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학] 제주 箱舟漂着(상주표착)신화와 함의 의미

 1  [한국학] 제주 箱舟漂着(상주표착)신화와 함의 의미-1
 2  [한국학] 제주 箱舟漂着(상주표착)신화와 함의 의미-2
 3  [한국학] 제주 箱舟漂着(상주표착)신화와 함의 의미-3
 4  [한국학] 제주 箱舟漂着(상주표착)신화와 함의 의미-4
 5  [한국학] 제주 箱舟漂着(상주표착)신화와 함의 의미-5
 6  [한국학] 제주 箱舟漂着(상주표착)신화와 함의 의미-6
 7  [한국학] 제주 箱舟漂着(상주표착)신화와 함의 의미-7
 8  [한국학] 제주 箱舟漂着(상주표착)신화와 함의 의미-8
 9  [한국학] 제주 箱舟漂着(상주표착)신화와 함의 의미-9
 10  [한국학] 제주 箱舟漂着(상주표착)신화와 함의 의미-10
 11  [한국학] 제주 箱舟漂着(상주표착)신화와 함의 의미-11
 12  [한국학] 제주 箱舟漂着(상주표착)신화와 함의 의미-12
 13  [한국학] 제주 箱舟漂着(상주표착)신화와 함의 의미-13
 14  [한국학] 제주 箱舟漂着(상주표착)신화와 함의 의미-14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국학] 제주 箱舟漂着(상주표착)신화와 함의 의미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차례
1. 서론
2. 제주 신화 속의 箱舟漂着 화소
3. 타 지역 신화의 箱舟漂着 화소
4. 函 話素의 고찰
5. 函의 의미
6. 결론

본문내용

탐라현은 전라도 남쪽 바다에 있다. 古記에 이르기를, 태초에 사람이 없더니 세 神人이 땅에서 솟아났다. 한라산의 북녘 기슭에 구멍이 있어 毛興穴이라 하였다. 맏이를 良乙那라 하고 다음을 高乙那라 하고 셋째를 夫乙那라 했다. 세 신인은 황량한 들판에서 사냥을 하여 가죽옷을 입고 고기를 먹으며 살았다.
하루는 자줏빛 흙으로 봉해진 나무함이 동쪽 바닷가에 떠밀려 오는 것을 보고 나아가 이를 열였더니, 그 안에는 돌함이 있고 붉은 띠를 두르고 자줏빛 옷을 입은 사자가 따라와 있었다. 돌함을 여니 푸른 옷을 입은 처녀 세 사람과 송아지, 망아지, 그리고 五穀의 씨가 있었다. 이에 사자가 말하기를
“나는 日本國 사자입니다. 우리 임금께서 세 따님을 낳으시고 이르시되, 서쪽 바다에 있는 산에 신자 세 사람이 탄강하시고 나라를 열고자 하나 배필이 없으시다고 하시며 臣에게 명하시어 세 따님을 모시도록 하므로 왔사오니, 마땅히 배필을 삼아서 大業을 이루소서”
하고 홀연히 구름을 타고 가 버렸다. 세 사람은 나이 차례에 따라 장가들고, 물이 좋고 땅이 기름진 곳으로 나아가 활을 쏘아 거쳐할 땅을 점치니, 양을나가 거쳐하는 곳을 第一都라 하고, 고을나가 거쳐하는 곳을 제이도라 했으며, 부을나가 거쳐하는 곳을 제삼도라 했다. 비로소 오곡의 씨앗을 뿌리고 소와 말을 기르니 날로 살림이 풍부해지더라
. 현용준, 삼성신화 연구,「탐라문화」제2호, 탐라문화연구소, 1982, 47~48쪽.


일반신본풀이:

동해용왕이 서해용왕 따님하고 천정배필을 맺었다. 늦도록 자식이 없어서 관음사에 가서 기도를 드려 딸아기가 태어났다. 너무 호호 모셔가며 키워 여러 죄를 짓게 된다. 어머니 젖가슴을 때린 죄, 아버지 수염을 뽑은 죄, 곡식을 흩뜨린 죄, 조상불효, 친족불화, 尊長불효..... 이렇게 죄목이 많아지니, 아버지 동해용왕은 이 딸을 죽이기로 작정했다. 용왕부인은 남편을 달래
“이 내 속으로 낳은 자식을 어찌 이 내 손으로 죽일 수 있으오리까? 그리 말고 동이용궁 쉐철이 아 불러당 무쉐설캅을 맹그라그네 동이와당데레 띄와불미 어찌오리까? ”
부인은 딸아기를 인간세상으로 보내어서 살리려는 심산이었다.
“인간에 生佛王(인간을 잉태시켜 낳게 해주고 길러주는 신, 삼승할망)이 읏이매 생불왕으로 들어상 얻어먹기 설연하라”...(중략)...
참고문헌
고광민, 당본풀이에 나타난 모순과 대립, 「탐라문화」2, 탐라문화연구소, 1983.
김헌선, 현용준, 강정식, 「제주도 조상신본풀이 연구」,보고사, 2002.
서대석, 「한국신화의 연구」, 집문당, 2001.
「삼성신화의 종합적 검토」,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소, 1993.
양중해, 삼성신화와 혼인지. 「국문학보」3, 제주문학 국어국문학회, 1970.
현용준, 삼성신화 연구. 「탐라문화」2, 1982.
현용준, 「제주도 신화」, 서문당, 1996.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