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희곡분석] 채만식 제향날 분석

 1  [희곡분석] 채만식 제향날 분석-1
 2  [희곡분석] 채만식 제향날 분석-2
 3  [희곡분석] 채만식 제향날 분석-3
 4  [희곡분석] 채만식 제향날 분석-4
 5  [희곡분석] 채만식 제향날 분석-5
 6  [희곡분석] 채만식 제향날 분석-6
 7  [희곡분석] 채만식 제향날 분석-7
 8  [희곡분석] 채만식 제향날 분석-8
 9  [희곡분석] 채만식 제향날 분석-9
 10  [희곡분석] 채만식 제향날 분석-10
 11  [희곡분석] 채만식 제향날 분석-11
 12  [희곡분석] 채만식 제향날 분석-12
 13  [희곡분석] 채만식 제향날 분석-13
 14  [희곡분석] 채만식 제향날 분석-14
 15  [희곡분석] 채만식 제향날 분석-15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희곡분석] 채만식 제향날 분석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서론]

[본론]

1. 사회주의극

1.1 사회주의극이란

1.2 사회주의극의 뿌리

1.3 사회주의극의 발전과 흐름

2. 한국의 전통 서사적 극작술

2.1 판소리

2.2 탈춤(가면극)

2.3 한국의 전통 서사적 극작술과

3. 베르톨트 브레히트

3.1 브레히트의 서사극

3.2 소외와 소외 기법

3.2.1 소외 개념

3.2.2 ‘소외’가 가져오는 효과

3.2.3 소외 기법

4. 제향날

4.1 사회극적 현실인식

4.2 전통극적 요소를 통한 새로운 형식 완성

4.2.1 서사적 화자

4.2.2 극중극과의 연계로 도출되는 주제의식

4.3 브레히트와 채만식

5. 이근삼의 와

5.1 서사극의 특징과

5.2 서사기법의 특성

[결론]

[ 참고 문헌 ]
본문내용
2. 한국의 전통 서사적 극작술
우리 전통극에 쓰이는 용어로 ‘마당’과 ‘거리’라는 것이 있다. 하나의 극은 몇 개의 마당으로 구성되고 마당 속에서는 이것을 이루(돕)는 거리가 존재한다. 강성원, 국민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1986
각각의 나누어진 마당과 거리는 독립적인 이야기 양식을 띄고, 그러한 양식 속에서 이야기를 엮어나가게 해주는 해설자적 요소를 둔다. 이와 같은 구조는 브레히트가 주장하였던 서사극의 이화 효과와 연관 지어져 이야기 될 수 있다. 우리가 중점적으로 다루고자 하는 채만식의 희곡 에서도 이러한 서사극적 요소가 사용되는데, 의 서사극적 요소는 브레히트의 서사극 이론이 국내에 정립되기 이전의 작품이라는 점에서 그 근본을 한국 전통극의 특성으로부터 비롯된 것일 가능성이 높다. 그러한 맥락에서 이 장에서는 한국의 전통 서사적 극작술에 대한 분석과 브레히트 이론과의 비교를 통하여 채만식의 이 서사극으로서 가진 특징에 대하여 이야기 해 보겠다.
우리나라 민속전통극의 종류는 그 놀이 양식에 따라 탈춤(가면극), 꼭두각시놀음(인형극), 그림자극(영회극), 판소리 등 4종류로 분류될 수 있는데, 일반인들이 이해하기 쉬운 판소리와 탈춤을 중심으로 논의를 진행하겠다.

2.1 판소리
판소리는 전문적 연희자인 광대가 고수의 북 반주에 맞춰 세 시간에서 여덟 시간 정도 걸리는 긴 이야기를, 몸짓을 섞어가며 흥미롭게 노래하는 판의 예술을 말한다.

판소리는 노래로 하는 ‘창(唱)’과 말로 하는 ‘아니리’가 교차되어 나타난다. 이때, 이야기 진행의 중심이 되는 ‘창’의 내용은 ‘아니리’를 기점으로 각각의 내용이 독립되어 있다. 때문에 앞뒤 ‘아니리’의 설명이 있을 경우에도 관객은 그 대표적인 ‘창’부분을 듣는 것만으로도 재미를 느낄 수 있다. 판소리 한 마당을 처음부터 끝까지 모두 부르는 것을 ‘완창完唱’이라고 하는데, 그렇게 하기에는 그 길이가 너무 길기 때문에 보통은 광대가 장기로 하는 ‘거리’를 뽑아 공연을 하는 것이 보통이다. ‘창’으로 불리는 하나의 ‘거리’마다 독립성이 있다는 점에서 판소리는 각 장이 독립되어 있는 서사극과 유사한 구조를 가진다고 할 수 있다.
판소리와 서사극은 다 같이 노래를 사용한다. 그러나 그 기능은 반대로 나타난다. 판소리에서의 노래는 청중을 몰

참고문헌
김연숙著 한국학술정보(주) 2005.12
방민호著 소명출판 2003.10
강성원 국민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1986
전신재 성균관대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국문학 전공 1988
전경욱 학고재 2004
이상일 건국대학교 출판부 1996
송동준 외 공저 서울대학교 출판부, 1993년
채만식 후기, 『신동아』9호 (1932.7)
페터 쏜디(1983)
심상교, 「이근삼의 초기 희곡 연구」,『한국극예술연구』,1996
이상호 『전환기의 한국 근대 희곡 연구』「제향날의 서재극적 의미와 역사인식」2004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