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대기오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탐색 연구

 1  서울시 대기오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탐색 연구-1
 2  서울시 대기오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탐색 연구-2
 3  서울시 대기오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탐색 연구-3
 4  서울시 대기오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탐색 연구-4
 5  서울시 대기오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탐색 연구-5
 6  서울시 대기오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탐색 연구-6
 7  서울시 대기오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탐색 연구-7
 8  서울시 대기오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탐색 연구-8
 9  서울시 대기오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탐색 연구-9
 10  서울시 대기오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탐색 연구-10
 11  서울시 대기오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탐색 연구-11
 12  서울시 대기오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탐색 연구-12
 13  서울시 대기오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탐색 연구-13
 14  서울시 대기오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탐색 연구-14
 15  서울시 대기오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탐색 연구-15
 16  서울시 대기오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탐색 연구-16
 17  서울시 대기오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탐색 연구-17
 18  서울시 대기오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탐색 연구-18
 19  서울시 대기오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탐색 연구-19
 20  서울시 대기오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탐색 연구-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서울시 대기오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탐색 연구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연구방법

2.1. 변수의 정의와 수집

2.2. 데이터 탐색 및 데이터 정제

2.3. 분석모형

2.4. 모형평가

3. 결론
본문내용
1. 서론
세계보건기구(WHO)는 “대기오염이란 인공적으로 배출되어 대기 중에 있는 오염물의 양, 농도 및 지속시간의 과잉으로 특정 지역의 다수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상태, 혹은 공중 위생상 인산, 동식물 및 재산에 유해하고 쾌적한 생황을 방해하는 상태”라고 정의하고 있다. 이와 같이 오염물질의 성분은 지적하지 않았으나 오염물질이 대기 중에서 일정한 농도로 일정시간 동안 존재하며, 이로 인해 주민에게 생활과 재산상의 위해를 끼칠 수 있는 대기 상태라는 것을 지적하고 있다.
대기오염물질은 일반적으로 입자 크기에 따라 가스상 물질(gaseous matter)과 입자상 물질(particulate matter)로 구분할 수 있으며, 생성 과정에 따라 1차 오염물질(primary pollutants)과 2차 오염물질(secondary pollutants)로 구분한다. 1차 오염물질이란 공장의 굴뚝, 자동차의 배기관 등을 통하여 대기로 직접 배출된 물질을 말하며, 2차 오염물질은 1차 오염물질이 대기 중에서 물리•화학적 변화에 의해 생성된 것을 말한다 (윤오섭, 2000).
우리나라에서는 ‘환경정책기본법’에 의해 미세먼지(PM10), 이산화항(SO2), 이산화질소(NO2), 오존(O3), 일산화탄소(CO)등 대기오염물질의 환경 기준치를 설정하여 규제•관리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최근 들어 일산화탄소, 이산화황등의 대도시 대기농도는 줄어들고 있으나 오존, 미세먼지 등의 농도는 계속 늘어나는 추세이다 (통계청, 2007). 서울시 연도별 대기오염도 변화추이를 살펴보면, 주로 산업 활동 및 자동차에 의해 배출되는 후진국형 오염물질인 이산화항 및 일산화탄소는 저감장치 및 저공해연료 등의 사용에 의해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오존도 다소 감소추세에 있는 등 환경기준에 비추어 볼 때 비교적 관리가 잘 이루어 졌음을 알 수 있다. 이에 반해 이산화질소는 지속적인 상승세에 있으며, WHO 권고 기준의 2배 가량 높은 수치를 보이고 있다. 미세먼지의 경우 또한 측정이 시작된 이래 감소되지 않고 있으며, 최근 5년간 높은 증가 추세에 있는 등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한 실정이다.
대기오염 문제의 심각성은 1900년대에 이르러 급격한 산업화로 인하여 발생된 오염피해 사례를 경험하면서 대두되기 시작하였다. 특히 1950년대 초반 영국의 런던스모그 사건과 미국의 LA스모그 사건을 통해 수 천명의 사망자가 발생한 이후 대기오염과 건강영향간의 사회적 관심이 집중되기 시작하였으며, 그 이후 대기오염과 사망간의 관련성을 규명하기 위한 많은 연구들이 수행되기 시작하였다(Schwartzet al,. 1993:Dockeryet al.. 1989). 유럽 및 미국을 중심으로 대기오염의 인체위해성에 대한 본격적인 역학적 연구가 수행되기 시작하여 상이한 시간•공간적 차이, 인구•사회학적 차이, 환경적 조건, 산업구조 혹은 대기오염 발생원 차이에서 기인된 대기오염의 질적 차이에도 불구하고 대기오염의 인체 위해 가능성을 일관되게 제시하였을 뿐만 아니라, 특히 어린이와 노약자 및 천식과 심혈관계 질환자 등 만성 호흡기성 질환자들과 같은 민감집단에 있어서는 더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규명되고 있다(Leeet al,, 2002:Burnettet al, 1997:Delfinoet al,, 1997).
우리나라에서도 대도시의 대기오염 과 일일사망발생의 상관성을 연구하고 있으며 장기적으로 허용기준을 만족시키는 대기오염 수준이라 할 지라도, 단기적 대기오염 수준의 변동이 대기오염 관련 질환의 사망률, 입원건수, 응급실 방문건수, 외래 방문건수 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보여 주었다(조용성 외 2006).
참고문헌
참고자료
윤오섭. (2000). “환경학.” 세진사.
조용성손지영, 김윤신이종태,. (2006). 메타분석을 적용한 전국 7개 대도시의 대기오염과 일일사망발생의 상관성 연구(1998년~2001년). “한국환경보건학회지, 제32권, 제4호”, 304~315.
통계청. (2007). “1996년~2006년도 전국 대도시 대기 공해 물질 변화 현황.”
BurnettS.Cakmak, J.R. Brook and D. KrewskiR.T.,. (1997). The role of particulate size and chemistry in the association between summertime ambient air pollution and hospitalization for cardiorespiratory disease. “Environ. Health Perspect., 105”, 페이지: 614-620.
DelfinoA.M. Murphy-Moulton, R.T. Burnett, J.R.Brook, and M.R. BecklakeR.J.,. (1997). Effects of air pollution on emergency room visits for respiratory illnesses in Montreal, Quebec. “Am. J. Respir. Crit. Care. Med., 155”, 페이지: 568-576.
DockeryF.E. Speizer, D.O. Stram, J.H. Ware, J.D. Spengler, and B.G. FerrisD.W.,. (1989). Effects of inhalable particles on respiratory health of children. “Am. Rev. Respir. Dis., 139”, 페이지: 587-594.
LeeH. Kim, H. Song, Y.c. Hong, S.Y. Shin, Y.J. Hyun, and Y.S. KimJ.t.,. (2002). Air pollution and asthma among children in Seoul. “Epidemilogy”, 페이지: 481-484.
SchwartzSlater, T.V. Larson, W.E. Peirson, and J.Q. KoenigJ.D. (1993). Particulate air pollution and hospital emergency room visits for asthma in Seattle. “Am. Rev. Respir. Dis. 147”, 페이지: 826-8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