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과 중국의 교육정책

 1  한국과 중국의 교육정책-1
 2  한국과 중국의 교육정책-2
 3  한국과 중국의 교육정책-3
 4  한국과 중국의 교육정책-4
 5  한국과 중국의 교육정책-5
 6  한국과 중국의 교육정책-6
 7  한국과 중국의 교육정책-7
 8  한국과 중국의 교육정책-8
 9  한국과 중국의 교육정책-9
 10  한국과 중국의 교육정책-10
 11  한국과 중국의 교육정책-11
 12  한국과 중국의 교육정책-12
 13  한국과 중국의 교육정책-13
 14  한국과 중국의 교육정책-14
 15  한국과 중국의 교육정책-15
 16  한국과 중국의 교육정책-16
 17  한국과 중국의 교육정책-17
 18  한국과 중국의 교육정책-18
 19  한국과 중국의 교육정책-19
 20  한국과 중국의 교육정책-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국과 중국의 교육정책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 론
- ( 문 제 제 기 )

2. 한국의 교육철학과 그 정책

3. 중국의 교육철학과 그 정책

4. 한국과 중국의 교육제도

5. 한국과 중국의 대학입시제도

6. 한국과 중국의 공교육과 사교육

7. 결 론
- (한국 교육정책과 중국 교육정책의 공통된 문제점)
- (개선 방안 제시)

본문내용
근거지를 설립한 이후 연안(延安) 등지에서 항일군정대학(抗日軍政大學) 섬북공학(陝北公學) 노신예술학원(魯迅藝術學院) 연안대학(延安大學) 등이 잇달아 창설되었다. 해방전쟁(1946~1949) 시기에 중국공산당 해방구의 교육사업은 더욱 확대되었다. 중국공산당이 영도하는 혁명근거지의 교육은 혁명대오와 민중의 문화수준과 정치의식을 향상시키고 인민과 민족해방을 위하여 투쟁하는 것이 지표였다.
공산당이 영도하는 혁명근거지 외의 교육사업은 대부분 국민당 정부의 관리하에 있었다. 기본적으로는 1922년 국민당 정부의 교육부에서 공포한 "6 6 5" 학제를 계속 시행하였는데, 초등소학(初小) 고등소학(高小) 6년, 중학(中學) 고등학교(高中) 6년, 대학(大學)은 예과(預科)를 포함하여 5년이었다. 1937년 7월 일본은 중국에 대하여 전면적인 침략전쟁을 개시하여 전중국의 108개 대학 중 91개가 전쟁의 피해를 입었고, 40%의 중학(中學)이 일본의 침략 지구에 들어갔다. 그리하여 북방의 주요 대학은 내륙으로 이전하였는데, 예컨대 북대(北大) 청화(淸華) 남개(南開) 세 개의 대학은 곤명(昆明)으로 이전하여 서남연합대학(西南聯合大學)이 창립되었다. 항일전쟁이 승리한 이후에 비로소 파괴된 대학들은 회복되기 시작했다.
전반적으로 보아 중국의 근현대교육은 상황이 비교적 복잡하다. 한편으로는 봉건적 교육제도를 종식시켜 근대교육의 체계를 수립하고, 현대 과학문화 지식의 전파를 촉진시킴으로써 역사적인 발전을 이룩하였으며, 다른 한편으로는 제국주의의 침략과 봉건주의 교육의 뿌리 깊은 영향, 전쟁의 파괴로 말미암아 사회는 불안하고 국가는 빈곤하여 중국의 교육은 여전히 매우 낙후되었다. 이러한 것은 주로 다음과 같은 사실에서 잘 나타나 있다.
첫째, 반식민지 반봉건적 색채가 짙어 일부의 교육기구는 외국인의 손에 의해 통제되었으며, 동북(東北) 등 피점령 지구에서 오랫동안 시행한 것은 노예화 교육이고, 공자를 존중하고 경전을 공부하는 것은 여전히 국통구(國統區: 국민당 통치지구) 교육의 중요한 내용이었다.
둘째, 각종 학교의 수가 극히 적은데다 국민의 생활이 매우 빈곤하였기 때문에 학생들의 입학률이 매우 저조하여 전국 80%의 청장년(靑壯年)이 문맹이었다. 당시에 중국의 교육발전 수준은 거의 같은 시기에 근대교육으로 전환한 이웃나라 일본에 비해서 1세기 가량 뒤떨어졌다. 따라서 이상과 같은 상황은 중화인민공화국이 수립된 이후에야 비로소 점차 근본적인 변혁이 있게 되었다.

(3) 당대의 교육
1)복잡한 행로
⇒ 1949년 10월 중화인민공화국 수립 이후 중국의 교육은 새로운 발전 단계로 진입하였다. 전체적으로 말하면 당대(當代) 중국의 교육은 신속하게 발전하여 거대한 성과를 거두었지만 그 행로는 결코 평탄하지만 않았다.
해방 초기에 매우 낙후된 교육상황을 변혁하여 중국의 교육을 진흥시키기 위하여 국민경제를 적극적으로 회복 발전시킨 동시에 정부에서는 일련의 조치를 취하여 원래의 교육정책에 대한 정리와 개혁을 단행하였다.
먼저 국민당이 물려준 각종 사립학교와 외국의 통제를 받던 학교를 접수 관리하여 국가의 교육 주권을 장악하였다. 그렇게 한 후에 1952년부터 1956년까지 점진적으로 전국의 사립학교를 공립학교로 바꾸었다. 이와 동시에 옛날의 학교를 접수 관리하는 과정 중에 옛날의 교육에 대해서도 개혁을 하였다. 옛날의 교육사상을 일소하고 민족적 과학적 대중적인 문화 교육을 수립하기 위하여, 한편으로는 원래 혁명근거지의 교육 경험을 기초로 삼고 근대 이래의 교육 중 좋은 경험을 흡수하였으며, 다른 한편으로는 당시 소련의 교육이론과 교육체제를 모델로 삼았다.
참고문헌
구자억, 『중국교육사』, 책사랑, 1999.
구자억, 『현대 중국교육의 심층적 이해』, 문음사, 1998.
구자억외 5명, 『동서양 주요 국가들의 교육』, 문음사, 1997.
리이리쉬, 『중국 대학교육의 형성 변화 개혁』, 한국학술정보, 2005.
송기창, 『한국교육정책의 쟁점』, 교육과학사, 제3판, 2002.
최해금, 『중국대학교육개혁정책의 변화와 과제에 관한 연구』, 한국학술정보, 2006.
구자억, 『중국의 대학입시제도연구』, 한국교육개발원, [KEDI] 한국교육 - 제24권 제2호, 1997.
한국학술진흥재단 두뇌한국21사업지원부, 『두뇌한국 21사업 성과 보고서』, 한국학술진흥재단 두뇌한국21사업지원부, 2004.
한국대학교육협의회, http://univ.kcue.or.kr/ipsi/system.jsp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