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독교교육] 기독교교육의 예술적 접근

 1  [기독교교육] 기독교교육의 예술적 접근-1
 2  [기독교교육] 기독교교육의 예술적 접근-2
 3  [기독교교육] 기독교교육의 예술적 접근-3
 4  [기독교교육] 기독교교육의 예술적 접근-4
 5  [기독교교육] 기독교교육의 예술적 접근-5
 6  [기독교교육] 기독교교육의 예술적 접근-6
 7  [기독교교육] 기독교교육의 예술적 접근-7
 8  [기독교교육] 기독교교육의 예술적 접근-8
 9  [기독교교육] 기독교교육의 예술적 접근-9
 10  [기독교교육] 기독교교육의 예술적 접근-10
 11  [기독교교육] 기독교교육의 예술적 접근-11
 12  [기독교교육] 기독교교육의 예술적 접근-12
 13  [기독교교육] 기독교교육의 예술적 접근-13
 14  [기독교교육] 기독교교육의 예술적 접근-14
 15  [기독교교육] 기독교교육의 예술적 접근-15
 16  [기독교교육] 기독교교육의 예술적 접근-16
 17  [기독교교육] 기독교교육의 예술적 접근-17
 18  [기독교교육] 기독교교육의 예술적 접근-18
 19  [기독교교육] 기독교교육의 예술적 접근-19
 20  [기독교교육] 기독교교육의 예술적 접근-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기독교교육] 기독교교육의 예술적 접근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A. 연구의 문제제기 및 목적
B. 연구방법 및 연구범위

Ⅱ. 현 시대적 상황
A. 포스트모던 시대의 특징
B. 현재 교육의 현실
C. 예술적 접근의 필요성
1. 기독교교육과 예술의 관련성
2. 하워드 가드너의 다중 지능 이론
3. 상상력의 중요성 대두

Ⅲ. 예술의 이해
A. 예술의 정의
B. 예술적 인식
C. 예술과 뇌 과학적 연구
D. 예술과 이성교육
E. 예술의 특징 등

Ⅳ. 기독교교육학자들의 예술적 접근
A. John H. Westerhoff
1. 인간의 인식방법
2. 종교교육과 예술의 관련성
3. 환경을 통한 교육
4. 웨스터호프의 예술적 접근
B. Maria Harris
1. 종교적(Religious)
2. 가르침의 네 가지 본질
3. 예술적 가르침의 패러다임
4. 마리아해리스의 예술적 접근

Ⅴ. 예술적 접근의 기여 및 모델제시
A. 예술적 접근의 기여
B. 가르침 모델제시 - 붓글씨 모델링

Ⅵ. 결론


본문내용
다원주의와 상대주의는 사람들로 하여금 객관적인 도덕적 행위를 상대적으로 평가하면서 주관주의 주관주의 : 인식이나 판단의 기준이 주관에 있다고 보는 사상. 인식, 실천, 판단의 근거를 주관에 두는 주의. 인간의 판단은 개인의 주관에 좌우되기 때문에 타당하며 객관적인 판단은 없다고 한다. (표준 국어 대사전』(서울: 두산동아, 1999). 객관적인 사태에 상응하지 않는 판단과 행위.『브리태니커』(서울 : 브리태니커회사, 2002)
를 발달하게 하였다. 주관주의는 사람들이 자기중심적으로 가치를 평가하게 하고 객관적, 절대적 가치는 존재하지 않는다는 생각으로 귀착시켜버렸다. 절대적 가치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모든 견해를 그대로 수용해야 한다는 입장을 가지게 하였다. 이런 사고방식에 영향을 받은 사람들은 선택을 신성화한다. 모든 진리는 상대적이기 때문에 각 개인이 선택하는 것이 그에게 가장 타당한 것으로 본다. 고용수 총장 회갑 기념 논문집 편찬위원회 편, 위의 책, p. 323
그런데 이러한 다원주의와 상대주의는 각 개인과 개인 사이에만 영향을 주는 것이 아니라는 것에 유의해야한다. 문화와 문화 사이에도 다원주의와 상대주의가 영향을 주는 것이다. 유럽, 아시아, 남미 등의 커다란 문화권 뿐 아니라 대한민국이라는 한 국가에서도 서울, 경기, 인천 등의 문화권이 다시 달라지고 같은 서울에서도 강북, 강남, 강서, 강동의 문화가 다르며 강북에서도 다른 구역에 따라 특유의 문화를 지니는 것이다. 그러므로 포스트모던이란 다원주의와 상대주의로 대표되는 성격을 지니고 큰 문화와 큰 문화사이와 각 개인과 개인 사이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는 시대 흐름이라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B. 현재 교육의 현실

위에서 알아본 것과 같이 현시대는 포스트모던의 사회이며 이처럼 변화하는 시대에 변하지 않는 진리를 교육하는 기독교교육은 어떻게 교육해야 하는 것인가. 이를 위해서는 현재 교육의 현실을 알아볼 필요가 있다. 왜냐하면 교육은 각 시대적인 요청을 반영하는 의도된 활동을 의미하는데 기독교교육 역시 다른 교육 분야와 같은 시대적인 요청을 반영하고 있기 때문이다.
앞에서 언급한 것과 같이 교육은 각 시대의 요청을 무시할 수 없다. 모던시대는 모든 문제에 대하여 논리와 객관성을 중요시 하는 시대이며 교육에서도 이러한 원리들을 그대로 적용시키고 있다. 오늘날의 교육체제의 목적은 학생들의 입장에서의 보다 나은 행동을 하도록 하는데 있다. 보다 나은 행동이란 학생들에게 목표를 정하고 그 목표를 이루기 위해 행동을 하고 그 행동의 검증을 통해 목표가 이루어 졌는지 아닌지를 확인하는 전체적인 행동을 의미하는 것이다. Arthur W. Combs, 이성호 옮김, 『교육신화』, (서울: 정음사, 1986), p. 71
이처럼 논리적이고 객관적인 방법을 사용하기 위해 현 시대의 교육은 지적 영역 교육을 우선시하고 있다. 지적 영역을 우선시 한다는 것은 교과목 중심의 교육을 함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지적 영역이 우선시 되는 현재 교육 상황에서는 교과목을 학습자에게 가르친 교수자는 반드시 학생들의 학습한 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시험을 본다. 이러한 시험을 통하여 학습자의 지식 습득정도를 파악하고 지식 습득정도에 따라 성적등급을 나눈다. 그리고 그것을 자료화 하여 학습자의 행동의 목표를 교수자가 학습자에게 결정해주는 것이다. 결국 학습자의 행동의 목표는 다른 문제보다도 지식의 습득 정도를 높이는 데에 있게 되는 것이다.
현대 사회의 교육의 모습은 기독교 안에서도 어렵지 않게 찾아볼 수 있다. 기독교교육은 크게 두 가지의 목표를 가지고 있다. 일차적인 목표는 한 사람이 예수 그리스도를 영접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다. 이차적인 목표는 영접한 사람의 신앙의 모습이 영접이라는 근본적인 목표를 이룬 것 뿐 아니라 현 사회에서 요구하는 시민직과 제자직을 수행하기에 합당하게 변화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기독교교육의 목표를 이루기 위해 기독교에서도 주로 ‘논리 정연한 언어’를 도구로 사용해왔다. 그리고 그것은 모더니즘의 시대적 상황과 어우러져 많은 효과를 거두었다. 그런데 사람들은 여러 전쟁들을 경험하면서 인간의 이성적 능력에 가졌던 낭만적인 생각에 회의를 품기 시작했다. 그러면서 서서히
참고문헌

고용수 총장 회갑 기념 논문집 편찬위원회 편, 『21세기 기독교교육의 과제와 전망 안에 포스트모던 시대의 학교 발전을 위한 새 학습 모델』, (서울: 예영커뮤니케이션, 2002),
김현택, 『심리학』 (서울:학지사, 1996)
신국원, 『포스트모더니즘』, (서울: IVP, 2002)
양금희, “뇌이론적으로 접근하는 신앙의 구조와 신앙교육의 방향”『21세기 기독교교육의 신학, 이론, 실천』, (서 울: 한국장로교출판사, 2004)
양금희, “예술과 기독교교육”『포스트모던 시대의 기독교교육』,(서울: 장로회신학대학교 기독교교육연구원, 2006)
오병남, 『미학강의』(서울 : 서울대학교출판부, 2003)
정호표, 『인지로서의 정서와 정서교육의 방향』, (서울: 교육철학, 1995)
한숭홍, 『철학 12강』,(서울: 장로회 신학대학교 출판부, 2005)
허경철 외,『교과교육신론』(서울: 문음사, 2004)


Arthur W. Combs, 이성호 역, 『교육신화』, (서울: 정음사, 1986)
Diamond Inc, ed., Mikka De Wakaru No, 박선우, 고선윤 역, 『뇌의 신비』(서울: 서울문화사, 2002),
Elliot W. Eisner, 이해명 역, 『교육적 상상력』, (서울: 단국대학교 출판부, 1999)Wladyslaw Tatarkiewicz, A history of six ideas : an essay in aesthetics, 손효주 역, 『미학의 기본 개념사』,(서울 : 미술문화,1999),
Elliot W. Eisner, Cognition and curriculum : a basis for deciding what to teach, 김대현, 이영만 공역, 『표상형식의 개발과 교육과정』, (서울: 교육과학사, 1994)
John H. Westerhoff Ⅲ, Will our children have faith?, 정웅섭 역, 『교회의 신앙교육』, (서울: 대한기독교교육협회, 2006)
Maria Harris, Teaching and religious imagination, 김도일 역, 『가르침과 종교적 상상력』, (서울: 한국장로교출판사, 2003)
Mary C. Boys, Education for citizenship and discipleship, 김도일 역, 『제자직과 시민직을 위한 교육』, (서울: 한국장로교출판사, 1999)
M. S. Kagan, Vorlesungen zur marxistisch leninistischen Asthetik ,진중권 역, 『미학강의』,(서울: 새길, 1998)
Pierre Babin, (The)new era in religious communication ,유영난역,『종교 커뮤니케이션의 새 시대』, (왜관: 분도, 1993)
Richard Viladesau, Theological aesthetics : God in imaginations, beauty, and art ,손호현 역,『신학적 미학: 상상력, 아름다움, 그리고 예술 속의 하나님』(서울: 한국신학연구소, 2001)
Walter Wink, Transforming Bible study : a leader's guide, 이금만역『창의적인 성서 교육방법』, (서울: 한국신학연구소, 2000),



Durka&Smith, "Comunity:An Aesthetic Perspective", Aesthetic Dimensions of Religious Education,
Elliot W. Eisner, 『Cognition and Curriculum Reconsidered, 2d ed.』 (New York:Macnillan, 1985)Gibson Winter, 『The Liberating Creation : Foundations of Religious Social Etbics』, (New York: Crossroad,1981)
E.S.Casey, 『Imagining; A Phenomenological Study』, (Bloomington, Ind:Indiana University Press,1979)
John Dykstra Eusden, John H. Westerhoff Ⅲ, 『Sensing Beauty: Aesthetics, the Human Spirit, and the Church』, (Cleveland, Ohio : United Church Press, 1998)
John H. Westerhoff Ⅲ, “What has Zion to do with Bohemia?” 『Religious Education』제 76호(1981), p. 7.
K.Meltz,"A Program for Affective Liturgy", Aesthetic Dimensions of Religious Education,
Maria Harris, "Art and Religious Education: a Conversation" 『Religious Education』제 81호(1988)
P.Tillich, 『Dynamics of Faith』(New York:Harper & Row, 1957)
R.W. Sperry, "Hsmisphere Deconnection and Unity in Conscious Awareness," 『American Psychologist, Vol 23』 1968
R. Viladesau, Theology ans the Arts, Encountering God through Music, Art and Rhetoric, 158f.



권성아, “가르치는 행위와 지식”,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대학원, 1983)
김지영,『효과적인 교육실행을 위한 교사의 탐구와 역할에 관한 연구 : 포스트모더니즘 관점에서의 미술교육을 중 심으로』, (홍익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박상진, “기독교교육에 있어서 지식, 신념, 신앙에 관한 연구 : 통합적 기독교교육학의 가능성 탐색”(미간행 석사학 위논문, 장로회신학대학교 신학대학원, 1987)
박상진, “포스트모던 기독교교육의 가능성 모색: 머리의 교육에서 마음의 교육으로,”『장신논단』, 제18호(2002. 1)
박원호, “현대기독교교육이론에 나타난 상상력의 역할에 대한 연구” 『교회와 신학, 통권27호』1995,
심진희, “기독교교육에 대한 예술적 접근 연구” (미간행석사학위 논문, 장로회신학대학교 대학원, 2006)
안선영, “소리 이미지 표현을 통한 색채수업에 관한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국민대 교육대학원, 2005)



박상진, “포스트모던 기독교교육의 가능성 모색” 『장신논단, 통권 18호』2002
양금희, “예술의 인식방식과 기독교교육” 『장신논단, 통권26호』2007


http://blog.daum.net/grace_45/11775162



1) 백과사전 및 참고자료 기사
- “메타포” 『표준 국어 대사전』(서울: 두산동아, 1999).
- “주관주의”,『표준 국어 대사전』(서울: 두산동아, 1999).
- “주관주의” 『브리태니커』(서울 : 한국 브리태니커 회사, 2002)
- “체득” 『표준 국어 대사전』(서울: 두산동아,1999).

2) 인터넷 사전
- “메타포”naver 백과사전 (2007.8.2.)
http://100.naver.com/100.nhn?docid=124171
- "상상" daum 백과사전, (2007.7.23),
http://krdic.daum.net/dickr//view_detail.do?q=696810&qalias=상상_45/11775162-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