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한관계론] 북핵위기의 조정과 중국외교의 선택

 1  [남북한관계론] 북핵위기의 조정과 중국외교의 선택-1
 2  [남북한관계론] 북핵위기의 조정과 중국외교의 선택-2
 3  [남북한관계론] 북핵위기의 조정과 중국외교의 선택-3
 4  [남북한관계론] 북핵위기의 조정과 중국외교의 선택-4
 5  [남북한관계론] 북핵위기의 조정과 중국외교의 선택-5
 6  [남북한관계론] 북핵위기의 조정과 중국외교의 선택-6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남북한관계론] 북핵위기의 조정과 중국외교의 선택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적극적’ 개입의 동기
3. 북핵위기 조정에서의 중국의 역할과 한계
4. 결론
본문내용
2.1 개입의 필요성

우선, ‘한반도의 평화와 안정 유지’ 즉 주변 환경과 관련된 것이다. 사실 제2차 북핵위기 발생 초반부터 중국이 적극적인 태도를 보인 것은 아니다. 2002년 10월 25일 訪美시, 강택민 전 중국국가주석은 중국의 한반도 비핵화에 대한 주장과 동시에 북핵문제에서 있어서 미국과 대화와 협조를 강화할 것이라고 강조하였다. 당시 미 국방장관이었던 페리나 렘튼 교수는 강 주석이 북핵문제 해결에서 긴박성을 준다는 느낌을 전혀 느끼지 못했고, 오히려 북미관계의 긴장은 미국이 조성한 결과이므로 양자 간의 협상을 통해 해결해야 한다는 예전의 주장을 반복하는 것으로 회억을 했다. 朱鋒, 「中國朝核政策和策略的變化」, 『中國戰略』(2004-3). p.9.
그러나 2003년 1월 10일, 북한의 NPT 탈퇴 선언이 전환점으로 되었다. 강택민 주석은 부시와의 통화에서 처음으로 ‘북한의 NPT 탈퇴를 찬성하지 않는다’고 ‘찬성하지 않음(不贊成)’을 표했는데, 이것은 중․ 북 간의 핵문제에 있어서의 분기를 처음으로 공개 표출한 것이다. 이어 1월 16일, 호금도 중국공산당총서기는 처음으로 ‘한반도 국가는 핵무기를 가질 수 없다’ 고 ‘가질 수 없다(不能)’을 공식적으로 선포했다. 희망만이 아닌 강제적 성격을 띤 것으로 해석이 가능하다. 2006년 10월 북한의 핵실험에 대한 실망과 분노로, 중국 외교부는 10월9일의 성명에서 ‘제멋대로(悍然)’ 이란 표현을 처음으로 써 사람들의 관심을 끌고 있다. (http://www.cctv.com/video/wwwwxinwen/2006/10/ wwwwxinwen_300_20061009_25.shtml, 검색일: 2006/10/17)

2003년 초 미국이 이라크를 공격할 준비를 갖추고 있는 상황에서 북한이 미국과의 양자회담만을 고집하자, 3월에는 기술고장을 이유로 대북석유파이프라인을 3일간 봉쇄했다. 2003년 3월 20일 개시된 이라크전 초반부터 보여준 미국의 현실적인 힘, 북한이 이라크 다음의 공격목표로 부상하는 당시의 분위기와 동맹국인 중국으로 하여금 또 다시 원치 않는 전쟁에 개입할 수밖에 없는 상황에 몰릴 수밖에 없는 현실은 중국으로 하여금 전쟁의 압박감을 절실히 느끼게 되었다. 1961년 7월에 체결한 중조우호협력호조조약(中朝友好合作互助條約)의 군사동맹성격을 띠는 제2조에 근거하면, 북한이 미국과 무력충돌에 돌입하게 되는 경우, 중국은 무조건 전쟁에 참가하게 되어 있다.
중국은 3자회담(2003년 4월 23일)을 주선했고, 3자회담을 6자회담(제1차, 2003년 8월 27일)로 확대해 나갔다. 그 연속선상에서 중국정부는 신의주특구 행정장관으로 임명된 양빈을 구속했고, 2003년 9월 국경수비대를 무장경찰에서 인민해방군으로 교체하는 2003년 9월에서 그 해 연말까지 인민해방군 15만 명으로 무장경찰을 교체했다. 전투능력을 보유한 정규 3개 야전군단을 접경지역에 배치하였는데, 1개 야전군단은 3개 보병사단, 1개 장갑사단, 1개 포병사단 등 약 5만명 병력으로 구성된다. “中, 북한접경에 인민해방군 15만명 투입,” 『연합뉴스』, 2003.9.3.
등의 일련의 대북 강경조치를 취했다. 이것은 무엇보다도 북한의 핵보유는 동아시아의 안정을 저해하고 전쟁발발 가능성을 증대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한다는 점에서 중국의 국가이익과 근본적으로 충돌하는 속성을 지니고 있기 때문이
참고문헌
鄧小平, 『鄧小平文選』(第2卷) (北京: 人民出版社, 1993年)
鄧小平, 『鄧小平文選』(第3卷) (北京: 人民出版社, 1993年)
李寶俊, 『當代中國外交槪念』(北京: 中國人民大學出版社, 1999年)
仇發華, 「中國在朝鮮核問題上的作用及其受困局限的原因分析」, 『東北亞論壇』(2005-2)
魏志江、李燕萍 「試論朝鮮半島第二次核危機與危機管理」,『世界經濟與政治』(2006-3)
中華人民共和國外交部政策硏究室 編, 『中國外交(2004)』(北京: 世界知識出版社, 2004).
朱 鋒, 「中國朝核政策和策略的變化」, 『中國戰略』(2004-3).
, 「中國的外交斡旋與朝核問題六方會談-爲什麼外交解決朝核問題這麼難?」,『外交評論』
(2006-4).
朱聽昌 編, 『中國: 周邊安全環境與安全戰略』(北京: 時事出版社, 2002)
김유은, 「북핵문제에 대한 중국의 입장: 6자회담을 중심으로」,『中蘇硏究』, 통권 103호, 2004.
김애경, 「중국의 대외정체성 인식 변화: 제1, 제2차 북핵위기에 대한 중국의 역할변화 분석을 사례
로」,『국가전략』, 제10권 4호, 2004.
김재철, 「중국의 동아시아 정책」,『국가전략』, 제9권 4호, 2003.
김재철, 「중국의 강대국 대외정책」,『국가전략』, 제11권 3호, 2005.
문흥호, 「北韓 核問題에 대한 중국의 基本 認識과 政策 基調」,『中蘇硏究』, 제27권 3호, 2003.
, 「중국의 대외전략: 동북아 및 한반도정책을 중심으로」,『한국과 국제정치』, 제21권 1호,
2005.
박병광, 「북한 핵문제에 대한 중국의 입장과 정책」,『동아연구』, 제46집, 2004.
신상진, 「중국의 북핵 6자회담 전략: 중재역할을 통한 영향력 강화」,『국가전략』, 제11권2호,
2005.
, 「중국의 입장과 정책 전망」,『정세와 정책』, 2006년 8월호.
양운철, 「중국의 대북한 경제협력 증가의 정치경제적 함의」,『정세와 정책』, 2006년 5월호.
유세희 ․ 김광용, 「중국과 러시아의 對북핵정책: 인식과 평가」,『中蘇硏究』, 통권 108호,
2005/2006.
이태환, 「북한 핵실험에 대한 중국의 입장과 전략」,『정세와 정책』, 2006년 특집호.
전병곤, 「중국의 북핵 문제 인식과 중북관계의 변화」,『중국학연구』, 제35집, 2005.
장 봉, 「중국과 북한관계의 발전에 대한 사고」,『정책과학연구』, 제14집 제2호.
존 페퍼, 정세채 옮김, 『남한 북한』(서울: 모색, 2005).
채규철, 「중국의 대미관계와 북핵문제 해결과정에서의 역할」,『사회과 교육』, 제45권 1호, 2006.
한석희, 「“6자회담”과 중국의 딜레마」,『國際政治論叢』, 제45집 1호, 2005.
Alexander, George, ed, Avoiding War, Problems of Crisis Management, Boulder, Colo: Westview Press, 1991.
Bush, George W. 2004. “State of the Union Address.“ (http://www. whitehouse. gov /news/releases/2004/01/text/20040120-7.html)
John Pomfret, "A New Direction for Chinese Diplomacy," The Washington Post, August 16, 2003.
You, ji., China and North Korea: a fragile relationship of strategic convenience, Journal of Contemporary China, 10~28(2001).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