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민속학] 한국 신화 연구의 문제점과 콘텐츠로써의 발전 가능성

 1  [한국 민속학] 한국 신화 연구의 문제점과 콘텐츠로써의 발전 가능성-1
 2  [한국 민속학] 한국 신화 연구의 문제점과 콘텐츠로써의 발전 가능성-2
 3  [한국 민속학] 한국 신화 연구의 문제점과 콘텐츠로써의 발전 가능성-3
 4  [한국 민속학] 한국 신화 연구의 문제점과 콘텐츠로써의 발전 가능성-4
 5  [한국 민속학] 한국 신화 연구의 문제점과 콘텐츠로써의 발전 가능성-5
 6  [한국 민속학] 한국 신화 연구의 문제점과 콘텐츠로써의 발전 가능성-6
 7  [한국 민속학] 한국 신화 연구의 문제점과 콘텐츠로써의 발전 가능성-7
 8  [한국 민속학] 한국 신화 연구의 문제점과 콘텐츠로써의 발전 가능성-8
 9  [한국 민속학] 한국 신화 연구의 문제점과 콘텐츠로써의 발전 가능성-9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국 민속학] 한국 신화 연구의 문제점과 콘텐츠로써의 발전 가능성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A. 서론
1. 조사 주제 및 목적
2. 조사 방법
3. 조사 일정

B. 본론
4. 조사 내용

C. 결론
5. 조사 결과

D. 참고 자료
본문내용
② 무당의 노래나 구전으로 전해지는 신화
기원신화-해와 달이 된 오누이, 사매성의 우래, 북두칠성의 유래 등
당신신화-영동할머니, 다자구 할머니, 아인진의 해랑신, 은산별신, 서낭신, 조상신, 일반신의 신화 등

이들 모두를 참고하면 한국 신화는 우주발생신화부터, 인간탄생신화, 문명기원신화 등 다양한 것을 알 수 있다. 그럼에도 문헌에 기록된 것만을 고려하여 한국에는 건국신화뿐이라고 결론 내리며 그렇게 교육하여 온 것이 우리 신화 연구와 교육의 현주소가 아닌지 반성이
요구된다. 책으로 전해져 내려 올 수 없는 민족적, 한계적 상황에서 무당의 입을 통해서라도 전승되어 온 한국 신화는 더욱 재고되어 고찰되지 않으면 안 된다. 이에 구전에 의한 전승 역시 문헌에 전해져 내려오는 것과 마찬가지로 중요한 것이라는 인식의 전환이 필요하다. 그런데 우리의 경우는 문헌에 실린 신화마저 모두 수용하는 것이 아니라 특정한 이데올로기 하에서 선택하고 배제하여 왔음을 보게 된다. 중국 사서를 참고한 『삼국유사』의 것은 채택하고 우리의 사서를 참고하여 저술한 신화들은 배척당하였던 것이다. 이 시점에서 우리는 우리 스스로 가지고 있는 우리 민족 태고사 분야에 관한 선입견을 극복하는 일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조미숙, 2008 《겨레어문학》겨레어문학회, 제41권, pp.583-584


다. 한국 신화 연구의 문제점
우선 우리 신화의 왜곡 가능성 문제이다. 왜 우리 신화의 다양성은 무시되고 우리들은 건국신화만이 우리 신화의 전부인 것처럼 전승, 유통되었을까.
첫째, 지정학적 위치상 각국의 견제 대상이 되어야 했던 민족사, 특별히 식민지를 겪었던 민족사적 특수성에서 원인을 찾을 수 있겠다. 잦은 외침과 식민지를 겪으면서, 흥했던 전성기 과거 역사에 관한 공식적 기억은 삭제될 수밖에 없었을 것이다. 학자들의 연구에 기대자면, 김부식의 『삼국사기』에는 아예 단군에 관한 기록을 자취조차 찾을 수 없고 일연이 편찬한 『삼국유사』마저 그것이 신화처럼 서술될 수밖에 없었던 것은 당시 대내적 정세가 우리 민족의 우수성을 펼칠 수 없는 상황이었기 때문이었다. 가까운 역사에서도 그러한 역사 왜곡, 축소의 예를 발견할 수 있으니 20세기 근대 초기에 식민을 겪는 과정에서이다. 일제는 조선을 접수하자마자 조선사편수회라는 어용학술단체를 만들어 민족사를 왜곡하고 한민족 자긍심의 기틀이 될 신화나 역사는 부정, 삭제한다. 당시 최남선 등 우리 학자들의 맹렬
참고문헌
저서
장주근, 1995한국 신화의 민속학적 연구》서울 : 집문당
서대석, 2001《한국 신화의 연구》서울 : 집문당
이지영, 2000《한국 건국신화의 실상과 이해》서울 : 月印
카렌 암스토롱(이다희 옮김), 2005《신화의 역사》파주 : 문학동네
고운기, 2006《우리가 정말 알아야할 삼국유사》서울 : 현암사
최혜실, 2006 《문화콘텐츠, 스토리텔링을 만나다》 서울 : 삼성경제연구소
김희경 외, 2008 《이야기를 파는 나라 일본》 서울 : 미래의 창
윤태원, 2009 서울 : 한국헤세학회
김기덕, 2007《한국 전통문화와 문화콘텐츠》서울 : 북코리아

논문
최민성, 2008 《국제어문》국제어문학회, 제42집, pp.493-521
조미숙, 2008 《겨레어문학 》겨레어문학회, 제41권, pp.577-606
주창윤, 2007 ,《한국극예술연구》 한국극예술학회, 제25집, pp.369-398
함복희, 2007 《語文硏究 通卷》한국어문교육연구회, 제134호, pp.141-164
배선애, 2007 《한국극예술연구》 한국극예술학회, 제25집, pp.285-331
박기수, 2007 《연구한국언어문화학회 (구 한양어문학회)》제 37권, pp.139-157
박기수, 2006 《한국문예비평연구》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제20호, pp5-22
임재해, 2006 ,《비교민속학》 비교민속학회, 제1집, pp.183-241
신광철, 2005 《단군학연구》 단군학회, 제12호, pp.275-299
최원오, 2003 《국문학회》국문학연구, 제9호, pp7-36

영상
MBC, 2007《태왕사신기》 60분, 서울
MBC, 2007《주몽》 60분, 서울
민족예술단 우금치, 부경아고라 TV 촬영, 2009.10.26《할머니가 들려주는 우리이야기》 46분
민족예술단 우금치, 공사모 촬영, 2008.4.4~5 《가족마당극 우리 신화 이야기》 6분
국립문화재 연구소 중요무형문화재 기록 영상, 2009 《경기도 도당굿》45분
국립문화재 연구소 중요무형문화재 기록 영상, 2009 《남해안 별신굿》42분
국립문화재 연구소 중요무형문화재 기록 영상, 2009 《서울새남굿》41분 국립문화재 연구소 중요무형문화재 기록 영상, 2009 《서해안배연신굿 및 대동굿》87분 국립문화재 연구소 중요무형문화재 기록 영상, 2009 《동해안 별신굿》53분
국립문화재 연구소 중요무형문화재 기록 영상, 2009 《진도씻김굿》56분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