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스템공학]미세전류 자극을 이용한 근육피로 개선 러닝화

 1  [시스템공학]미세전류 자극을 이용한 근육피로 개선 러닝화-1
 2  [시스템공학]미세전류 자극을 이용한 근육피로 개선 러닝화-2
 3  [시스템공학]미세전류 자극을 이용한 근육피로 개선 러닝화-3
 4  [시스템공학]미세전류 자극을 이용한 근육피로 개선 러닝화-4
 5  [시스템공학]미세전류 자극을 이용한 근육피로 개선 러닝화-5
 6  [시스템공학]미세전류 자극을 이용한 근육피로 개선 러닝화-6
 7  [시스템공학]미세전류 자극을 이용한 근육피로 개선 러닝화-7
 8  [시스템공학]미세전류 자극을 이용한 근육피로 개선 러닝화-8
 9  [시스템공학]미세전류 자극을 이용한 근육피로 개선 러닝화-9
 10  [시스템공학]미세전류 자극을 이용한 근육피로 개선 러닝화-10
 11  [시스템공학]미세전류 자극을 이용한 근육피로 개선 러닝화-11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시스템공학]미세전류 자극을 이용한 근육피로 개선 러닝화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초록
1. 서론
2. 이론
3. 연구 대상 선정 및 실험방법
4. 실험결과 및 검증
5. 결론



본문내용
초록
인간의 신체활동은 근수축을 바탕으로 이루어지고 따라서 신체활동을 통한 운동의 시작은 근수축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에서 뒤따라오는 것이 바로 피로인데 의학적 측면에서 볼 때 피로는 질병이 아닌 하나의 증상으로서, 이는 신체의 과사용으로 인한 근육계나 신경계 등의 심각한 상해를 예방해 줄 수 있는 안전장치로서의 의미가 크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신속한 피로의 회복은 신체 기능의 정상상태 유지라는 측면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고 할 수 있다.

본 과제에서는 미세전류를 이용하여 운동 시 발생하는 근피로 개선의 효과를 검증하고 좀 더 효과적인 개선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제1절 서론

전기자극자극의 주 효과는 통증관리로 오래 전부터 의학에서 사용해 왔다. 물리치료시 사용하는 저주파 치료기는 시중에서도 쉽게 구할 수 있을 정도로 대중화 되어있으며 최근에는 전체 전류량을 줄이고 치료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미세전류의 사용이 각광받고 있다.
인체는 세포간 물질 이동 과정에서 약 40~60㎂ 범위의 '생체전기'를 발생시킨다. 세포막을 사이에 두고 나트륨 칼륨 칼슘 등의 양이온과 염소 등 음이온 전극을 띤 물질들이 끊임없이 뒤바뀌는 과정에서 전기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생체전기와 유사한 레벨의 '미세전류'를 인위적으로 몸 속에 흐르게 하면 세포기능 및 세포 간 신호전달이 촉진되고, 조직이 재생돼 상처치유 효과가 나며, 각종 호르몬과 신경전달물질의 분비가 왕성해진다는 것이다.[1]
미세전류는 세포의 생리와 성장을 자극하는 능력 때문에 “생물학적 자극, 또는 “생체공학적 요법이라고도 한다. 미세전류에 대한 연구로는 Cheng(1982)의 ATP 생성, 단백질 합성, 세포막 투과에 대한 다양한 전류강도에 따른 생리학적 효과를 연구하였다. 불유합 골절에 대한 효과(Brington, 1981; Yasuda, 1953), 최근에는 암 환자에서 방사선 치료 중 발생한 섬유증의 관리(Lennox et al, 2002), 요통치료(McMakin CR, 2004), 만성 아킬레스건 통증의 치료(Chapman & Hill, 2002)의 보고가 있고, 국내에서는 지연성 근육통에 대한 미세전류의 효과(정영종 등, 2000)교감신경 긴장도에 미치는 효과(박래준, 1997), 상처치유 효과(권원안 등, 2000), 치주조직 재생 효과(김영준과 정현주), β - 엔돌핀과 통증 역치에 미치는 효과(김형남과 박래준, 1997 ; 조정선 등, 1994), 세균 성장 억제 효과(강은진 등, 1996)등이 보고되었다.
참고문헌
http://www.hankyung.com/news/app/newsview.php?aid=2010030767941
박래준, 최상균, 조미숙, 조정선, 이윤숙, 미세전류발생 신발 착용이 족부 근피로 및 통증완화에 미치는 영향
http://ec.europa.eu/energy/res/sectors/bioenergy_chp_en.htm
日本下水道協会発行, 下水道施設省資源省エネルギー化対策, 19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