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정치특강] 자이니치 3세의 정체성이 북일관계에 미치는 영향(조총련계 가정을 소재로한 일본영화를 중심으로)

 1  [북한정치특강] 자이니치 3세의 정체성이 북일관계에 미치는 영향(조총련계 가정을 소재로한 일본영화를 중심으로)-1
 2  [북한정치특강] 자이니치 3세의 정체성이 북일관계에 미치는 영향(조총련계 가정을 소재로한 일본영화를 중심으로)-2
 3  [북한정치특강] 자이니치 3세의 정체성이 북일관계에 미치는 영향(조총련계 가정을 소재로한 일본영화를 중심으로)-3
 4  [북한정치특강] 자이니치 3세의 정체성이 북일관계에 미치는 영향(조총련계 가정을 소재로한 일본영화를 중심으로)-4
 5  [북한정치특강] 자이니치 3세의 정체성이 북일관계에 미치는 영향(조총련계 가정을 소재로한 일본영화를 중심으로)-5
 6  [북한정치특강] 자이니치 3세의 정체성이 북일관계에 미치는 영향(조총련계 가정을 소재로한 일본영화를 중심으로)-6
 7  [북한정치특강] 자이니치 3세의 정체성이 북일관계에 미치는 영향(조총련계 가정을 소재로한 일본영화를 중심으로)-7
 8  [북한정치특강] 자이니치 3세의 정체성이 북일관계에 미치는 영향(조총련계 가정을 소재로한 일본영화를 중심으로)-8
 9  [북한정치특강] 자이니치 3세의 정체성이 북일관계에 미치는 영향(조총련계 가정을 소재로한 일본영화를 중심으로)-9
 10  [북한정치특강] 자이니치 3세의 정체성이 북일관계에 미치는 영향(조총련계 가정을 소재로한 일본영화를 중심으로)-10
 11  [북한정치특강] 자이니치 3세의 정체성이 북일관계에 미치는 영향(조총련계 가정을 소재로한 일본영화를 중심으로)-11
 12  [북한정치특강] 자이니치 3세의 정체성이 북일관계에 미치는 영향(조총련계 가정을 소재로한 일본영화를 중심으로)-12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북한정치특강] 자이니치 3세의 정체성이 북일관계에 미치는 영향(조총련계 가정을 소재로한 일본영화를 중심으로)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제1장 문제제기와 연구방법
제1절 현상 및 문제제기
제2절 연구방법

제2장 이론적 검토
제1절 역할과 정체성
제2절 새로운 세대의 정체성

Ⅱ. 본론

제3장 정체성 형성과정

제4장 조총련계 민족학교의 존재와 영향

제5장 자이니치 3세의 정체성이 북일관계에 미치는 영향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제2장 이론적 검토

제1절 역할과 정체성

정체성이란 자신이 행하고 사고하고 느끼는 것, 그리고 타인이 자신에 대한 인식이 일치될 때에 완성된다. 따라서 자신의 정체성을 확립하기 위해 자신과 타인에 대한 노력을 동시에 기울이기도 한다. 또한 존재에 대하여 새로운 정체성이 더해지거나 기존의 정체성이 포기될 때, 기존 정체성의 수준이 변화될 때, 그리고 역할이 변화하는 경우에도 정체성의 변화는 나타난다. 이러한 정체성의 변화는 일련의 ‘과정’을 통해 나타나며 이러한 정체성 형성 과정을 거친 후에 비로소 정체성 확립이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역할과 정체성은 상이한 개념이 아니라 유사 포괄적 개념을 지니고 있다. 즉 어떠한 존재의 역할은 자신이 인식하는 모습과 타인이 기대하는 모습 그리고 이 두 가지 요소의 상호작용이며, 역할은 곧 존재의 정체성과 깊은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보았을 때 자이니치 3세의 정체성을 파악하는 것은 일본인들과의 상호작용의 결과를 예측하기 위한 선행작업이 될 수 있다. 윤철수, “청소년 지도사의 정체성 형성 과정 연구-근거이론을 중심으로-”, 『청소년학연구』 제16권 제3호 (2009), pp.126~127 참고.


제2절 새로운 세대의 정체성

이 연구와 관련하여 재일교포의 민족정체성에 대한 연구로서는 김정구(2004)의 재일한인의 정체성에 관한 연구가 있다. 김정구는 재일한인의 정체성을 생활환경에 따라 공생지향, 조국지향, 개인지향, 귀화지향 등 4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여 분석을 시도하고 있다. 재일한인의 디아스포라적 접근방식을 강조하는 연구자로서는 서경식(1998)과 윤건차(2001) 등이 있이며 이들 연구는 글로벌시대 재일한인의 민족의식이나 단일민족 신화의 국민국가적인
참고문헌

◎ 단행본

김욱, 2002, 『영화 속의 법과 이데올로기』, (서울: 인간사랑).
김태영, 강석진 옮김, 2005, 『저항과 극복의 갈림길에서-재일동포의 정체성, 그 역사와 현재 그리고 미래』, (서울: 지식산업사).
조한혜정․이우영, 2000, 『탈분단 시대를 열며 남과 북, 문화 공존을 위한 모색』, (서울: 삼인).

◎ 논문

김숙자, 2007, 『재일조선인의 정체성과 국적: 재일조선인 3세를 중심으로』 (서울: 동국대 대학원 사회학과 석사학위논문).
김재기, 2005, “남북통일과정에서의 재외동포의 대북한 경제협력-중국 조선족과 재일 조총련 동포
윤철수, 2009, “청소년 지도사의 정체성 형성 과정 연구-근거이론을 중심으로-”, 『청소년학연구』 제16권 제3호 (서울: 한국청소년학회).
이승훈, 2006, “일본에서 ‘재일한국인’으로 살아가기: 한국 민주화 운동 참여자들의 정체성”, 『현상과 인식』 통권 98호 (서울: 한국인문사회과학회).
임영언, 2009, “재일한인의 민족정체성(Ethnic Identity) 유형에 관한 사례연구”, 『일본문화 학보』 제40권 (서울: 한국일본문화학회).
임영언․김태영, 2008, “재일코리안 청소년의 민족 정체성(Ethnic Identity)에 관한 연구”, 『일본문화학보』 제36권 (서울: 한국일본문화학회).
정갑수, 2000, “정상회담 이후 재일동포사회의 화해․협력: 민단․조총련간의 화해와 협력을 중심으로”, 『통일문제연구』 통권 제33호 (서울: 평화문제연구소).
정병호, 2003, “문화적 저항과 교육적 대안: 재일 조선학교의 민족 정체성 재생산”, 『비교문 화연구』 제9집 2호 (서울: 서울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정세진, 2009, “독립 이후 중앙아시아 국가 건설과 민족 건설 과정에서 나타난 문화 정체성 특성에 관한 소고”, 『e-Eurasia』 vol. 14 (서울: 한양대학교 아태지역 연구센타).
조현미, 2000, “재일동포의 집주지역 형성과 민족 정체성의 변화-요세바 고도부키를 중심으로-”, 『대한지리학회지』 제35권 1호 (서울: 대한지리학회).
진희관, 1995, “조총련 연구”, 『역사비평』 통권32호 (서울: 역사비평사).
______, 2003, “북한과 조총련의 관계 변화 및 민단-조총련 관계개선 방안 모색”, 『통일문제연 구』 통권 제39호 (서울: 평화문제연구소)
최영호, 2008, “재일교포사회의 형성과 민족 정체성 변화의 역사”, 『한국사연구』 제140호 (서울: 한국사연구회)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