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 모더니즘 문학

 1  러시아 모더니즘 문학-1
 2  러시아 모더니즘 문학-2
 3  러시아 모더니즘 문학-3
 4  러시아 모더니즘 문학-4
 5  러시아 모더니즘 문학-5
 6  러시아 모더니즘 문학-6
 7  러시아 모더니즘 문학-7
 8  러시아 모더니즘 문학-8
 9  러시아 모더니즘 문학-9
 10  러시아 모더니즘 문학-10
 11  러시아 모더니즘 문학-11
 12  러시아 모더니즘 문학-12
 13  러시아 모더니즘 문학-13
 14  러시아 모더니즘 문학-14
 15  러시아 모더니즘 문학-15
 16  러시아 모더니즘 문학-16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러시아 모더니즘 문학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모더니즘 문학

◎데카당․상징파 운동

▶데카당․상징파 출현과 발전과정

▶상징주의의 특징

◎ 상징주의 시인들

1. 드미뜨리 메레쥐꼽스끼(1866~1941) Дмитрий Сергеевич Мережковский

2. 표도르 쏠로구프(1863~1927) Фёдор Кузъмич Сологуб

3. 발레리 브류소프(1873~1924) Валерий Яковлевич Ђрюсов

4. 꼰스딴찐 발몬뜨(1867~1942) Константин ДМитриевич Ђалъмонт

5. 알렉사드르 블록(1880~1921) Александр Александрович Ђлок

6. 안드레이 벨리(1880~1934) Андрей Ђелый

7. 바체슬라프 이바노프(1866~1949) Вячеслав Иванович Иванов

◎.사실주의 전통의 부흥

▶신사실파

▶대표적 작가들

1. 알렉산드르 꾸쁘린(1870~1938)

2. 이반 부닌(1870~19530)

3. 막심 고리끼(1868~1936)

◎. 상징파에 대한 반동

1). 상징파의 쇠퇴 및 모더니즘 운동의 새로운 전개

◎. 아끄메이즘의 대표적 시인들

1. 미하일 꾸즈민(1875~1936)

2. 니꼴라이 구밀료프(1886~1921)

3. 안나 아흐마또바(1889~1966)

◎. 미래파와 대표적 작가들

1. 벨리미르 흘레브니꼬프(1885~1922)

2. 보리스 빠스쩨르나끄(1890~1960)

본문내용
▶상징주의의 특징
첫째, 기독교적인 종교관과 구신 사상 지상에 도래한 신의 왕국과 같은 종교관과 새롭게 쇄신된 기독교의 관점 속에서 존재의 근거를 찾아야 한다는 세기말의 종교 철학 사상으로서, 베르쟈예프, 세르게이불가꼬프, 메레쥐꼽스끼, 기삐우스, 민스끼들에 의해 주창되었으며, 그 이론적 근원은 블라지미르 쏠로비요프의 동일성의 철학 사상에서 찾아볼 수 있다.
을 예술과 접목시키려 했던 미스끼 Н. М. Минский(1855~1937), 메레쥐꼽스끼 Д. С. Мережковский(1866~1941), 기삐우스 З. Н. Гиппиус(1869~1945) 등이 그 대표자라 할 수 있는 초기의 상징주의 19세기 말, 프랑스 시단(詩壇)을 중심으로 일어났던 문학․예술의 한 경향. 고답파의 객관주의에 반대하고, 분석에 의해 포착할 수 없는 주관적 정서를 상징적으로 형상화하여, 대상의 종합적 이미지를 파악하려고 한 것이 그 주된 특징임. 표상주의(表象主義). 심벌리즘.
적 경향으로서, 이들은 러시아의 문학적 전통을 부정하고, 새로운 예술적 원칙들을 세우려 시도했다. 관념론에 밀접히 연관되어 있는 이들의 예술관은 서구의 모더니즘 경향에 근거를 두고 있었으며, 이러한 이유로 인해 비평가들은 이들을 다소 비난의 의미가 함축된 데카당 decadent 파라고 부르기도 했다. ‘일정한 규범에서 벗어난’이라는 뜻을 지닌 이 데카당이라는 용어는 역사 과학에서 쇠퇴기를 지칭하기 위해 사용되었지만, 그 이후 이 용어는 역사 과학에서 쇠퇴기를 지칭하기 위해 사용되었지만, 그 이후 이 용어는 보다 확대되어 문화 예술 전반의 퇴락, 퇴조, 퇴폐적인 현상을 대표하게 되었다. 1880~1890년대의 프랑스뿐만 아니라, 다른 서구 국가에서도 데카당 파들은 자신들을 사실주의 객관적 사물을 있는 그대로 정확하게 그려 내려고 하는 문학․미술상의 주의. 리얼리즘.
에 적대적인 감정을 갖는 흐름을 옹호하는 문학 예술 그룹이라 간주했는데, 그들은 페시미즘과 개인주의적 시각속에서 주변 세계와 현실에 대한 심미적인 환멸과 혐오를 나타내려고 하였을 뿐만 아니라, 문화의 쇠락에 민감한 반응을 보이고 있었다. 1888년 『북방 통보』지에 작품을 발표하여 문학 활동을 시작하는 메레쥐꼽스끼의 부인이자 여류 시인인 지나이다 기삐우스는 음산한 우수와 불안한 미래를 시의 주제로 삼고 있으며, 시에 표현된 그녀의 서정적 자아는 ‘죽은 혼’을 가진 인간이었다. 자연히 대부분의 작품에 나타나고 있는 정조는 세계에 대한 페시미즘적인 인식, 인간 존재 가치의 부정 등으로 채워져 있었는데, 이것은 바로 메레쥐꼽스끼의 데카당적인 경향으로부터 받은 영향이라고 말 할 수 있다.
두 번째 상징주의의 흐름으로서, 1894~1985년에 걸쳐 「러시아의 상징주의자들 Русские символисты」이라는 시모음집의 발간과 연관된 꼰스딴찐 발몬뜨 К. Д. Ђалъмонт(1867~1942), 발레리 브류소프 В. Я. Ђрюсов(1873~1924)와 표도르 쏠로구프 Фёдор Сологуб(1863~1927) 등의 활동을 들 수 있다. 이들은 새로운 예술 경향을 순수한 문학적 현상으로 파악했으며, 발몬뜨가 그랬던 것처럼, 시어가 갖는 문학적이고 음악적 기능에 보다 관심을 기울였다. 이러한 의미에서 시인의 언어는 그들에게 우주의 신비와 개인의 의식을 잇는 가교였다. 그러므로 메레쥐꼽스끼, 기삐우스 등이 보여 주었던 종교적이며 관념 철학적인 경향에서 벗어나, 이들은 상징주의를 인상주의 19세기 후반, 프랑스를 중심으로 일어난 근대 미술 운동의 한 갈래. 빛의 변화에 따라 시시각각 달라 보이는 자연을 그 순간적 양상 그대로 묘사하고자 하는 주의. 뒤에 음악˙문학 등의 분야에도 크게 영향을 끼쳤음.
와 밀접히 연관된 문학의 한 일파로 군한시킬 수 있었다. 이시기의 경향은 다분히 러시아 낭만주의의 세계관을 연상시키기도 하는데, 특히 과거의 문학 유산이 갖지 못했던 시적 기법 내지는 예술적 장치들에 대한 필요성, 삶의 인상주의적 이해, 그리고 시에 대한 관점의 혁신들이 강조되곤 했기 때문이었다. 또한 이들은 시인의 개성과 그 내부 세계의 풍경에 시선을 돌리게 되는데, 말하자면 눈에 보이는 외부 세계의 가시적 풍경보다는 감춰진 인간의 심오한 의식과 초월적 세계가 지금의 현실 세계를 보다 핍진 죄다 없어짐.

하게 이해할 수 있는 척도라고 믿게끔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