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외교정책결정론] 김정일의 권력기반 강화와 북한의 남북한 UN동시가입 결정

 1  [현대외교정책결정론] 김정일의 권력기반 강화와 북한의 남북한 UN동시가입 결정-1
 2  [현대외교정책결정론] 김정일의 권력기반 강화와 북한의 남북한 UN동시가입 결정-2
 3  [현대외교정책결정론] 김정일의 권력기반 강화와 북한의 남북한 UN동시가입 결정-3
 4  [현대외교정책결정론] 김정일의 권력기반 강화와 북한의 남북한 UN동시가입 결정-4
 5  [현대외교정책결정론] 김정일의 권력기반 강화와 북한의 남북한 UN동시가입 결정-5
 6  [현대외교정책결정론] 김정일의 권력기반 강화와 북한의 남북한 UN동시가입 결정-6
 7  [현대외교정책결정론] 김정일의 권력기반 강화와 북한의 남북한 UN동시가입 결정-7
 8  [현대외교정책결정론] 김정일의 권력기반 강화와 북한의 남북한 UN동시가입 결정-8
 9  [현대외교정책결정론] 김정일의 권력기반 강화와 북한의 남북한 UN동시가입 결정-9
 10  [현대외교정책결정론] 김정일의 권력기반 강화와 북한의 남북한 UN동시가입 결정-10
 11  [현대외교정책결정론] 김정일의 권력기반 강화와 북한의 남북한 UN동시가입 결정-11
 12  [현대외교정책결정론] 김정일의 권력기반 강화와 북한의 남북한 UN동시가입 결정-12
 13  [현대외교정책결정론] 김정일의 권력기반 강화와 북한의 남북한 UN동시가입 결정-13
 14  [현대외교정책결정론] 김정일의 권력기반 강화와 북한의 남북한 UN동시가입 결정-14
 15  [현대외교정책결정론] 김정일의 권력기반 강화와 북한의 남북한 UN동시가입 결정-15
 16  [현대외교정책결정론] 김정일의 권력기반 강화와 북한의 남북한 UN동시가입 결정-16
 17  [현대외교정책결정론] 김정일의 권력기반 강화와 북한의 남북한 UN동시가입 결정-17
 18  [현대외교정책결정론] 김정일의 권력기반 강화와 북한의 남북한 UN동시가입 결정-18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현대외교정책결정론] 김정일의 권력기반 강화와 북한의 남북한 UN동시가입 결정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I. 서 론
II. 김정일의 ‘조선민족제일주의’ 주창과 국제적 정통성 확보
III. 김정일과 함께 등장한 신진관료들의 국제관 반영
IV. 김정일의 경제적 영도력 강화와 대외 경제협력 기반 조성
V. 결 론
본문내용
1991년 북한의 남북한 UN 동시가입 결정은 남북한이 국제 사회에서 상대방의 존재를 인정하였다는 측면에서 남북관계의 전환점이 되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북한이 UN에 가입함으로써 국제사회의 당당한 일원으로 자리매김하게 되었고, 이로 인하여 대 UN 외교, 대 서방외교 노선에서 큰 변화를 예상할 수 있게 되었다. 나아가, 이는 오랫동안 고수하던 정책에서 벗어나 급격하게 노선을 변경하는 북한 외교정책 결정의 일면을 보여주는 사례라고 할 수 있다. 한편 복합적 요소가 크게 작용하는 현대 외교 정책 결정의 배경을 알아볼 수 있는 연구 사례로서 가치가 있으며, 이 사례를 통하여 분단국 외교의 일면도 살펴볼 수 있다.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본 연구는 북한이 남북한 UN 동시가입을 결정하게 된 요인을 규명해보고자 한다. 1991년 남북한 UN 동시가입 관련 연구의 대부분은 남북한의 UN 가입이 앞으로의 남북관계에 미칠 영향과 국제법적 차원의 위상 변화에 초점을 두고 있다. 한편, 북한의 남북한 UN 동시가입 결정에 대한 기존연구들은 대외적 요인에 분석의 초점을 맞추고 있다. 80년대 후반 탈냉전 상황 및 동구사회주의 국가들의 몰락 등과 같은 구조적 차원의 분석이 대부분이고 남한의 북방정책에 대한 작용으로 일어난 결정이라는 대외적 요인에서 원인을 찾고 있는 것이다. 전자의 대표적인 연구는 方貴澈, 「南·北韓 UN同時 加入이 韓半島統一에 미치는 影響」(서울: 경희대 석사학위논문, 1993) ; 방인걸, 「북한의 법적 지위에 관한 연구」(부산: 한국해양대 석사학위논문, 2006) ; 崔禹淳, 「한국의 유엔 외교에 관한 연구 : 남북한 동시가입을 중심으로」(광주: 조선대 박사학위논문, 1994) 등이 있고, 후자의 대표적인 연구는 崔善用, 「南北韓 對UN政策:UN加入과 交叉承認을 中心으로」(서울: 국방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89), 崔龍守, 「韓半島 統一을 위한 國際的 環境에 관한 연구」(서울: 東國大 行政大學院, 1992) 등이 있다.
북한은 정부 수립부터 소련-중국으로 대표되는 공산권의 테두리 안에서 국가가 운영되어 왔기에 이러한 연구들의 논점이 요인 분석에 있어서 상당 부분을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당시 북한은 ‘우리식 사회주의’의 주창과 추진에 노력을 기울이고 있었고, 그동안 북한의 대외 정책 간섭을 하던 사회주의 진영의 붕괴로 인하여 자율적 정책 결정의 기회를 가지고 있었기에 북한 내부적 측면에서의 원인 규명도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참고문헌
- 國土統一院 南北對話事務局, 『유엔加入問題 關聯 第2次 南北韓 實務代表接觸 會議錄』, (서울: 國土統一院 南北對話事務局), 1990.
- 남북회담사무국, 『남북대화 제51~55호』, (서울: 통일원), 1992.
- 문화체육부 편, 『김정일의 문예관 연구』, (서울: 문화체육부), 1996.
- 民族統一硏究院, 『北韓體制의 變化 : 現況과 展望』, (서울: 民族統一硏究院), 1991.
- 북한연구실 편, 『북한 유엔가입선언의 영향과 정책변화전망』, (서울: 통일연구원), 1991.
- 통일부, 『북한의 주요인물』, (서울: 통일부), 2004.
- 통일원 정보분석실, 『월간 북한동향 1991년 9월』,(서울: 통일원), 1994.
- 한국일보, “북한 연형묵 총리 뉴욕도착(UN소식)”, 『한국일보』, 1991년 9월 9일자 4면 기사
- 강호제, 『북한 과학기술 형성사 I』, (서울: 선인), 2007.
- 권오윤, 『현실 사회주의 북한』, (서울: 청목출판사), 2007.
- 기무라 미쓰히코 자, 김현숙 역, 『북한의 경제: 기원·형성·붕괴』 (서울: 혜안), 2001.
- 김근식, 「17. 남북한 UN동시가입」,『통일․남북관계 사전』(서울: 통일부 통일교육원), 2004.
- 김창희, 『북한정치사회의 이해』(서울: 법문사), 1998.
- 김형원, 「 이행방안」, 『高友經濟』 56호 (서울: 高麗大學校經濟人會), 1998.
- 方貴澈, “南·北韓 UN同時 加入이 韓半島統一에 미치는 影響”, (서울: 경희대 석사학위논문), 1993.
- 방인걸, “북한의 법적 지위에 관한 연구”, (부산: 한국해양대 석사학위논문), 2006.
- 서대숙, 『현대북한의 지도자-김일성과 김정일-』, (서울: 을유문화사), 2000.
- 서재진, 『또 하나의 북한사회』, (서울: 나남), 1995.
- 신효숙, 「북한사회의 변화와 고등인력의 양성과 재편 (1945~1960)」, 『현대북한연구』 8권 2호, (경남: 경남대학교 북한대학원), 2005.
- 양문수, 『북한경제의 구조 : 경제개발과 침체의 메커니즘』, (서울: 서울대출판부), 2001.
- 오일환․정순원, 『김정일시대의 북한 정치 경제』,(서울: 을유문화사), 1999.
- 윤여운, 『(키워드로 읽는)북한경제』,(서울: 비봉출판사), 2003.
- 이영훈, 「경제개발전략」, 『북한의 국가전략』,(파주: 한울아카데미), 2003.
- 이온죽, 『북한 사회의 체제와 생활』, (서울: 법문사), 1993.
- 이재승, 『북한을 움직이는 테크노크라트-북한권력의 실세』, (서울: 일빛), 1998.
- 전영선, 『다시 고쳐 쓴 북한의 사회와 문화』 (서울: 역락), 2006.
- 전현준, 『북한의 강성대국 건설 실태 평가 - 사상, 정치, 군사 분야를 중심으로』, (서울: 통일연구원), 1999.
- 전현준, 안인해, 이우영, 『북한의 북한의 권력엘리트 연구』, (서울: 민족통일연구원), 1992.
- 정철현, 『북한의 문화정책』, (서울: 서울경제경영), 2008.
- 崔善用, “南北韓 對UN政策:UN加入과 交叉承認을 中心으로”, (서울: 국방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89.
- 최성, 『북한정치사-김정일과 북한의 권력엘리트』, (서울: 풀빛), 1997.
- 崔禹淳, “한국의 유엔 외교에 관한 연구 : 남북한 동시가입을 중심으로”, (광주: 조선대 박사학위논문), 1994.
- 탁용달, "3대혁명소조운동에 관한 연구 : 사회-경제적 변화를 중심으로", (서울: 동국대학교), 2004.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