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심리학] PBL에 의한 수업설계와 적용(초등 사회과 수업사례)

 1  [교육심리학] PBL에 의한 수업설계와 적용(초등 사회과 수업사례)-1
 2  [교육심리학] PBL에 의한 수업설계와 적용(초등 사회과 수업사례)-2
 3  [교육심리학] PBL에 의한 수업설계와 적용(초등 사회과 수업사례)-3
 4  [교육심리학] PBL에 의한 수업설계와 적용(초등 사회과 수업사례)-4
 5  [교육심리학] PBL에 의한 수업설계와 적용(초등 사회과 수업사례)-5
 6  [교육심리학] PBL에 의한 수업설계와 적용(초등 사회과 수업사례)-6
 7  [교육심리학] PBL에 의한 수업설계와 적용(초등 사회과 수업사례)-7
 8  [교육심리학] PBL에 의한 수업설계와 적용(초등 사회과 수업사례)-8
 9  [교육심리학] PBL에 의한 수업설계와 적용(초등 사회과 수업사례)-9
 10  [교육심리학] PBL에 의한 수업설계와 적용(초등 사회과 수업사례)-10
 11  [교육심리학] PBL에 의한 수업설계와 적용(초등 사회과 수업사례)-11
 12  [교육심리학] PBL에 의한 수업설계와 적용(초등 사회과 수업사례)-12
 13  [교육심리학] PBL에 의한 수업설계와 적용(초등 사회과 수업사례)-13
 14  [교육심리학] PBL에 의한 수업설계와 적용(초등 사회과 수업사례)-14
 15  [교육심리학] PBL에 의한 수업설계와 적용(초등 사회과 수업사례)-15
 16  [교육심리학] PBL에 의한 수업설계와 적용(초등 사회과 수업사례)-16
 17  [교육심리학] PBL에 의한 수업설계와 적용(초등 사회과 수업사례)-17
 18  [교육심리학] PBL에 의한 수업설계와 적용(초등 사회과 수업사례)-18
 19  [교육심리학] PBL에 의한 수업설계와 적용(초등 사회과 수업사례)-19
 20  [교육심리학] PBL에 의한 수업설계와 적용(초등 사회과 수업사례)-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교육심리학] PBL에 의한 수업설계와 적용(초등 사회과 수업사례)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I. PBL의 개요

II. PBL에 의한 초등학교 5학년 사회과 수업사례

1. PBL에 의한 수업설계

1) 학습목표 설정

2) PBL에 의한 수업진행 방식 결정

3) PBL 문제 개발

4) 학습자료 선정 및 확보

5) 평가도구 개발

6) 교수-학습과정안 설계

2. PBL에 의한 수업적용 및 평가

1) 적용과 평가 기간 및 연구방법

2) 연구결과

가. 학습 내용의 습득

나. 자율적 학습인

다. 실제적 성격의 문제와 수업에 대한 관심과 흥미와의 관련성

라. 협동적 학습인

마. PBL 수업에서 교사의 역할

3. PBL 적용시 고려할 점

III.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II. PBL에 의한 초등학교 5학년 사회과 수업사례


사회과 교육의 목표는 PBL의 목표로서 언급되는 문제해결능력, 자기주도적 학습력, 학습자의 실생활과 직접 연결된 실제적 과제에 의한 수업 등과의 연계성이 다른 과목에 비해 더욱 두드러지기 때문에 사회과목에 대한 PBL의 대입은 좀더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었으며, 이러한 사회과목의 PBL식 접근은 기존방식에 대한 한 대안으로서의 가능성을 타진해보려 하였다.

1. PBL에 의한 수업설계
1) 학습목표 설정
PBL에 의한 수업설계는 우선 사회과 학습목표가 무엇인가를 분석하는 것으로부터 시작한다. 교육부(1997)가 제시한 5학년 1학기의 단원은 크게 3 단원(생활을 편리하게 하는 산업, 경제생활과 직업, 살기좋은 우리 국토)으로 나뉘고 있으며, 각 단원은 지식․이해, 기능, 태도의 영역으로 나누어 구체적인 학습목표를 포함하고 있다. 이 중에서 본 수업사례연구는 ‘경제단원’중에서 일부를 선택하였다. 이것을 매 차시 80분의 수업으로 하여 6차시에 걸친 수업을 실시하기로 하였다. 이에 따라 해당부분을 다시 지식, 기능, 태도의 영역에 따라 세분화하고 각 영역별 학습목표를 작성하였다(표2).

학습목표
구 분
학 습 목 표
지식
가. 생산과 소비 활동의 관계를 이해한다.
나. 소비와 산업과의 관계를 영향을 알 수 있다. (중략)
기능
가. 각 기관에서 하는 일을 알고 바르게 이용한다.
나. 다양한 매체를 이용하여 정보를 수집하고 활용할 수 있다.
다. 협동학습 및 토의학습 방법을 알고 활용한다. (중략)
태도
가. 돈을 아껴 쓰고 깨끗이 다루는 태도를 가진다.
나. 협동학습과 토론학습을 통해 다른 사람의 의견을 존중하는 생활태도를 습관화한다
다. 주어진 과제를 책임 있게 완수한다.(중략)


2) PBL에 의한 수업진행 방식 결정
일단 PBL수업에서 다룰 학습목표를 결정한 다음에는 그것을 어떤 과정에 의해 수업을 진행할 지에 대한 전반적인 교수-학습진행 과정안을 결정하였다(표3).

PBL에 의한 사회과 수업 진행과정안
학습단계
학습유형
교수-학습 활동
유의점
1. 수업분위기 조성 단계
․일제학습
․수업의 특징 및 학습목표에 대한 설명을 한다.
․교사와 학습자의 역할을 안내한다.

2. 문제제시 단계
․일제학습
․문제에 대한 주인의식을 느끼도록 한다.
․제출할 과제물에 대한 소개를 한다.
3. 잠정적 문제해 결 시도단계
․조별학습
․역할을 분담한다(진행자, 기록자)
․다양한 아이디어를 적극 수용한다.
․잠정적인 해결안에 대한 생각을 종합한다.
․조별 학습목표를 규명하고 각각의 학습목표를 설정하고 분담한다.
․학습자료를 선택한다.
개방적인 분위기를 조성한다.
4. 자율학습단계
․개별학습
․각각 주어진 과제를 해결한다.
․자아성찰을 하는 시간(문제해결을 위한 현재 자신의 상태와 나아갈 방향등)
다양한 자료준비시간
5. 협동학습 및
토의학습 단계

․조별학습
․조별로 모여서 다른 학생들의 다양한 견해나 관점을 접하며, 개인이 지닌 사고의 영역과 범주를 넘어서, 관련 지식에 대한 전문적 지식을 더 넓힌다.
․모든 사회 현상과 문제는 하나의 지식과 해결책으로는 설명할 수 없다는 상대주의적 관점을 배운다.
․새로 얻은 지식을 활용하여 재종합한다.
다른 사람의 의견을 존중하는 태도를 강조한다.
6. 토론결과 발표
학습단계
․일제학습
․자기 조의 견해를 전달하는 과정을 통해 지식을 공유한다.
-전달내용 개별 정리
․보고서 작성 및 발표능력을 기른다.
듣는 태도를 바르게 한다.
7. 정리 및 평가
․일제학습
․개별학습
․자기학습 평가지, 팀원 학습평가, 팀간 학습평가
․오늘의 학습 과정 반성하기.
개인저널

참고문헌
강인애 (인쇄중). 문제중심학습(Problem-Based Learning):또 하나의 구성주의적 교수-학습 모형, 조용기 외 (공저). 구성주의 교육학, 서울: 교육과학사.
강인애 (1998a). 구성주의적 교수-학습환경을 통한 사회도덕성의 발달. 1998년도 한국교육 공학회 학계 학술세미나 개인연구논문 발표회(pp. 39-50). 7월3-4일 관동대학교.
강인애 (1998b) PBL과 ‘성찰저널( Reflective Journal)' 산업교육연구 4호. pp. 3-28.
강인애 (1997). 왜 구성주의인가?: 정보화시대와 학습자 중심의 교육환경. 서울: 문음사.
강인애, 김호영 (1998). 학교교육 정보화를 위한 교사연수프로그램: PBL 사례. 한공우 교수 정년퇴임 기념논문집(pp. 1-32), 경희대학교 교육문제 연구소.
교육부 (1995). 국민학교 교육과정 해설. 서울 : 서울인쇄공업협동조합.
김선자 (1998). 구성주의에 의한 사회과 수업설계 및 적용: 문제중심학습 (Problem-Based Learning)에 의한 사례연구,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유영만 (1995). 지식경제시대의 학습조직: 한국기업의 학습조직 구축방안. 서울:고도컨설팅 그룹.
Bridges, E. & Hallinger, P. (1995). Implementing problem-based learning in leadership development. Eugene, OR: ERIC.
Delisle, R. (1997). How to use problem-based learning in the classroom. Alexandria, VI: ASCD.
DeVries, R. & Zan, B. (1994). Moral classrooms, moral children: Creating a constructivist atmosphere in early education. New York: Teachers College Press.
Kang, I. (1997). Discontinuity for creation: A case study of a corporate training program in PBL in Korea. In J. Conway, R. Fisher, L Sheridan-Burns, & G. Ryan(Eds.), Research and development in problem-based learning, vol 4 (pp. 205-221).
Wilkerson, L, & Gijselaers, W. (1996). Brining problem-based learning to higher education: Theory and practice. San Franscisco, CA: Jossey-Bass Publishers.
Glasgow, N. (1997). New curriculum for new times: A guide to student-centered problem-based learning. Thousan Oaks, CA: Corwin Press, In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