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근대사] 해방 전야의 독립국가 수립 준비과정

 1  [한국근대사] 해방 전야의 독립국가 수립 준비과정-1
 2  [한국근대사] 해방 전야의 독립국가 수립 준비과정-2
 3  [한국근대사] 해방 전야의 독립국가 수립 준비과정-3
 4  [한국근대사] 해방 전야의 독립국가 수립 준비과정-4
 5  [한국근대사] 해방 전야의 독립국가 수립 준비과정-5
 6  [한국근대사] 해방 전야의 독립국가 수립 준비과정-6
 7  [한국근대사] 해방 전야의 독립국가 수립 준비과정-7
 8  [한국근대사] 해방 전야의 독립국가 수립 준비과정-8
 9  [한국근대사] 해방 전야의 독립국가 수립 준비과정-9
 10  [한국근대사] 해방 전야의 독립국가 수립 준비과정-10
 11  [한국근대사] 해방 전야의 독립국가 수립 준비과정-11
 12  [한국근대사] 해방 전야의 독립국가 수립 준비과정-12
 13  [한국근대사] 해방 전야의 독립국가 수립 준비과정-13
 14  [한국근대사] 해방 전야의 독립국가 수립 준비과정-14
 15  [한국근대사] 해방 전야의 독립국가 수립 준비과정-15
 16  [한국근대사] 해방 전야의 독립국가 수립 준비과정-16
 17  [한국근대사] 해방 전야의 독립국가 수립 준비과정-17
 18  [한국근대사] 해방 전야의 독립국가 수립 준비과정-18
 19  [한국근대사] 해방 전야의 독립국가 수립 준비과정-19
 20  [한국근대사] 해방 전야의 독립국가 수립 준비과정-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국근대사] 해방 전야의 독립국가 수립 준비과정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17

Ⅱ. 전시체제와 민족말살정책

1) 병참기지화정책

2) 민족말살정책과 황국신민화정책

Ⅲ. 인물을 통해 본 독립운동과 건국준비

1) 김구와 대한민국 임시정부

2) 여운형과 조선건국동맹

3) 이승만의 외교활동

4) 김일성과 2군 6사장 부대

5) 김두봉의 통일전선운동

Ⅳ. 해방 전야 독립운동의 특성과 통일전선 형성 노력

Ⅴ. 결론

※.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론

1937년부터 1945년까지 해방 전야의 시기는 일제가 강력한 민족말살정책을 추진하던 한민족 시련의 시기인 동시에 독립운동의 국내외적 조건이 비교적 순조롭게 조성되어 나가던 시기였다. 더불어 이 시기는 1945년 민족의 해방이 독립국가로 귀결되지 못하고 분단의 아픔으로 나타나는 원인을 고찰해 볼 수 있는 시기라고 하겠다. 다시 말해 우리는 해방 전야의 시기를 통해 광복을 이루기 위한 우리민족의 독립운동총체를 살펴볼 수 있으며, 해방이후 정국의 모습에 관한 이해를 도울 수 있을 것이다.
일본은 ‘世界 大恐慌’을 극복하는 방편으로 ‘大東亞共榮圈’을 주장하며 세계팽창 정책을 추진해 나간다. 1931년 만주사변을 일으킨 일본은 1937년 중․일 전쟁
1937년 7월 7일 노구교(盧溝橋)사건을 빌미로 일본군은 부근에 주둔해 있던 중국군을 공격하여 선전포고 없는 전면전쟁이 시작되었다. 제2차 세계대전과 함께 종료되기까지 8년간의 항전으로 총 132만 명의 중국인이 사망했다.
을 도발하여 대륙 깊숙이 침투하였다. 그리고 동남아시아․남태평양 지역에 광대한 세력권(대동아공영권)을 형성하고 중국과의 전쟁에서 필요한 전략물자를 획득하려 하였다. 미국과의 대결을 피할 수 없음을 알게 된 일본은 1941년 12월 8일 미군의 해군 거점기지인 하와이 진주만을 기습함으로써 태평양전쟁이 시작되었다. 그리고 미국의 참전에 대하여 일본의 동맹국인 독일과 이탈리아가 미국에 선전포고함으로써 전쟁은 세계 대전으로 확산되었다. 1943년 스탈린그라드 전투를 고비로 전세가 역전되자 미․영․소 3대국은 ‘전후 세계를 어떻게 재편성할 것인가?’ 하는 문제에 관해서 구체적으로 논의하기 시작한다. 1943년 10월 19일에 개최되었던 ‘모스크바 외상회의’ 이후 미․영․중의 루즈벨트, 처칠, 장개석 등 연합국의 수뇌들은 ‘카이로 회담 1943년 11월 22일에서 26일까지와 1943년 12월 2일에서 7일까지 두 차례의 모임을 갖는다.
’을 진행하고 1943년 11월에는 ‘카이로 선언’ 1943년 11월 27일 연합국측이 카이로회담의 결과로 채택한 대일전(對日戰)의 기본목적에 대한 공동 코뮤니케(발표 12월 1일). 주요내용은 아래와 같다.
① 3국은 일본에 대한 장래의 군사행동을 협정하였다.
② 3국은 야만적인 적국에는 가차 없는 압력을 가할 결의를 표명하였다.
③ 일본의 침략을 저지하고 응징하나 3국 모두 영토 확장의 의도는 없다.
④ 제 1차 세계대전 후 일본이 탈취한 태평양 제도(諸島)를 박탈하고 또한 만주․타이완․팽호제도 등을 중국에 반환하고 일본이 약취한 모든 지역에서 일본세력을 驅逐한다.
이 밖에 특히 한국에 대해서는 특별조항을 넣어 󰡐현재 한국민이 노예상태 아래 놓여 있음을 유의하여 앞으로 한국을 자유독립국가로 할 결의를 가진다.’ 라고 명시하여 처음으로 한국의 독립이 국제적으로 보장받았다. 이 선언은 이상의 목적으로 3국은 일본의 무조건항복을 촉진하기 위해 계속 싸울 것을 천명하였는데, 1945년 포츠담선언에서 조항이 재확인되었다.
을 발표하여 일본의 항복을 촉구하게 된다. 카이로 회담은 유럽문제와 대일전 문제에 관해 논의하는 것은 물론, 제 2차 세계대전에 임하는 연합국의 정당성을 확보하기 위해 연합국이 영토 확장을 기도하지 않음은 물론 식민지 국가의 해방-독립을 지향한다는 정신을 선언의 형태로 공포하였다. 그리고 한국을 적당한 시기에 독립시킬 것을 결의하는 내용도 포함되어 있었다.
참고문헌
․ 참고서적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50- 전시체제와 민족운동』, 탐구당문화사, 2001.
강만길 외, 『한국사 16- 민족해방운동의 전개2』, 한길사, 1994.
김대상, 『일제하 강제인력수탈사』, 정음사, 1975.
김삼웅, 『백범 김구 평전』, 시대의 창, 2004.
한국근현대사연구회, 『한국독립운동사강의』, 도서출판 한울, 1998.
김구, 『백범일지』, 돌베개, 2002.
강만길,『역사는 이상의 현실화 과정이다』, 창작과 비평사, 2002.
정병준, 『몽양 여운형 평전』,한울출판사, 1995.
서대숙, 『북한의 지도자 김일성』, 청계연구소, 1989.
서대숙, 『 현대 북한의 지도자』, 을유출판사, 2000.
정용욱 외, 『대한민국임시정부수립 80주년 기념 논문집 상,하 /한국근현대사학회편 』, 국가보훈처, 1999.
와다 하루끼지, 『김일성과 만주항일전쟁』, 창작과 비평사, 1992.
심지연, 『잊혀진 혁명가의 초상 : 김두봉 연구』, 인간사랑, 1993.
강만길 외, 『한국사 17, 분단구조의 정착 ―1』, 한길사, 1994.

․ 참고논문
한시준, 「기획 해방전야, 해외 4대세력 무엇을 하고 있었나 김구와 중경임시정부」,「역사비평」1991.
한시준, 「백범 김구와 중경 임시정부」,『백범과 민족운동연구』1, 백범학술원. 2003.
양승태외,「미군정기(1945~1948) 한국의 자유주의 : 이승만의 ‘반공적’ 자유주의」, 한국철학사연구회, 2002.
김두희, 「이승만의 미국인식과 대한민국의 건국과 생존」,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정병준, 「주한 미군정의 ‘임시한국행정부 : 수립과 독립촉성중앙협의회」,『역사와 현실19』, 역사비평사, 1996.
이종석, 「해방전야, 해외 4대 세력 무엇을 하고 있었나: 김일성과 항일유격대」,『역사비평 16호』, 역사 비평사, 1991.
염인호, 「화북조선독립동맹과 통일전선 운동」, 『근현대사강좌 제4호』, 한국현대사연구회, 1994.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