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천신학개론] 신약시대의 초대교회의 교육에 관한 분석

 1  [실천신학개론] 신약시대의 초대교회의 교육에 관한 분석-1
 2  [실천신학개론] 신약시대의 초대교회의 교육에 관한 분석-2
 3  [실천신학개론] 신약시대의 초대교회의 교육에 관한 분석-3
 4  [실천신학개론] 신약시대의 초대교회의 교육에 관한 분석-4
 5  [실천신학개론] 신약시대의 초대교회의 교육에 관한 분석-5
 6  [실천신학개론] 신약시대의 초대교회의 교육에 관한 분석-6
 7  [실천신학개론] 신약시대의 초대교회의 교육에 관한 분석-7
 8  [실천신학개론] 신약시대의 초대교회의 교육에 관한 분석-8
 9  [실천신학개론] 신약시대의 초대교회의 교육에 관한 분석-9
 10  [실천신학개론] 신약시대의 초대교회의 교육에 관한 분석-10
 11  [실천신학개론] 신약시대의 초대교회의 교육에 관한 분석-11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실천신학개론] 신약시대의 초대교회의 교육에 관한 분석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초대교회의 교육

1. 초대교회의 상황을 정치 경제 사회적 측면과 종교 사상적 측면에서 고찰

2. 초대교회의 교육 목적

3. 초대교회의 교육 내용

4. 초대교회의 교육 방법







Ⅲ. 결론


본문내용
1. 초대교회의 상황을 정치 경제 사회적 측면과 종교 사상적 측면에서 고찰
1) 정치, 경제, 사회적인 측면
로마제국은 대국의 기질이 있었으며 종교정책도 어떤 의미에서는 매우 관대하였다. 또한 로마 제국은 피정복민(被征服民)의 고대종교에 대하여서도 그것이 국가의 안보에 반대하지 않는다면 유화정책의 하나로서 큰 역할을 감당하였다. 이러한 점에서 로마제국은 유대인의 고유한 그들의 민족종교를 인정하였으며, 주후 55-70년, 주후132-135년간의 처참한 유대 전쟁 후에도 유대인에게 주어졌던 옛 특권은 계속 인정되었다.
그러나 오래지 않아 기독교가 유대인의 민족종교와는 별개의 종교라는 새로운 사실이 밝혀졌으며 더욱이 교인 수가 급격히 제국 내에 퍼지게 되자 제국의 안정에 매우 거슬리는 종교집단이 되었던 것이다. 이대섭, 『초대기독교의 역사적 배경』(서울 : 성광문화사, 1986), pp202-205.

초대 그리스도교 교인들에게 있어서 정치적인 박해의 직접적인 요인의 하나는 임박한 종말에 대한 메시야 사상이었다. 그들이 대망하는 메시야는 의로운 자들에게 보상하고, 외국의 압제로부터 자유를 쟁취해주는 인물이었으며 이 메시야의 역할을 정치적인 면을 내포하고 있었다. 이러한 메시야사상은 현 체제인 로마제국을 부정하는 것이라 생각되었고 로마제국을 정복하여 새 세계의 도래를 꿈꾸는 위험한 사상으로 당연한 박해의 요인이 될 수 있었다. 더욱이 초대그리스도 교인들은 두 주인으로서 하나님과 로마제국을 섬길 수 없는 종교적 갈등과 제국에 바치는 세금으로 인하여 경제적인 어려움도 겪게 되었다. 그러므로 더욱더 이러한 자신들의 처지에서 속히 구원해줄 메시야를 더욱더 간절한 마음으로 기다리게 되었던 것이다. L. J. Sherrill, The Rise of Christian Education (New York : Macmillan, 1960), pp73-5. 김준원, 『초대교회의 기독교 교육 연구』재인용.


2) 종교. 사상적 측면
(1) 유대교
유대인으로 하여금 '유대인' 이 되게 하는 요인을 알려면 먼저 디아스포라(diaspora)에 주목해야 할 것이다. 이 디아스포라 유대인들은 충분한 수의 사람들이 함께 살게 되면 어느 곳에서든 자발적으로 자신들의 이익과 조상들의 종교적 관습을 지킬 수 있는 사회를 조직했던 것이다. J. Cook, 『기독교대백과사전』Vol.12, "유대교" (서울 : 교문사, 1980), p520.

유대인들은 아주 어렸을 때부터 성서의 교훈들을 가르쳤는데 이 사실은 얼마나 의식적으로 유대인들이 자기의 민족적인 존재기반을 하나님의 역사위에 근거하고 있는가를 보여주는 표시였다. 성서를 가르치는 것은 부모의 책임이었으며 가정, 회당에서 랍비들로부터 교육을 받았다. Werner Forster, 『신구약 중간사』 (서울 : 컨콜디아사, 1981), pp207-9.



참고문헌
김영재, 『기독교 교회사』(서울 : 이레서원, 2000).
이대섭, 『초대기독교의 역사적 배경』(서울 : 성광문화사, 1986).
박봉수, 『교회의 성인교육』(서울 : 한국장로교출판사, 1999).
반 피득, 『기독교 교육』(서울 : 대한기독교출판사, 1983).
정웅섭, 『기독교교육의 이론과 실제』(서울 : 대한기독교출판사, 1981).
이종식, 『기독교교육학개론』 (서울: 도서출판 한글, 1997).
양창삼, 『기독교 교육행정』(서울: 대한예수교장로회총회, 2000).
정정숙, 『기독교 교육과정론』 (서울 : 대한예수교장로회총회교육부 편, 1980).
박수암, 『신약성서 해석론』 "바울의 전승 이해", (서울 : 한국성서학연구소, 2004).

Werner Forster, 『신구약 중간사』문희석 역 (서울 : 컨콜디아사, 1981).
J. Cook, 『기독교대백과사전』Vol.12, "유대교" (서울 : 교문사, 1980).
마이클 콜린스ㆍ매튜 A. 프라이스, 『사진과 그림으로 보는 기독교 역사』, 김승철 역 (서울:시공사, 2001).
W.레인, 『마가복음 상』이상훈 역 (서울 : 생명의 말씀사, 1983).

Lewis J. Sherrill , The Gift of Power (New York: macmillan, 1959).
Randolf C.Miller, Biblical Theology and Christion Education (New York: Charles Scribners Son's, 1956).
L. J. Sherrill, The Rise of Christian Education (New York: Macmillan, 1960).
Robert M. Grant, Early Christianity and Society (San-francisco: Harper & Row, 1977).
Y.M.J,Congar, 『Tradition and Tradions』 (London:Burn & Oates,1966).
Oscar Cullmann, 『The Early Church』,ed. by A.J.B.Higgins (London : Scm Press,1956).

성종현, 『크리스챤과 성서해석』「장신논단」 2집 (1986).
장종철, 『초대교회의 교육』「기독교교육」통권 270호 (1990. 11).
성종현, 『하나님 나라와 예수의 비유 언어』「교회와 신학」21집 (1989).

강석원, “초대교회의 교육과 예배가 현대 교회교육에 주는 의미와 적용 가능성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장로회 신학대학 대학원, 1991).
김준원, “초대교회의 기독교교육 연구”, (석사학위논문, 한신대학 신학대학원, 1986).
김창영, “기독교 교육 성장 배경 연구”, (석사학위논문, 총신대 목회 대학원, 1991).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