지안보 증진을 위한 다자
참고문헌



최기련·박원훈, 『지속가능한 미래를 여는 에너지와 환경』, 김영사, 2002.
『대체에너지 기술 및 시장·특허 분석보고서1』, 한국특허정보원, 2006.
『대체에너지 기술 및 시장·특허 분석보고서2』, 한국특허정보원, 2006.
고유상,『미국의 바이오 에너지 개발현황과 시사점 』, 삼성경제연구소, 2006.
『에너지·자원기술개발사업 성과 분석집』, 에너지 관리공단, 2007.
『에너지기술개발 10개년 계획 수정 및 개선방안 연구』, 산업자원부, 2003.
『국가에너지·자원기술개발기본계획(‘06~’15)』,「에너지기술의 성장 동력화를 위한 기술개발 혁신 방안 」, 산업자원부, 2006.
이재승, 최원기 「동북아지역의 에너지협력방안」(서울: 외교안보연구원, 2006)
이재승, 「동북아 에너지 협력을 위한 분석틀의 모색」(서울: 외교안보연구원 ,2004)
유대원 「동북아 에너지협력이 지역안보에 미치는 영향」(서울: 국방대학교 .2005)
손성환, 「동북아지역의 에너지 협력 방안」(서울: 외교안보연구원 .2006)
양의석, 「러시아 동북아지역 석유수출지역 확장과 역내국가의 동시베리아 석유자원 도입 ․ 활용 전략」
이동휘, 「국제 고유가 동향과 한국의 에너지안보」 (서울: 외교안보연구원 .2005)



http://www.donga.com/fbin/output?n=200706180002
http://www.knrea.or.kr/
http://racer.kemco.or.kr/inc/index_frame.jsp?mode=main6-4
http://cafe203.daum.net/_c21_/bbs_search_read?grpid=zl4p&mgrpid=&fldid=Evmt&contentval=0001Ezzzzzzzzzzzzzzzzzzzzzzzzz&datanum=76&fenc=4IV3gGFLKqw0&nenc=
http://www.keei.re.kr/
http://www.keei.re.kr/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