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염비브리오 병원균, 비브리오 패혈증 병원균

 1  장염비브리오 병원균, 비브리오 패혈증 병원균-1
 2  장염비브리오 병원균, 비브리오 패혈증 병원균-2
 3  장염비브리오 병원균, 비브리오 패혈증 병원균-3
 4  장염비브리오 병원균, 비브리오 패혈증 병원균-4
 5  장염비브리오 병원균, 비브리오 패혈증 병원균-5
 6  장염비브리오 병원균, 비브리오 패혈증 병원균-6
 7  장염비브리오 병원균, 비브리오 패혈증 병원균-7
 8  장염비브리오 병원균, 비브리오 패혈증 병원균-8
 9  장염비브리오 병원균, 비브리오 패혈증 병원균-9
 10  장염비브리오 병원균, 비브리오 패혈증 병원균-10
 11  장염비브리오 병원균, 비브리오 패혈증 병원균-11
 12  장염비브리오 병원균, 비브리오 패혈증 병원균-12
 13  장염비브리오 병원균, 비브리오 패혈증 병원균-13
 14  장염비브리오 병원균, 비브리오 패혈증 병원균-14
 15  장염비브리오 병원균, 비브리오 패혈증 병원균-15
 16  장염비브리오 병원균, 비브리오 패혈증 병원균-16
 17  장염비브리오 병원균, 비브리오 패혈증 병원균-17
 18  장염비브리오 병원균, 비브리오 패혈증 병원균-18
 19  장염비브리오 병원균, 비브리오 패혈증 병원균-19
 20  장염비브리오 병원균, 비브리오 패혈증 병원균-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장염비브리오 병원균, 비브리오 패혈증 병원균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 장염비브리오 병원균

■ 장염비브리오 병원균
■ 병원체 특징
■ 역학적 특징
■ 전파 양식
■ 임상적 소견 / 증상 및 징후
■ 진단
■ 실험실 진단 기준
■ 치료
■ 예방접종
■ 환자 및 접촉자 관리
■ 식중독 원인식품
■ 장염 비브리오 식중독 국내 발생 현황
■ Vivrio parahaemolyticus에 의한 식중독 국내 발생 사례
■ Vivrio parahaemolyticus에 의한 식중독 해외 발생 사례
■ 식중독 예방 방법
■ Vibrio균 법적 규제
■ Vibrio균 국내 관리 현황
■ Vibrio균 해외 관리 현황





□ 비브리오 패혈증 병원균

■ 비브리오 패혈증
■ 비브리오 패혈증은 콜레라와 다른 병일까?
■ 병원체 특징
■ 임상적 특징
■ 전파 양식
■ 잠복기
■ 증상
■ 진단
■ 감염 경로
■ 질병에 걸리기 쉬운 계층
■ 원인식품
■ 치료
■ 접촉자와의 관리
■ 전염병 신고
■ 예방법
■ 비브리오 패혈증 국내 발생 현황
■ 비브리오 패혈증 세계 발생 현황
■ 패혈증 균 우리나라 관리 현황
■ 패혈증 균 해외 관리 현황

본문내용

□ 치료
장염 비브리오균에 의한 급성 위장관염은 대부분의 경우에서는 증상이 심하지 않고 자가 치유되므로 치료할 필요가 없다. 그러나 심한 경우에는 수분과 전해질을 공급하여야 하며 겐타마이신, 클로람페니콜, 테트라싸이클린 등의 항생제를 투여할 수 있으며 패혈증과 쇼크에 대한 일반적인 치료가 필요하다.

□ 예방 접종 : 해당 사항 없다.

□ 전염병 신고 : 법정전염병이 아니므로 신고할 필요는 없다.

□ 환자 및 접촉자 관리 : 사람 사이에는 전파되지 않으므로 환자의 격리는 필요 없다.

□ 식중독 원인 식품 식품의약품안전청 식중독 통계시스템 사이트 (http://e-stat.kfda.go.kr/)

장염비브리오는 다른 Vibrio속 균들과 마찬가지로 호염성(halophilic) 세균으로 연안이나 강 하구에 많이 분포되어 있기 때문에 오염원은 수산 어패류이다. 굴, 조개, 홍합 등과 같은 패류, 가재, 게, 새우 및 연안에 서식하는 각종 어류가 특히 문제된다. 어패류와 더불어 수산식품(게장, 오징어무침, 꼬막무침)이 원인이다. 오염된 해역에서 채취된 어패류를 날 것(생선회, 생선초밥, 굴, 조개 등)으로 먹는 경우와 오염된 바닷물로만 씻은 어패류를 날 것으로 먹었을 경우 식중독을 일으킨다. 그러나 이들 식품을 통한 교차오염도 많으므로 어패류의 가공품, 외식업소의 도시락, 야채샐러드 또는 가열 조리된 식품이라도 원인식품이 되는 경우가 상당히 있다 오염된 어패류에 부착된 장염비브리오가 냉장고, 도마, 행주, 칼 및 조리자의 손을 통하여 다른 식품을 오염시키고 장염비브리오균이 증식된 식품을 섭취함으로써 식중독을 일으키는 교차오염에 의한 경우도 있다.
.
※ 다음은 식약청에서 발표한 2000년부터 2005년까지 추정 및 원인식품별 식중독 발생 현황에 대 한 자료이다. 자료에서 보면 어패류 및 가공품으로 인한 식중독 발생 건수가 매년 비슷한 비 율로 발생하였으며 이 식품을 통해 발생된 것은 비브리오식중독일 가능성이 크다.

연도별

식품군별
2000년
2001년
2002년
2003년
2004년
2005년
건수
환자수
건수
환자수
건수
환자수
건수
환자수
건수
환자수
건수
환자수
104
7,269
93
6,406
78
2,980
135
7,909
165
10,388
109
5,711
어패류 및
그 가공품
15
245
17
494
12
403
22
374
18
419
19
415
(출처 : 식품의약품안전청)


※ 다음은 식약청에서 발표한 최근 3년간(2006년~2008년) 5~10월 어패류 관련 전국 식중독 발생 지도이다. 자료에서 보면 음식점에서 발생한 건수가 가장 많고 가정집과 기타 장소의 발생 건 수가 적은 것으로 보아 특히 어패류를 주재료로 조리하는 음식점(횟집, 일식음식점)에서 주의 가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출처 : 식품의약품안전청)



참고문헌
식품위생학 문창규 외 11인 보문각 2007 p.87
자세히 쓴 식품위생학 장동석, 신동화 정덕화 김창민 이인선 정문각 2002 p.76
식품안전정보서비스> 위험정보> 생물학적요소 (http://www.foodsafety.go.kr/)
식품의약품 안전청 식중독 홍보 사이트 (http://fm.kfda.go.kr/)
식품위생학 문창규 외 11인 보문각 2007 p.88
식품위생학 방병도 외 5인 진로 2006 p.128
식품의약품 안전청 식중독 홍보 사이트 (http://fm.kfda.go.kr/)
식품위생학 문창규 외 11인 보문각 2007 p.89
식품의약품안전청 식중독 홍보 사이트 (http://fm.kfda.go.kr/)
식품의약품안전청 식중독 홍보 사이트 (http://fm.kfda.go.kr/)
식품의약품안전청 식중독 통계시스템 사이트 (http://e-stat.kfda.go.kr/)
safe food 월간지. 2007년 9월호. 수산물 V.parahaemolyticus의 검출 방법 및 저감 방안. 이종경. 11p
자세히 쓴 식품위생학 장동석, 신동화 정덕화 김창민 이인선 정문각 2002 p.79-79
자세히 쓴 식품위생학 장동석, 신동화 정덕화 김창민 이인선 정문각 2002 p.79-79
safe food 월간지. 2007년 9월호. 수산물 V.parahaemolyticus의 검출 방법 및 저감 방안. 이종경. 11p
식품의약품안전청 식중독 홍보사이트 (http://fm.kfda.go.kr/)
식품위생관계법규 편람(개정19판)(최신) 편집부 지음 . 광문각 . 다른형태 종이책 2008 p.358
식품위생관계법규 편람(개정19판)(최신) 편집부 지음 . 광문각 . 다른형태 종이책 2008 p.359
식품의약품안전청 공고 제2009-290호 (http://www.kfda.go.kr/)
제 2010-1회식 품 위 생 심 의 위 원 회 미생물분과 안건 회의 (http://www.kfda.go.kr/)
식약청 식중독 대국민 홍보 사이트 (http://fm.kfda.go.kr/)
수산물 이력제 시스템 사이트 (http://www.fishtrace.go.kr/)
식약청 식중독 대국민 홍보 사이트 (http://fm.kfda.go.kr/)
식품안전정보서비스> 위험정보> 생물학적요소 (http://www.foodsafety.go.kr)
수산물 이력제 시스템 사이트 (http://www.fishtrace.go.kr/)
질병관리 본부 사이트 > 건강샘터 > 질병정보 (http://www.cdc.go.kr)
식품위생학 문창규 외 11인 보문각 2007 119p
질병관리본부 사이트 > 건강샘터 > 질병정보 (http://www.cdc.go.kr)
식품안전정보서비스> 위험정보> 생물학적요소 (http://www.foodsafety.go.kr)
식품위생학 문창규 외 11인 보문각 2007 120p
질병관리본부 사이트 > 건강샘터 > 질병정보 (http://www.cdc.go.kr)
식품위생학 문창규 외 11인 보문각 2007 p.120
식품안전정보서비스> 위험정보> 생물학적요소( http://www.foodsafety.go.kr/)
2006. 대한 간 학회. 김우주. Vibrio 감염증 51p
2006. 대한간학회. 김우주. Vibrio 감염증 51p
질병관리본부 사이트 > 건강샘터 > 질병정보 (http://www.cdc.go.kr)
식품안전정보서비스> 위험정보> 생물학적요소( http://www.foodsafety.go.kr/)
질병관리본부 사이트 > 건강샘터 > 질병정보 (http://www.cdc.go.kr)
대한피부과학회지 2008;46(2): 박석돈 외: Vibrio vulnificus 패혈증의 역학적 연구 176p
2006. 대한 간 학회. 김우주. Vibrio 감염증 52p
질병관리본부 사이트 > 건강샘터 > 질병정보 (http://www.cdc.go.kr)
질병관리본부 사이트 > 건강샘터 > 질병정보 (http://www.cdc.go.kr)
식품안전정보서비스 > 위험정보> 생물학적요소 (http://www.foodsafety.go.kr/)
식품위생학 문창규 외 11인 보문각 2007 80p
질병관리본부 사이트 > 건강샘터 > 질병정보 (http://www.cdc.go.kr)
2006. 대한 간 학회. 김우주. Vibrio 감염증 47p
2006. 대한 간 학회. 김우주. Vibrio 감염증 49p
2006. 대한 간 학회. 김우주. Vibrio 감염증 48p
2006. 대한 간 학회. 김우주. Vibrio 감염증 48p
2006. 대한 간 학회. 김우주. Vibrio 감염증 49p
자세히 쓴 식품위생학 장동석, 신동화 정덕화 김창민 이인선 정문각 2002 80p
2009. 전염병관리지침. 질병관리본부 11p
식품의약품안전청 사이트 (http://kfda.go.kr/)
국립수산과학원 사이트 (http://fm.kfda.go.kr/)
2009. 전염병관리지침. 질병관리본부 60p
2009. 전염병관리지침. 질병관리본부 62p
식품안전정보서비스 > 위험정보> 생물학적요소 (http://www.foodsafety.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