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회] 해방, 혁명과 시위

 1  [한국사회] 해방, 혁명과 시위-1
 2  [한국사회] 해방, 혁명과 시위-2
 3  [한국사회] 해방, 혁명과 시위-3
 4  [한국사회] 해방, 혁명과 시위-4
 5  [한국사회] 해방, 혁명과 시위-5
 6  [한국사회] 해방, 혁명과 시위-6
 7  [한국사회] 해방, 혁명과 시위-7
 8  [한국사회] 해방, 혁명과 시위-8
 9  [한국사회] 해방, 혁명과 시위-9
 10  [한국사회] 해방, 혁명과 시위-10
 11  [한국사회] 해방, 혁명과 시위-11
 12  [한국사회] 해방, 혁명과 시위-12
 13  [한국사회] 해방, 혁명과 시위-13
 14  [한국사회] 해방, 혁명과 시위-14
 15  [한국사회] 해방, 혁명과 시위-15
 16  [한국사회] 해방, 혁명과 시위-16
 17  [한국사회] 해방, 혁명과 시위-17
 18  [한국사회] 해방, 혁명과 시위-18
 19  [한국사회] 해방, 혁명과 시위-19
 20  [한국사회] 해방, 혁명과 시위-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국사회] 해방, 혁명과 시위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해방 이후의 시대 상황
1. 해방
2. 혁명적 변화
3. 시대상황
Ⅱ. 주요 사건들
1.신탁통치 반대운동 (반탁운동)
(1) 신탁통치(信託統治)란
(2) 모스크바 3상협정
1) 찬반탁운동의 발단
2) 3상회의의 결정안
3) 오보로 시작된 반탁운동
(3) 찬반탁 대립의 전말
(4) 찬반탁 사이의 대립을 막기 위한 노력
2. 10월 항쟁
(1) 10월 항쟁의 배경
1) 8․15 이전 민족해방투쟁의 영향
2) 8․15 직후의 지방정치
3) 8․15 직후 사회경제적 상황
4) 식량문제
(2) 10월 항쟁의 전개와 성격
1) 9월 총파업
2) 대구 항쟁
3) 항쟁의 결과
3. 4.3 항쟁
(1) 광복 후 제주도 사회와 제주도민의 삶
1) 해방 후 제주도의 모습
2) 인민위원회
3) 군정경찰로 변신한 일제경찰
(2)제주 4.3 사건의 발단
1) 3.1 사건 (1947.3.1)
2) 2.7 구국투쟁 : 남한의 단독정부 수립 반대 시위 (1948.2.7)
(3) 무장항쟁의 발발
1) 4.3 항쟁 (1948.4.3)
2) 군경과의 평화 협상 실패 : 오라리 방화사건 (1948.5.1)
3) 군경의 대토벌작전 (1948.5.13)
Ⅲ. 시위 양상의 변화
1. 이 시기 발생한 시위 양상
2. 오늘날의 달라진 시위 양상
(1) 과격했던 지난날의 시위들
(2) 새로운 시위의 형태 : 촛불 시위
본문내용
2. 혁명적 변화

해방은 정치적인 혁명을 초래했다. 뿐만 아니라 사회, 문화, 경제적으로도 혁명적인 사태가 급진적으로 전개 되었다. 그에 따하 노동자, 농민들이 역사의 중요한 주체로 격상되기 시작했다.
해방 후에 우리나나는 잃어버린 말과 역사를 되찾을 수 있었다. 그에 따라 36년간의 일제 잔재를 타파하기 위해 가로쓰기로 편집한 한글교과서를 편찬했다. 이런 노력들에 힘입어 해방 후 교육의 급속한 양적 팽창이 이루어졌다. 특히, 중등교육 학생 수가 비약적으로 증가하였다. 하지만 교사수급이 부족하여 교육이 원활하게 수행되지는 못하였다.
또한, 해방 후 그동안 억압되어 있었던 인간의 기본권이 회복되었다. 민중들은 정치, 경제, 문화적인 자유를 맘껏 누릴 수 있었다. 때문에 해방 후 약 3년간은 조선공산당, 남조선 공산당도 합법적으로 활동할 수 있었다.
1945년 9월 노동조합전국평의회 준비위원회가 출범하였고 그 해 11월, 노동조합전국평의회 (전평) 이 출범하였다. 전평은 1946년 전반기부터 공장 휴업, 원자재 부족 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공장관리운동을 진행시켰고 산업건설운동을 통해 미군정에 협조하기도 했다.
또한 노동자 신문, 분회 활동 등이 활발해지면서 노동자 계급의 의식이 형성되기 시작했다.
1946년 3월에는 대한독립촉성노동연맹(대한노총) 출범하였다. 대한노총은 우익노동자단체로서 정치세력의 도움을 받아 하향식으로 조직되었다. 하지만 전평의 활동, 대한노총의 활동 모두 공통적으로 정치투쟁적인 성격을 띠고 있었다.
또한 해방 후에는 농민 문제도 급격히 부각되기 시작했다. 인민위원회는 3,7제 주장( 소작료 30%납부)하였고, 미군정은 3,1제를 주장(수확물 1/3을 지주 몫으로)하였다. 이에 소작농들은 어느 쪽의 개혁이든 대환영하였고 경자유전을 기대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런 토지개혁문제가 친일파 청산과 함께 중요 문제로 부각되면서 좌익 주도의 전국농민조합 총연맹(전농)이 1945년 12월에 조직되었다. 이들은 북한과 같은 무상몰수, 무상분배를 주장하여 민중들의 호감을 얻었다. 이에 따라 전평 해체한 후에 농촌지역은 좌익들의 근거지가 되었다.
그리고 청년, 여성, 문화인 활동 또한 활발히 이루어졌다. 청년단체들은 당시 정치투쟁의 선봉에 서있었다. 좌익청년들은 조선청년총동맹에 소속되어 있었고, 우익청년들의 조직은 훨씬 분화되어 있었다. 그 중에서 서북청년회는 월남한 반공청년들로 구성된 조직으로 주로 테러활동을 벌였다.
여성단체는 처음에는 건국부녀동맹에서 좌우가 함께 활동하였지만 좌익은 후에 조선부녀 총동맹으로, 우익은 후에 한국애국부인회로 갈라졌다. 하지만 이들은 모두 남녀 임금차별 철폐, 공,사창제 폐지 등을 공통적으로 주장했다.

참고문헌
기억의 정치 - 대량학살의 사회적 기억과 역사적 진실 , 2006 , 권귀숙, 문학과지성사
무덤에서 살아나온 4․3 '수형자들', 2002, 제주4․3연구소, 역사비평사
제주 4․3항쟁 - 저항과 아픔의 역사, 2008, 양정심, 선인
대한민국 史, 2003, 한홍구, 한겨레신문사
사진과 그림으로 보는 한국현대사, 2005, 서중석, 웅진지식하우스
사진과 그림으로 보는 북한현대사, 2004, 서중석, 웅진닷컴
제주 4․3사건 진상조사보고서, 2003, 제주4․3사건진상조사보고서작성기획단, 선인
제주 4․3항쟁 - 대규모 민중학살의 진상, , 김종민
제주민중항쟁의 원인과 성격 - 미군정의 대제주도정책을 중심으로, , 문순보
여순사건과 대한민국의 형성, 2008, 여수지역사회연구소
현대사를 베고 쓰러진 거인들, 1994, 박태균, 지성사
해방전후 미국의 대한정책, 2004, 정용욱, 서울대학교 출판부
기자가 본 한국 현대사 현장1, 2009, 김인수, 나남
한국현대사 : 진실과 해석,2005, 전상인 外, 나남
10월 인민 항쟁 연구, 1988, 정해구, 열음사
역사속의 역사 읽기, 2002, 고석규 外, 풀빛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