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근세문학사] 송대 성리학과 조선 주자학 분석

 1  [중국근세문학사] 송대 성리학과 조선 주자학 분석-1
 2  [중국근세문학사] 송대 성리학과 조선 주자학 분석-2
 3  [중국근세문학사] 송대 성리학과 조선 주자학 분석-3
 4  [중국근세문학사] 송대 성리학과 조선 주자학 분석-4
 5  [중국근세문학사] 송대 성리학과 조선 주자학 분석-5
 6  [중국근세문학사] 송대 성리학과 조선 주자학 분석-6
 7  [중국근세문학사] 송대 성리학과 조선 주자학 분석-7
 8  [중국근세문학사] 송대 성리학과 조선 주자학 분석-8
 9  [중국근세문학사] 송대 성리학과 조선 주자학 분석-9
 10  [중국근세문학사] 송대 성리학과 조선 주자학 분석-10
 11  [중국근세문학사] 송대 성리학과 조선 주자학 분석-11
 12  [중국근세문학사] 송대 성리학과 조선 주자학 분석-12
 13  [중국근세문학사] 송대 성리학과 조선 주자학 분석-13
 14  [중국근세문학사] 송대 성리학과 조선 주자학 분석-14
 15  [중국근세문학사] 송대 성리학과 조선 주자학 분석-15
 16  [중국근세문학사] 송대 성리학과 조선 주자학 분석-16
 17  [중국근세문학사] 송대 성리학과 조선 주자학 분석-17
 18  [중국근세문학사] 송대 성리학과 조선 주자학 분석-18
 19  [중국근세문학사] 송대 성리학과 조선 주자학 분석-19
 20  [중국근세문학사] 송대 성리학과 조선 주자학 분석-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중국근세문학사] 송대 성리학과 조선 주자학 분석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송대 성리학
1. 儒學의 흐름
2. 성리학의 성립배경
3. 주희의 주자학
Ⅱ. 조선 주자학
1. 고려시대 성리학 수용
2. 조선 중기 (16-17세기) : 성리학의 이론적 심화
3. 조선 후기 성리학의 경향
4. 문묘 18현
5. 이황과 이이의 성리학
Ⅲ. 성리학의 문학
1. 주자의 문학
2. 이황의 문학
3. 이이의 문학
Ⅳ. 결론
Ⅴ. 참고문헌

본문내용
1)훈고학
훈고학의 발전배경: 진(秦) 시황제(始皇帝)의 분서갱유(焚書坑儒) 사건과, 한초(漢楚)의 흥망, 그리고 진(秦)에서 한초(漢初)에 걸쳐 한자(漢字)의 일대 변혁이 있어 짧은 기간 동안 학문적 단절이 있었다. 그래서 한나라 이전의 서적을 읽는데 어려움을 느끼게 되었다. 한나라 때는 유교가 가장 중요한 학문으로 자리를 잡아나갔고 중국의 학문은 유교를 중심으로 발전하였다. 따라서 한나라(漢)에 들어서 사라진 유교경전의 내용을 발굴하고 그 뜻을 밝히는 학문이 발달했는데 이를 훈고학이라고 한다.

《시경(詩經)》의 〈모전(毛傳)〉은 그 대표적인 예이며 《이아(爾雅)》는 자전(字典)의 원시적인 것으로서 문자의 학문인 소학(小學)의 전문서이다. 후한(後漢)에서는 폭넓은 연구가 이루어져 마융(馬融) ·정현(鄭玄) ·가규(賈逵) 등이 나타났고, 허신(許愼)의 《설문해자(說文解字)》는 소학의 기초를 구축하였다.

이와 같이 한의 훈고학은 글자 하나하나의 뜻을 밝혀 원래의 의미를 밝혔는데 이런 훈고학의 흐름은 삼국 ·육조(六朝)를 거쳐 당나라까지 이어졌으며, 당나라의 공영달(孔穎達) 등이 칙명을 받아 《오경정의(五經正義)》를 편집하므로 큰 성과를 올렸다. 그 후 유심적(唯心的) 경향이 강한 송학(宋學)의 유행으로 훈고학은 일시 쇠퇴하였으나, 청나라(淸)에 이르러는 서양과학의 영향을 받게 되어 실증적인 고증학(考證學)이 일어났으며, 한학 부흥을 목표로 내걸었다. 청의 훈고학 특징은 《설문해자》를 기초로 하는 소학을 존중한 점에 있으며, 대진(戴震) ·단옥재(段玉裁) ·왕염손(王念孫) ·왕인지(王引之) ·유월(兪樾) 등이 그 대표적인 학자이다.

2) 양명학
-중국 명나라 중기에 태어난 양명(陽明) 왕수인(王守仁)이 이룩한 신유가철학(新儒家哲學).

중국 송나라 때 주자(朱子)에 의해 확립된 성리학(性理學)의 사상에 반대하여 명나라 때 왕양명(王陽明)이 주창한 학문이다. 성리학과는 대립된 성격을 가지고 있으며 육상산(陸象山)의 철학과 함께 심학(心學)으로도 불린다. 왕양명은 초기에 성리학(性理學)을 공부하다가 주자의 성즉리(性卽理)와 격물치지설(格物致知說)에 회의를 느끼고 육상산의 설을 이어 심즉리(心卽理) ·치양지(致良知) ·지행합일설(知行合一說)을 주창하고 나왔다. 즉 효는 배우고 익혀서 원리를 이해하는 것이 아니라 부모를 공경하는 자연스러운 마음의 원리를 실현하는 것으로 보았으며 효심과 효행은 구분되지 않는 하나로 인식하여 이를 지행합일설로 표현한 것이다. 마음은 기(氣)이고 마음이 갖춘 도덕성 등의 이치는 이(理)라고 한 주자의 견해에 대하여, 만물일체와 불교의 삼계유심(三界唯心, 삼계가 오직 마음에 있다)의 입장에서 마음이 곧 이(理)라고 주장하게 되었다.
참고문헌
북계 진순,『성리자의』 , 박완식 역, 2005, 여강
기세춘,『성리학 개론』, 2007, 바이북스
신미자, 「주자 감흥시 연구」, 『중국어 문학논집 제 11호』, 1999, 중국어문학연구회
홍학희, 「율곡 이이 시의 기실성에 대하여」, 『한국문학논총 제 28집』, 2001, 한국문학회
이진, 「퇴계 이황의 시문학론」, 『동악어문논집』, 1983, 한국어문학연구학회
김재룡, 「퇴계 리황의 매화시 연구」, 『우리문학연구 제 19집』, 2006, 우리문학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