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사회복지사례] 학교 사회복지 실천기술(교사협력 및 학교체계 개입)

 1  [학교사회복지사례] 학교 사회복지 실천기술(교사협력 및 학교체계 개입)-1
 2  [학교사회복지사례] 학교 사회복지 실천기술(교사협력 및 학교체계 개입)-2
 3  [학교사회복지사례] 학교 사회복지 실천기술(교사협력 및 학교체계 개입)-3
 4  [학교사회복지사례] 학교 사회복지 실천기술(교사협력 및 학교체계 개입)-4
 5  [학교사회복지사례] 학교 사회복지 실천기술(교사협력 및 학교체계 개입)-5
 6  [학교사회복지사례] 학교 사회복지 실천기술(교사협력 및 학교체계 개입)-6
 7  [학교사회복지사례] 학교 사회복지 실천기술(교사협력 및 학교체계 개입)-7
 8  [학교사회복지사례] 학교 사회복지 실천기술(교사협력 및 학교체계 개입)-8
 9  [학교사회복지사례] 학교 사회복지 실천기술(교사협력 및 학교체계 개입)-9
 10  [학교사회복지사례] 학교 사회복지 실천기술(교사협력 및 학교체계 개입)-10
 11  [학교사회복지사례] 학교 사회복지 실천기술(교사협력 및 학교체계 개입)-11
 12  [학교사회복지사례] 학교 사회복지 실천기술(교사협력 및 학교체계 개입)-12
 13  [학교사회복지사례] 학교 사회복지 실천기술(교사협력 및 학교체계 개입)-13
 14  [학교사회복지사례] 학교 사회복지 실천기술(교사협력 및 학교체계 개입)-14
 15  [학교사회복지사례] 학교 사회복지 실천기술(교사협력 및 학교체계 개입)-15
 16  [학교사회복지사례] 학교 사회복지 실천기술(교사협력 및 학교체계 개입)-16
 17  [학교사회복지사례] 학교 사회복지 실천기술(교사협력 및 학교체계 개입)-17
 18  [학교사회복지사례] 학교 사회복지 실천기술(교사협력 및 학교체계 개입)-18
 19  [학교사회복지사례] 학교 사회복지 실천기술(교사협력 및 학교체계 개입)-19
 20  [학교사회복지사례] 학교 사회복지 실천기술(교사협력 및 학교체계 개입)-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학교사회복지사례] 학교 사회복지 실천기술(교사협력 및 학교체계 개입)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학교체계에 대한 이해

1. 학교체계의 특성

2. 학교 조직의 일반적 특성

Ⅱ. 학교체계에 대한 개입

1. 학교변화를 위한 20-60-20 이론

2. 학교내부변화를 위한 프로그램

Ⅲ. 학교의 문화와 분위기, 프로그램을 통한 개입

1.학교의 문화 및 분위기

2. 학교문화 및 분위기 변화를 위한 프로그램

Ⅳ. 교사와의 협력

1. 교사의 역할과 기능

2. 교사, 전문상담교사, 학교사회복지사의 비교

3. 학교사회복지에 대한 교사의 인식

4. 학교사회복지 실천 초기단계에서 교사와의 관계형성

5. 교사와의 자문관계

6. 팀 접근

ⅴ. 기관 방문


본문내용
Ⅱ. 학교체계에 대한 개입


1. 학교변화를 위한 20-60-20 이론

이 이론에 따르면 각 학교의 직원들은 세 가지 유형의 집단으로 나뉜다. 첫 번째 집단은 교직원의 약 20%로 구성되는데, “방해자(obstucters)"로 지칭된다. 이 집단은 학교정책, 프로그램, 과정에서 변화를 추구하는 어떠한 시도도 적극적으로 차단하며 학교사회사업가를 포함하여 변화를 시도하는 모든 사람을 깎아 내린다. 이 집단은 상대적으로 수가 적은 반면, 구성원들의 목소리는 매우 크며, 학교에서 매우 정치적인 힘을 발휘할 수도 있다.
두 번째 집단의 구성원들은 “형세 관망자(fence sitters)"라고 볼 수 있을 것이다. 이 집단은 학교 직원들 중에 가장 많은 수인 약 60%를 차지한다. 이들은 보통 어떠한 학교 변화 제안에 대해서도 ”기다려 보자“는 식의 태도를 취한다. 이들은 변화가 자신들에게 이득이 된다는 것이 확인될 때까지 어떠한 변화에 대해서도 중립적인 입장을 취한다. 이 집단은 규모가 클 뿐만 아니라 이들의 입장은 변화될 수 있기 때문에 학교 변화를 위한 지지를 얻으려면 학교사회사업가는 이 집단에 초점을 두는 것이 중요하다.
세 번째 집단의 구성원들은 “변화 중개자(change agents)"라고 불릴 수 있다. 이 집단은 전체 학교 직원들의 약 20%에 불과하지만 학생들에게 이득을 줄 수 있는 학교정책이나 프로그램 및 과정을 변화시키려는 시도에 대해 매우 열성적이다. 이들은 학교 체계변화에서 학교사회사업가들을 위한 일차적 지지집단이 될 것이다. 이들은 형세 관망자들의 입장을 변화시키고 방해자들의 파괴적인 노력을 중립화시킬 수 있다.

존은 지난 3년간 제퍼슨 중학교에서 학교사회사업가로 근무했다. 그 동안 그는 남학생들이 여학생들에게 매우 성적으로 공격적인 언어를 사용하며, 복도를 지나갈 때 여학생들을 괜히 건드리거나 붙잡거나 꼬집거나 만지는 것을 목격해 왔다. 학생들이 서로 성적인 루머를 퍼트린다는 사실도 알게 되었다. 존은 이 문제에 어떤 대처를 해야겠다고 생각했다. 그러나 교직원들에게 접근하여 이 문제를 가지고 서로의 생각을 공유하고 가능한 해결책을 탐색해 보기 전에, 이 문제에 어떻게 접근해야 할지를 먼저 생각해 볼 시간이 필요하다는 것을 인식하게 되었다.



학교사회사업가는 이 문제해결을 위한 지지를 얻어내기 위해 가장 먼저 학교장을 만난다. 적어도 최소한의 지지를 얻고, 변화 중개자로 확인된 교사와 직원들을 만난다. 그들과 만나 사회복지사는 자신의 걱정을 이들과 공유하며, 학교에는 이러한 문제를 부정하거나 최소화 하려고 시도하려는, 소수이지만 영향력 있는 직원 집단이 있다는 사실도 공유한다.
참고문헌

학교사회사업(2004) David R. Dupper 지음, 한인영 외 옮김, 학지사
학교사회복지의 이론과 실제(2006) 성민선 외, 학지사
학교와 사회복지 실천(2004) 한인영 외, 나남출판
학생권리와 학교사회복지(2009) 이혜원 외, 도서출판 한울
한국 학교조직 탐구(2005) 진동섭 외, 학지사

박상완. 2006. 「교사평가에 관한 교원의 인식에 나타난 학교 조직의 특성」. ≪초등교육연구≫, 19(1). 261~292쪽.
정수현. 2000. 「학교현실에 관한 교사들의 인식-교원평가에 대한 반응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박종림. 2008. 「학교사회복지 실시유형에 따른 교사들의 인식비교 연구」. 청주대학교 사회복지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수진. 2005. 「학교사회복지 모델에 따른 교사들의 인식비교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