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교육학] 제9장 한국어 문장은 어떻게 끝나는가

 1  [한국어 교육학] 제9장 한국어 문장은 어떻게 끝나는가-1
 2  [한국어 교육학] 제9장 한국어 문장은 어떻게 끝나는가-2
 3  [한국어 교육학] 제9장 한국어 문장은 어떻게 끝나는가-3
 4  [한국어 교육학] 제9장 한국어 문장은 어떻게 끝나는가-4
 5  [한국어 교육학] 제9장 한국어 문장은 어떻게 끝나는가-5
 6  [한국어 교육학] 제9장 한국어 문장은 어떻게 끝나는가-6
 7  [한국어 교육학] 제9장 한국어 문장은 어떻게 끝나는가-7
 8  [한국어 교육학] 제9장 한국어 문장은 어떻게 끝나는가-8
 9  [한국어 교육학] 제9장 한국어 문장은 어떻게 끝나는가-9
 10  [한국어 교육학] 제9장 한국어 문장은 어떻게 끝나는가-10
 11  [한국어 교육학] 제9장 한국어 문장은 어떻게 끝나는가-11
 12  [한국어 교육학] 제9장 한국어 문장은 어떻게 끝나는가-12
 13  [한국어 교육학] 제9장 한국어 문장은 어떻게 끝나는가-13
 14  [한국어 교육학] 제9장 한국어 문장은 어떻게 끝나는가-14
 15  [한국어 교육학] 제9장 한국어 문장은 어떻게 끝나는가-15
 16  [한국어 교육학] 제9장 한국어 문장은 어떻게 끝나는가-16
 17  [한국어 교육학] 제9장 한국어 문장은 어떻게 끝나는가-17
 18  [한국어 교육학] 제9장 한국어 문장은 어떻게 끝나는가-18
 19  [한국어 교육학] 제9장 한국어 문장은 어떻게 끝나는가-19
 20  [한국어 교육학] 제9장 한국어 문장은 어떻게 끝나는가-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국어 교육학] 제9장 한국어 문장은 어떻게 끝나는가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제9장 한국어 문장은 어떻게 끝나는가

1. 어미의 사용, 한국어교육에서 왜 중요한가

2. 어미는 어떻게 분류되는가

2.1 어미

2.2 어미의 분류와 체계

3. 활용은 어떻게 이루어지는가

3.1 활용

3.2 규칙 활용과 불규칙 활용

3.3 불규칙 활용의 유형

4. 종결어미란 무엇인가

4.2 종결어미의 분류

4.2.1 문장의 종류에 따른 분류

4.2.2 듣는 사람에 대한 높임의 정도에 따른 분류

5. 종결어미를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

6. 선어말어미란 무엇인가

6.1 선어말어미의 기능

7. 선어말어미를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
본문내용
(5) 영희는 시장에 간다. / *영희는 시장에 가다.
(6) 가. *얼굴이 예쁜다. / 얼굴이 예쁘다.
나. *영희는 학생인다. / 영희는 학생이다.

- (5)와(6)에서 우리는 현재를 나타내는 종결어미 ‘-ㄴ다’는 동사의 어간 뒤에, ‘-다’는 형용사의 어간이나 ‘명사+이-’뒤에 붙음을 확인할 수 있다.

동사의 경우에는 그 어간이 모음 또는 ‘ㄹ’로 끝나느냐 ‘ㄹ’을 제외한 다른 자음으로 끝나느냐에 따라 그 뒤에 붙는 어미의 꼴이 달라진다.

(7) 가. 영희는 시장에 간다. / 영희가 운다.
나. 영희는 야채를 잘 먹는다.

- ‘-ㄴ다’: 동사의 어간이 모음이나 ‘ㄹ’로 끝날 경우에 붙는다.
‘-는다’: 동사의 어간이 ‘ㄹ’을 제외한 다른 자음으로 끝날 경우에 붙는다.

한편, 명령을 나타내는 어미 ‘-아라/어라’, 청유를 나타내는 어미‘-자’도 그 의미 특성 때문에 동사의 어간 뒤에는 붙어 쓰일 수 있으나 형용사의 어간이나 ‘명사+이-’의 뒤에는 붙어 쓰이지 못하는데 이는 명령과 청유 행위가 그 의미 특성상 동사에 대해서만 가능하기 때문이다.

(8) 가. (영희야), 야채 좀 먹어라.
나. (영희야), 야채 좀 먹자.

- 동사의 어간 뒤에 어미 ‘-아라/어라’와 ‘-자’가 붙을 수 있음을 보여주는 예
- 서술어가 행동을 나타내는 동사

(9) 가. *(영희야), 예뻐라.
나. *(영희야), 예쁘자.
(10) 가. *(영희야), 학생이어라.
나. *(영희야), 학생이자.

- 각각 형요사의 어간이나 ‘명사+이-’가 서술인 경우에는 명령형 어미 ‘-아라/어라’나 청유형 어미 ‘-자’가 붙을 수 없다. 그이유는 서술어가 행위나 동작을 나타내는 경우에만 명령이나 청유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 서술어가 상태나 성질, 속성을 나타내는 형용사의 어간이나 ‘명사+이-’뒤에는 이러한 어미가 붙어 쓰일 수 없다.

3.2 규칙 활용과 불규칙 활용
동사나 형용사, ‘이다’가 활용을 할 때 어간이나 어미의 형태가 바뀌지 않는 규칙 활용과 어간이나 어미의 형태가 바뀌는 불규칙 활용이 있다.

(11) 가. 철수가 밥을 먹-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