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시가론] 유배가사 작품구조의 전통과 변모

 1  [고전시가론] 유배가사 작품구조의 전통과 변모-1
 2  [고전시가론] 유배가사 작품구조의 전통과 변모-2
 3  [고전시가론] 유배가사 작품구조의 전통과 변모-3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고전시가론] 유배가사 작품구조의 전통과 변모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머리말
2. 허구적 설정의 전통과 관습
3. 사실적 진술과 경험적 현실
4. 희화화와 유배정서의 변질
5. 마무리
본문내용
2. 허구적 설정의 전통과 관습
유배가사의 최초작인 「만분가」는 연군가사의 전통을 수립한 작품이다. 연군가사의 가장 큰 특징은 허구적 인물, 공간의 설정에 있다. 즉 이들 작품은 작품 내 화자를 지상계의 여성으로, 하소연이나 그리움의 대상을 천상계의 신적 존재로 설정하고, 죽어서 윤회를 거듭해서라도 천상계로 가겠노라고 하는 비장한 결심에 이르게 하는 시.공간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그런데 「만분가」의 화자는 여성으로 형상화되어 있지만 여러 대목에서 정치적 문맥과 함께 초수남관(楚囚南冠), 백발황상(白髮黃裳)등 남성 사대부로 나타나 있어서 작품의 통일성 면에서는 문제가 되기도 한다. 그러다가 정철의 「사미인곡」과 「속미인곡」에 이르러 화자는 여성으로서 남성인 님을 그리워하는 연정시의 화자로 완성되었다.
그러면 사대부 시인들이 허구적 여성 화자와 남성적 대상 님을 설정한 것의 문학적 의미는 무엇인가? 「사미인곡」은 과거에는 있지만 현재에는 없고, 미래에도 기대할 수 없는 님을 그리워하는 절망적인 정서를 노래한 작품이다. 죽음의 설정은 강인한 의지의 표현이기도 하지만 절망적인 현재의 역설이기도 하다. 정철의 창평 시절은 그만큼 괴롭고 절망적인 나날이었던 것이다. 「사미인곡」은 송강 자신이 설정한 당위의 세계-경국제민의 이상실현-가 좌절되자 어쩔 줄 모르고 허둥대며 그 당위의 세계를 회복시켜 줄 수 있는 존재인 님을 찾아 헤매는 모습을 형상화한 작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