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서적 지지 프로그램에의 참여가 한부모 여성 가장의 심리적 복지에 미치는 영향

 1  정서적 지지 프로그램에의 참여가 한부모 여성 가장의 심리적 복지에 미치는 영향-1
 2  정서적 지지 프로그램에의 참여가 한부모 여성 가장의 심리적 복지에 미치는 영향-2
 3  정서적 지지 프로그램에의 참여가 한부모 여성 가장의 심리적 복지에 미치는 영향-3
 4  정서적 지지 프로그램에의 참여가 한부모 여성 가장의 심리적 복지에 미치는 영향-4
 5  정서적 지지 프로그램에의 참여가 한부모 여성 가장의 심리적 복지에 미치는 영향-5
 6  정서적 지지 프로그램에의 참여가 한부모 여성 가장의 심리적 복지에 미치는 영향-6
 7  정서적 지지 프로그램에의 참여가 한부모 여성 가장의 심리적 복지에 미치는 영향-7
 8  정서적 지지 프로그램에의 참여가 한부모 여성 가장의 심리적 복지에 미치는 영향-8
 9  정서적 지지 프로그램에의 참여가 한부모 여성 가장의 심리적 복지에 미치는 영향-9
 10  정서적 지지 프로그램에의 참여가 한부모 여성 가장의 심리적 복지에 미치는 영향-10
 11  정서적 지지 프로그램에의 참여가 한부모 여성 가장의 심리적 복지에 미치는 영향-11
 12  정서적 지지 프로그램에의 참여가 한부모 여성 가장의 심리적 복지에 미치는 영향-12
 13  정서적 지지 프로그램에의 참여가 한부모 여성 가장의 심리적 복지에 미치는 영향-13
 14  정서적 지지 프로그램에의 참여가 한부모 여성 가장의 심리적 복지에 미치는 영향-14
 15  정서적 지지 프로그램에의 참여가 한부모 여성 가장의 심리적 복지에 미치는 영향-15
 16  정서적 지지 프로그램에의 참여가 한부모 여성 가장의 심리적 복지에 미치는 영향-16
 17  정서적 지지 프로그램에의 참여가 한부모 여성 가장의 심리적 복지에 미치는 영향-17
 18  정서적 지지 프로그램에의 참여가 한부모 여성 가장의 심리적 복지에 미치는 영향-18
 19  정서적 지지 프로그램에의 참여가 한부모 여성 가장의 심리적 복지에 미치는 영향-19
 20  정서적 지지 프로그램에의 참여가 한부모 여성 가장의 심리적 복지에 미치는 영향-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정서적 지지 프로그램에의 참여가 한부모 여성 가장의 심리적 복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1) 문제제기
(2) 연구 배경 및 필요성
(3) 연구 목적

Ⅱ. 이론적 배경
(1) 연구의 주요 개념 및 용어의 정의
(2) 이론적 배경
(3) 연구 가설


Ⅲ. 연구 방법
(1) 연구 디자인
(2) 대상자 선정 - 샘플링 방법
(3) 변수의 측정 및 조작화
(4) 자료분석방법


Ⅳ. 참고문헌


Ⅴ. 설문지

본문내용

Ⅱ. 이론적 배경


(1) 연구의 주요 개념 및 용어의 정의

① 한부모가정의 정의 (개념과 유형)
한부모가정은 부모 중 어느 한 쪽의 사망, 이혼, 미혼모, 별거 등으로 인하여 한부, 한모로 이루어진 가구로 18세 이하의 자녀와 함께 사는 부모-자녀의 집단을 의미한다. 모부자복지법 제 4조(정의)에 의하면 배우자와의 사별, 이혼하거나 배우자로부터 유기된 자, 정신 또는 신체의 장애로 인하여 장기간 노동 능력을 상실한 배우자를 가진 자, 미혼자(사실혼 관계는 제외)로 모 또는 부에 의해 양육되는 18세 미만(취학 시에는 20세 미만)의 자녀를 두고 세대주, 또는 세대주의 역할을 담당하는 가정을 한부모 가정으로 정의하고 있다(서영숙, 2003).
한부모 가정은 자녀를 누가 키우고 있느냐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될 수 있다. 한부모 가정의 유형을 살펴보면 첫째, 부모집단에 따른 분류로 한부모 가족 발생 시 부모가 결혼, 또는 동거를 하였는지에 따른 분류, 둘째는 가족해체의 원인을 중심으로 배우자의 사망, 이혼, 장기입원, 장기 구속인지에 따른 분류, 셋째는 아동에 대한 보호를 누가 맡고 있는가에 따른 것으로 모가 보호하면 모자가정, 부가 보호하면 부자가정으로 분류한다(황은숙 ,2005). 현재 한부모가정의 경우 대부분의 가구가 여성 한부모가구이며 전체 한부모가구수의 약 80%를 차지한다.

② 정서적 지지
정서적 지지는 사회적 지지의 하부요인으로 개인이 어떤 어려움에 처했을 때 타인이 제공해주는 정신적인 도움을 의미한다. 개인이 주변 사람들로부터 얻는 정서적 지지는 애정, 승인과 같은 인간의 기본적 욕구를 충족시킴으로써 스트레스를 경감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고 또한 스트레스의 부정적 효과를 감소시키는 완충역할을 한다. House(1981)는 사회적지지 유형을 정서적 지지, 정보적 지지, 평가적 지지, 물질적 지지 4가지로 나누었다. 그 중에서 정서적 지지는 개인으로 하여금 심리적 안정감을 제공해 주어 그 자신이 사회구성원들에게 애정을 받고 있다고 느끼게 해주는 행위로서 그 내용은 애정, 신뢰, 관심, 배려의 제공이다(이재은,2009). 정서적 지지는 스트레스를 완화시키며(김정희, 1987), 정서적 지지 지각이 부적응이나 정신질환, 심리적 안녕감과 관련이 있다. 정서체험의 강도에 따라서 정서적 지지 및 주관적 안녕에 미치는 개인차가 발견되었고, 정서적 지지는 정서체험이 심리적 안녕에 미치는 영향을 매개하는 변인으로 밝혀졌다(이주일, 황석현, 한정원, 민경환, 1997). 본 연구에서는 사회복지 측면에서의 정서적 지지 즉, 정서적 지지 프로그램을 중점으로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③ 심리적 복지
심리적 복지는 행복, 적응, 삶의 질 등 다양한 용어로 사용되고 있으나 개인의 특성, 생활주기나 시대적 배경, 공간적 환경 등 다양한 변인에 따라 영향을 받으므로 명확히 정의하기가 어렵다. 전영자(1992)는 그의 연구, ‘전문직 취업 주부의 역할 갈등, 대처방안 및 심리적 복지에 대한 연구’에서 심리적 복지를 한 개인의 심리적 건강상태를 측정해 주는 지표로서 다양한 방법으로 측정되었던 생활만족도와 행복감 등의 개념가장 중심적인 개념으로 정의한다. 심리적 복지의 연구는 크게 2가지 접
참고문헌
고숙경. 2002. “미혼모의 사회적 지지가 심리적 디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김정희. 2006. “정서적 지지와 스트레스”.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5p.
김경미. 2006. “여성한부모가족을 위한 복지정책 및 서비스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김영혜. 2003. “정서인식의 명확성, 정서의 수용과 정서적 지지, 그리고 심리적 안녕과의 관계”. 『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김오남. 1998. “편모가족의 가족스트레스와 심리적 복지” 『전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9p.
김오남. 2004. “한부모가족 여성가장의 심리적 안녕과 관련변인 연구”.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pp. 87-111
김은경. 2002. “저소득층 한부모 가정 가구주의 심리적 디스트레스와 사회적 관계망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김인숙. 1994. “빈곤여성의 사회적 환경요인과 심리적 디스트레스와의 관계”.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김진희. 2007. “한부모 적응의 영향 변인 연구 : Mccubbin의 Double ABC-X모델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석사학위논문』.
김혜란. 2006. “한부모 여성가장의 스트레스원, 사회적 지지,스트레스 수준”. 『신라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가족상담학과 석사학위논문』.
서영숙황은숙. 2003. 『한부모가정과 이혼 이해교육』. 서울: 양서원. 2장 참조
박미경. 2009. “사회적 관계망의 긍정과 부정적 기능에 따른 저소득층 여성 한부모의 우울감 및 생활만족도”. 『신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박상희. 1993. “저소득 모자가족의 스트레스와 대처방안에 관한 연구”. 『대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송다영. 2003. “사회적 배제 집단으로서의 저소득 모자가족과 통합적 복지대책 수립을 위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회』. pp. 295-320
심재민. 2006. “저소득 한부모 가족 지원서비스에 관한 연구”. 『경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양옥경 외. 2007. 『가족복지의 정책과 실천』. 서울: 공동체. pp. 73-103 참조
이선화. 2006. “빈곤 지역의 아동학대에 미치는 영향 - 한부모 가족과 양부모 가족간의 비교”. 『충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이소영. 2001. “자녀의 정서적 지원과 모-자녀간 의사소통 특성 지각에 따른 저소득층 여성가장의 생활만족도 및 우울감”.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이재은. 2009. “사회적 지지가 저소득 한부모 여성가구주의 자립의지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정영. 2007. “저소득층 여성 한부모의 사회적 관계망이 고립감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이주일황석현한정원민경환. 1997. “정서의 체험 및 표현성이 건강과 심리적 안녕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117-140.
전양자. 1992. “전문직 취업 주부의 역할 갈등, 대처방안 및 심리적 복지에 대한 연구”. 『경희대 대학원 가정경제학 박사과정논문』.
진미정, 옥선화. 1994. “중년기 여성의 어머니역할 수행부담과 심리적 복지”. 『대한가정학회지』, 35(2), 1-14.
최은영. 2005. “사회적 지지망이 독거노인의 우울 및 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경성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사회복지학과 석사학위논문』.
한미현. 1996. “아동의 스트레스 및 사회적지지 지각과 행동문제”.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황은숙. 2005. “한부모가정의 실태와 정부지원 개선 방안 연구”. 『한국 한부모 가정연구소』. 1장
황은숙. 2008. “한부모가정 복지정책의 현황과 개선방안”. 『한국 한부모 가정연구소』
호유연. 2008. “한부모가정 부모의 양육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와의 관계”. 『경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2p.
허정은. 2003. “여성한부모의 힘 기르기(empowerment)와 지지 집단 형성 과정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Bursik, K. 1991. Correlates of women adjustment during the separation and divorce process. Journal of Divorce, 15, 137-161.
Campbell, A., Converse, P. E., and Rodgers, W. L (1976). The Quality of American Life. N.Y.: Russel Sage Foundation.
Ganellen. R. J. and Blaney, P. H. 1984. Hardness and social support as moderators of the effects life stres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47, 156-163.
Greene, R.W. and Feld, S. 1989. Social support coverage and the well-being of elderly windows and married women. Journal of Family Issues, 10(1), 33-52.
House, J. S.(1981). Work stress and social support. Massachusetts: Addison-Wesley Publishing Company.
O'Bryant, S. 1988. Sibling support and older windows' well-being.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50(1), 173-183.
Pett, M.A., Vaughan-Cole, B., and Wampold, B.E. 1994. Maternal employment and perceived stress-Their impact on children's adjustment and mother-child interaction in young divorced and married families. Family Relations, 43(2), 151-158
Raschke, H.J. 1977. The role of social participation in post-separation and post-divorce adjustment. Journal of Divorce, 1, 129-140.
Simons, R.L., Whitebeck, l.B., Beaman, J., % Conger, R.D. 1994. The impact of mothers' parenting involvement by nonresidential fathers and parental conflict on the adjustment of adolescent children.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56(2), 356-374.
SutherlandDavison, 1989 ; 대한심신스트레스학회, 1997『스트레스 과학의 이해』. 3장에서 재인용.
Swinkels, A. and Giuliano, T. A. 1995. The measurement and conceptualization of mood awareness: Attention directed toward one's mood states.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21, 934-949.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