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학교육] 수학의 정체성과 수학교육을 통한 삶의 양식과 앎의 질서

 1  [수학교육] 수학의 정체성과 수학교육을 통한 삶의 양식과 앎의 질서-1
 2  [수학교육] 수학의 정체성과 수학교육을 통한 삶의 양식과 앎의 질서-2
 3  [수학교육] 수학의 정체성과 수학교육을 통한 삶의 양식과 앎의 질서-3
 4  [수학교육] 수학의 정체성과 수학교육을 통한 삶의 양식과 앎의 질서-4
 5  [수학교육] 수학의 정체성과 수학교육을 통한 삶의 양식과 앎의 질서-5
 6  [수학교육] 수학의 정체성과 수학교육을 통한 삶의 양식과 앎의 질서-6
 7  [수학교육] 수학의 정체성과 수학교육을 통한 삶의 양식과 앎의 질서-7
 8  [수학교육] 수학의 정체성과 수학교육을 통한 삶의 양식과 앎의 질서-8
 9  [수학교육] 수학의 정체성과 수학교육을 통한 삶의 양식과 앎의 질서-9
 10  [수학교육] 수학의 정체성과 수학교육을 통한 삶의 양식과 앎의 질서-10
 11  [수학교육] 수학의 정체성과 수학교육을 통한 삶의 양식과 앎의 질서-11
 12  [수학교육] 수학의 정체성과 수학교육을 통한 삶의 양식과 앎의 질서-12
 13  [수학교육] 수학의 정체성과 수학교육을 통한 삶의 양식과 앎의 질서-13
 14  [수학교육] 수학의 정체성과 수학교육을 통한 삶의 양식과 앎의 질서-14
 15  [수학교육] 수학의 정체성과 수학교육을 통한 삶의 양식과 앎의 질서-15
 16  [수학교육] 수학의 정체성과 수학교육을 통한 삶의 양식과 앎의 질서-16
 17  [수학교육] 수학의 정체성과 수학교육을 통한 삶의 양식과 앎의 질서-17
 18  [수학교육] 수학의 정체성과 수학교육을 통한 삶의 양식과 앎의 질서-18
 19  [수학교육] 수학의 정체성과 수학교육을 통한 삶의 양식과 앎의 질서-19
 20  [수학교육] 수학의 정체성과 수학교육을 통한 삶의 양식과 앎의 질서-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수학교육] 수학의 정체성과 수학교육을 통한 삶의 양식과 앎의 질서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 론

2. 본 론

가. 수학교과의 문화적 정체성
나. 수학교과의 역사적 창조성
다. 수학교과속의 교육철학

3. 결 론

가. 왜 수학을 해야 하는가?
나. 수학교육 및 학습의 올바른 방향

본문내용
2) 중고등 수학교육이해
현재 중고등학교의 교육과정이 나타내고 있는 교과서의 내용은 거의 대부분이 17세기에서 19세기에 이르는 근대에 성립, 발견, 발전된 수학이론들이다. 서양에서는 이 시기에 이러한 수학적 이론들로 자연을 이해했고 사회의 요구에 부흥해 학교라는 곳을 통해 지식을 전달했다.
몇백년에 걸쳐서 받아들여진 영(0)과 음수의 개념을 교과서는 단 몇 줄로써 그 의미를 전달해 무조건적인 이해와 암기를 요구하고 ‘수’를 대신해서 문자를 쓰고 기호를 사용한다는 것도 오랜 시간 많은 변화과정을 거쳐 발전한 것임에도 불구하고 수학교과는 단숨에 ‘문자와 식’이라는 단원을 통해 또 다른 이해를 요구하는 것이 지금의 교과서이다. 모든 수학적 이론과 지식들은 처음부터 완벽히 만들어진 것이 아님은 자명한 사실인데 교과는 그러한 이론적 결과들에 대한 과정에는 전혀 관심이 없을 뿐 아니라 일상 속 현상에서 수학의 원리와 개념에 대해서 올바른 인식과 탐구방법을 찾지 못하고 있다. 정해진 시간에 정해진 분량을 습득해야 하는 과정으로의 교육이다. 자유로운 사고과정에서 창조성이 발휘되는 것이고 기계적인 암기가 아닌 원인과 결과에 대한 폭넓은 궁금증으로 학문으로의 영역확대가 자연스러운 것인데 지금 우리의 교과는 과연 이런 역할을 다 하고 있는 것인지 분명히 생각해 볼 문제이다.

3) 대학의 수학교육이해
현재 우리나라 수학교육에 있어 그 자체의 과목들, 다른 학문들, 중고등 교과과정, 일상에 이르기까지 그 단절에 있어 대학도 예외일 수 없다. 대학의 교수들은 누구보다 먼저 ‘학문’하는 태도를 보여줘야 함에도 불구하고 자신의 연구뿐 아니라 제자의 탐구과정과 연구에도 학문으로서는 큰 관심이 없는 듯하다. 졸업을 위한 연구논문은 형식에 치우쳐있고 그마저 자신의 연구 업적향상에만 관심을 갖고 있다. 대학의 교재란 것도 너무나 급작스런 수준상승으로 처음엔 적응하기가 쉽지 않다.
모든 과목을 원서로 대하면서 그 이해의 폭을 넓히고 깊이 있는 학문으로의 시도를 하는듯하나 여전히 중요하다고 하는 것들만 칠판에 가득적어 주입식 교육을 받아야하는 것은 중, 고등학교 때와 별 반 다르지 않다. 여전히 시험에 나오는 것을 요령있게 암기해 좋은 학점을 받는 것이 대학교육과정을 잘 받고 있는 것이다.
여기에 좋은 학점으로 졸업해 좀 더 당당한 이력서를 작성할 수 있다면 그것으로 대학교육과정에 만족하는 것이다.
중․고등학교에서 근대 절대적 지식관에 근거해 당연한 진리로 믿어왔던 수학적
참고문헌
1. 최철병「탈피, 삶의 양식과 앎의 질서」(서울, 철학과 현실사, 2003)
2. 교육부(2000), 7차 초등학교 1-가 수학 교과서
3. 교육부(1997). 수학과 교육과정. 제 7차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 1997-15호[별책8]
4. 박영배(1999). 수학과 교육을 통한 인성교육 적용방안 연구. 교과교육을 통한
5. 인성교육 - 한국교과교육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pp. 167-187. 한국교과교육학회.
6. 송상헌(1999). 수학과 교육을 통한 인성교육 -이론과 실재-,
7. 우정호(2003), 수학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향 탐색, 대한수학교육학회, 제40회 수학교육집중 세미나 초청강연 원고
8. 허승회(2003), 인성교육자로서의 교사, 제2회 전국교육대학교 연합학술대회, pp79-102
9. 교육과정과 교육평가」김재춘, 소경희, 채선희, 부재율 (2000) 교육과학사
10. 「수학교육학신론」 황혜정 외 5명 (2004) 문음사
11. 강완 & 백석윤(1998). 초등수학교육론. 서울 : 동명사
12. 이돈희(1997). 수학교과학 연구 연구보고 RR97-16-3. 한국교육개발원
13. 이용률 외 8인(1998). 초등수학교육론. 서울 : 경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