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학] 여대생의 식사습관에 따른 월경증상에 대한 실태 연구

 1  [간호학] 여대생의 식사습관에 따른 월경증상에 대한 실태 연구-1
 2  [간호학] 여대생의 식사습관에 따른 월경증상에 대한 실태 연구-2
 3  [간호학] 여대생의 식사습관에 따른 월경증상에 대한 실태 연구-3
 4  [간호학] 여대생의 식사습관에 따른 월경증상에 대한 실태 연구-4
 5  [간호학] 여대생의 식사습관에 따른 월경증상에 대한 실태 연구-5
 6  [간호학] 여대생의 식사습관에 따른 월경증상에 대한 실태 연구-6
 7  [간호학] 여대생의 식사습관에 따른 월경증상에 대한 실태 연구-7
 8  [간호학] 여대생의 식사습관에 따른 월경증상에 대한 실태 연구-8
 9  [간호학] 여대생의 식사습관에 따른 월경증상에 대한 실태 연구-9
 10  [간호학] 여대생의 식사습관에 따른 월경증상에 대한 실태 연구-10
 11  [간호학] 여대생의 식사습관에 따른 월경증상에 대한 실태 연구-11
 12  [간호학] 여대생의 식사습관에 따른 월경증상에 대한 실태 연구-12
 13  [간호학] 여대생의 식사습관에 따른 월경증상에 대한 실태 연구-13
 14  [간호학] 여대생의 식사습관에 따른 월경증상에 대한 실태 연구-14
 15  [간호학] 여대생의 식사습관에 따른 월경증상에 대한 실태 연구-15
 16  [간호학] 여대생의 식사습관에 따른 월경증상에 대한 실태 연구-16
 17  [간호학] 여대생의 식사습관에 따른 월경증상에 대한 실태 연구-17
 18  [간호학] 여대생의 식사습관에 따른 월경증상에 대한 실태 연구-18
 19  [간호학] 여대생의 식사습관에 따른 월경증상에 대한 실태 연구-19
 20  [간호학] 여대생의 식사습관에 따른 월경증상에 대한 실태 연구-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간호학] 여대생의 식사습관에 따른 월경증상에 대한 실태 연구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의 목적

3. 용어의 정의

Ⅱ. 연구 방법

1. 연구 설계

2. 연구 대상

3. 연구도구

4. 자료수집방법

5. 자료 분석

6. 연구의 제한점

III. 연구결과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2. 대상자의 식사습관 특성

3. 월경 시 나타나는 증상 특성

4. 월경 시 대처방안 특성

5. 여대생의 월경 증상과 식사습관 및 월경 시 대처 방안의 관계

6.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월경 시 대처방안

7.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월경 시 나타나는 신체적, 심리적 증상

Ⅳ.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안녕하십니까?
저희는 간호학과에 재학 중인 학생들로, “여대생의 식사습관에 따른 월경증상”에 대하여 연구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귀하께 제공되는 본 설문지는 여대생의 식사습관에 따른 월경증상에 대해 연구하고자, 여대생을 대상으로 일반적 사항, 식사습관, 월경증상 및 대처방안 등을 알아보고자 합니다.

본 설문지는 맞고 틀림의 정답이 없으며, 응답 하신 내용은 연구를 위한 통계 분석을 위한 자료이외에 다른 목적으로 사용하지 않고 연구의 목적으로만 사용됩니다.
또한 본 설문지는 익명성이 보장되니, 질문 내용 중 다소 응답하기 힘든 내용이 있더라도 솔직하게 빠짐없이 응답하여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본 설문지에 ‘일반적 특성’ 중, 질문 특성상 복수 선택이 가능한 1문항(9번)을 제외하고는 복수선택을 하지 않는 문항이니, 이 점 참고하여 작성해주시기 바랍니다.
끝으로 바쁜 시간 내주셔서 감사합니다.
연구 동의 서명






설 문 지

본문내용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여성의 월경은 배란과 임신, 출산에 필요한 가장 중요한 생물학적인 현상으로 대부분의 여성은 사춘기시기에 초경을 경험하고 그 이후에 주기적으로 월경을 하게 된다(Kim, Jung, Lee & Yu, 2008). 월경을 하는 것은 여성 고유의 특권일수도 있지만 월경주기에 따른 호르몬 분비의 변화에 대한 반응으로 신체적, 정신적 변화가 나타나게 된다. 어떠한 경우에서는 여성의 건강상태 및 생활에 바람직하지 않은 문제를 초래하기도 한다고 알려져 있다(Kim, Lee, Jo & Jung, 1992). 여성에서 매달 반복 경험되는 월경은 인체 내 호르몬의 주기적 변화와 관련된 생리적 현상으로 많은 여성들에게 월경주기에 따른 신체적 정서적 고통 및 행동의 변화가 수반되고 있다는 것이 오래 전부터 임상가들에 의해 인지되어 왔다(Ham, Han, You & Park, 1999).
  월경동안 여성들은 다양한 증상을 경험하는데, 이 중 신체적 증상으로 보여 지는 월경곤란증은 흔히 월경통, 생리통 이라고 하며 피곤, 오심, 두통, 설사를 동반하는 쥐어짜는 듯한 심한 복통과 같은 증상이 포함된다(Jung, 1996).  또한, 하복부 통증과 요통, 유방이 단단하고 아픔, 기운이 없고 피곤함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Han & Hur, 1999) 이 외에도 부종, 복부팽만, 생식기 동통, 관절통, 편두통, 현기증, 오심, 구토, 배설장애 등이 나타났다(Kim & Ahn, 1998). 이러한 월경곤란증은 초경 후 2-3년경부터 나타나기 시작한다(Lee, & Lee, 1999). 월경곤란증의 정확한 빈도와 발병률은 명확히 확인되지 않았지만 사춘기가 지난 여성의 약 50%(Ress, 1988)에서 월경곤란증을 느끼고 그중 10%는 매달 1~3일 동안 아무런 일을 할 수 없을 정도로 무력하게 되며 일반적으로 48~72시간 이상 지속되지 않는다고 한다 (Youngkin &Davis, 1994).
  월경동안 여성들이 경험하는 심리적 증상으로는 짜증, 작은 일에도 예민함, 만사가 귀찮음, 기분 나쁨, 신경이 날카로움, 우울, 불안, 초조, 기분조절이 안됨, 의욕의 저하, 고독감, 등을 주로 호소하는 것으로 연구되었다(Kim, Ahn & Kim, 1999). 이 외에도 월경에 대해 느끼는 감정으로 수치심 2%, 공포감 3.5%, 불편감 86.1%, 아픔 50.2%, 더러움 11.9%, 행복감 0.5%, 성숙감 11.4%, 자랑스러움 1.5%, 아무 느낌 없음 12 .9% 였다(Jun, 2003). 또한 대상자들 스스로가 이러한 불편감 때문에 활동, 외출, 운동, 여행을 제한하였고, 목욕, 음식, 의상 등에도 제약을 받고 있었다(Kim, Ahn & Kim, 1999).
참고문헌
Barnard, N. D., Scialli, A. R., Hurlock, D., & Berton, P. (2000). Diet and sex hormone binding
globulin, dysmenorrhea, and premenstrual symptoms. Obstet Gynecol, 95(2), 245-250.
Cho, S. H. (1989). Adolescent Menstrual Disorders. Korean journal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32(1), 10-20
Chang, U. J., Kim, D. G. (2005). Effects of Premenstrual Dysphoric Disorder on the Changes
of Energy Intake and Body Composition. J Korean Soc. Food Nutr., 34(2), 190-195
Griffith, K., Youngkin & Davis (1994) Effect of Aromatherapy on Symptoms of Dysmenorrhea
in College Students. Korean journal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12(6), 535-541.
Ham, M. Y., Han, K. S., You, S. O., & Park, K. S. (1999) A Phenomenological Study on
Dysmenorrhea Experience of Women.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5(2),
245-253
Han, S. H., & Hur, M. H. (1999) A study on the Menstrual Pain and Dysmenorrhea, Factors
Influenced to Them, and Self-Management Method for Them of College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5(2), 359-375. Harrison, M, & Ahlgrimm, M. (1998). Self-help for prementrual syndrome. (3rd edition). Rand
-om House, New York.
Hong, K. J., Kim, H. W., Ahn, H. Y. (2005). Menstrual Discomfort and Dietary Habits in
Adolescents. J Korean Acad Child Health Nurs., 11(3), 330-339
Hong, K. J., Park, Y. S., Kim, J. E., Kim, H. W. (1998). Study on the Effects of the Nursing
Intervention Program for Perimenstrual Discomfort of the Female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8(4), 821-831
Jeong, M. S., Se, Y. S., Seong, M. H., Lee, S. H., Hur, M. H et all.(1996). Women's Helth
Nursing care2, seoul: Jeongdammedia.
Jun, E. M. (2003). A Study on Menstrual Symptoms, Coping and Relief of Symptoms in
Female College Students.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9(2), 161-169. Kim, B. M., Jung, J. U., Lee, J. G., & Yu, J. H. (2008). Association of Premenstrual Syndrome
with Quality of Life in Young Korean Women. The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29(2), 108-113. Kim, D. Y., Lee, H. Y., Jo, T. M., & Jung, E. S. (1992) The Clinical Evaluation of
Premenstrual Syndrome ( PMS )). The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13(1), 42-48.Kim, H. W. (2004). An Exploratory Study on the Perimenstrual Discomforts and Dietary
Intake Level of Normal Women. The Journal of Korean Community Nursing, 15(3),
483-495.
Kim, H. W. (2004). Patterns of Perimenstrual Symptoms and Related Dietary Factors to
premenstrual Syndromes. Korean J Wonman Health Nurs, 10(2), 162-170
Kim, H. J. (2005). Study on an Attitude toward Menstruation, Permienstrual Symptoms, and
Coping of Nursing Students. Korean J Woman Health Nurs, 11(4), 288-295.
Kim, J. Y., Ahn, H. S. (2008) A Study of Nutritional Intakes, Food Preference and Blood
Composition in Female College Students with Premenstrual Syndrome.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13(4), 562-572
Kim, S. J., Ahn, E. S., &Kim, Y. H. (1999) Menstrual Experiences of College Women.
Research Institute of Nursing Science, Ewha Womans University, 11(1), 17-31.Kim, W. Y., Cho, M. S., Lee, H. S. (2003).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Mini Dietary
Assessment Index for Koreans. The Korean Journal of Nutrition, 36(1), 83-92
Kim, Y. H., Lee, I. S. (2002). A Study on the Dysmenorrhea in College Female Students.
Korean J Women Health Nurs, 8(1), 85-95
Kessel, B. (2000). Premenstrual syndrome. Advanced in diagnosis and treatment. Obstet Gynec
-ol Clin North Am, 27, 626-639.
Lee, E. H., Kim, J. I., Kim, H. W., Lee, H. K., Lee, S. H., Kang, N. M., Hur, M. H. (2003).
Dysmenorrhea and Menstrual Attitudes in Adult Women. Korean J Women Health Nurs,
9(2), 105-112
Lee, I. S., Choi, H. S. (2005). Effect of Self Moxibustion of Dysmenorrhea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 Female College Students. Korean J Woman Health Nurs, 11(1), 77-82
Lee, Y. S., Lee, K. H., et all. (1999). Women's Health Nursing Care Ⅱ 제 4판 , seoul: Hyum
-oonsa.
Min, A. K. (1997). The Effects of Educational Program for Women with Premenstrual
Syndrome. Korean J Women Health Nurs, 3(1), 31-40
Min, S. K., Sung, H. M.(1988).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ormal Menstrual Cycle and
Anxiety. J Korean Neuropsychiatr Ass 27(1), 151-158
Park, K. E., Lee, S. E. (2001). A Study on Premenstrual syndrome and Menstrual Attitude.
Korean J Women Health Nurs, 7(3), 359-372
Ress, Magaret (1988). Dysmenorrhea. British J of Obstet and Gynaecol, 95, 833-835.
So, K. Y., Joe, S. H., Kim, J. W., Lee, H. S., Ko, S. D (2002). Vulnerability to Minor Stressful
Events in Young Women with Premenstrual Syndrome. J Korean Neuropsychiatr Ass,
41(6), 1109-1119
Tieraona, L. D. (2001). Integrative treatments for premenstrual syndrome. Alternative
Therapies in Health and Medicine, 7(5), 32-40.
Yoo, T. H., Lee, S. 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