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복관리] 다운(DOWN) 재킷의 관한 연구

 1  [의복관리] 다운(DOWN) 재킷의 관한 연구-1
 2  [의복관리] 다운(DOWN) 재킷의 관한 연구-2
 3  [의복관리] 다운(DOWN) 재킷의 관한 연구-3
 4  [의복관리] 다운(DOWN) 재킷의 관한 연구-4
 5  [의복관리] 다운(DOWN) 재킷의 관한 연구-5
 6  [의복관리] 다운(DOWN) 재킷의 관한 연구-6
 7  [의복관리] 다운(DOWN) 재킷의 관한 연구-7
 8  [의복관리] 다운(DOWN) 재킷의 관한 연구-8
 9  [의복관리] 다운(DOWN) 재킷의 관한 연구-9
 10  [의복관리] 다운(DOWN) 재킷의 관한 연구-10
 11  [의복관리] 다운(DOWN) 재킷의 관한 연구-11
 12  [의복관리] 다운(DOWN) 재킷의 관한 연구-12
 13  [의복관리] 다운(DOWN) 재킷의 관한 연구-13
 14  [의복관리] 다운(DOWN) 재킷의 관한 연구-14
 15  [의복관리] 다운(DOWN) 재킷의 관한 연구-15
 16  [의복관리] 다운(DOWN) 재킷의 관한 연구-16
 17  [의복관리] 다운(DOWN) 재킷의 관한 연구-17
 18  [의복관리] 다운(DOWN) 재킷의 관한 연구-18
 19  [의복관리] 다운(DOWN) 재킷의 관한 연구-19
 20  [의복관리] 다운(DOWN) 재킷의 관한 연구-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의복관리] 다운(DOWN) 재킷의 관한 연구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1. 연구 동기 및 목적
2. 연구 주제


Ⅱ. 본론

1. 사전 조사
1. Down의 개념
2. Down의 기능 및 구조

2. 제품 조사
1. The northface
2. Kolon sports

3. 설문 조사
1. 가설 설정
2. 조사 대상 및 방법
3. 결과 분석 및 문제점

4. 상품 개발 및 기획

1. ‘기술의 집’ 을 활용한 상품 개발
2. 상품 기획

Ⅲ. 결론

1. 요약 및 제언

Ⅳ. 별첨

1. care label 예시
2. 설문지 첨부
3. 참고 문헌 / 출처
본문내용
Ⅰ. 서론

1.연구 동기

1990년대에 들어서면서 야외활동과 레저 활동에 대한 관심 증대로 아웃도어 웨어 시장이 급속도로 성장하였으며 최근 주 5일 근무제 도입에 힘입어 야외활동의 전유물로만 여겨졌던 스포츠 등산복과 다운점퍼가 일상생활 속에서 캐주얼 웨어로 자리매김 하고 있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다운점퍼는 그 수요가 점차 증대되고 있기에 향후 그 시장의 범위가 확대되어감에 따라 기업의 매출 신장에 큰 기여를 할 가능성이 많은 매력적인 아이템이라 볼 수 있다. 하지만 현재 캐주얼 웨어로서의 다운은 그 패션성에 있어서 여전히 소비자의 기대에 미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며 보온성과 경량성의 측면 또한 개선되어야 할 점이 많은 실정이다. 이에 현재 시장에 출시된 다운점퍼의 디자인적 요소와 같은 패션성과 그 품질 및 기능에 대해 살펴보고 분석을 통해 보완점과 대책을 제시하도록 하겠다.

2. 연구 주제

다운의 보온성/패션성 향상
3~4년 전부터 불어 닥친 S-Line 열풍으로 사회 전반적으로 다이어트 열풍이 거세게 일었으며 식품, 미용, 서적과 같은 재화는 물론이고 서비스 영역에서도 ‘Slim’을 내세운 상품들이 쏟아져 나왔고 이는 패션 시장에서도 예외는 아니었다. 하지만 다운 점퍼의 경우 겨울철 시즌 상품으로서 그 패션성보다는 기능적인 면들이 크게 부각되어 왔던 탓에 slim marketing을 앞세운 패션 시장에서 주목할 만한 성과를 거두지 못하였다. 특히 디자인과 실루엣의 심미적 요소를 중시하는 20대에게 다운점퍼는 그들의 개성과 감성을 표현하기에는 많이 부족한 것이 사실이었다.
또한 다운점퍼의 본질적인 기능이라 할 수 있는 보온성 또한 소비자들이 만족할 만큼의 품질수준에 이르지 못하고 있기에 그에 대한 개선 방향 또한 제시하고자 한다. 본론에서는 소비자 설문조사와 그 분석을 통해 그들의 품질 욕구를 보다 더 구체적으로 파악하여 제품 설계에 반영할 요소들을 선택하고 각 요소에 따른 평가 방법 및 기준도 구체적으로 살펴보겠다. 다음으로 품질의 집을 통해 품질 요소 반영 정도를 살펴 본 후, 실제 품질 요소 디자인을 통해 보다 더 만족할 만한 수준의 다운 점퍼를 제안해보겠다.

참고문헌

3) 참고 문헌 / 출처
1. http://www.naver.com
2. http://www.Google.co.kr
3. NorthFace http://3. www.northface.co.kr3.
4. KOLON SPORT 4. http://www.kolonsport.co.kr4.
5. K2 5. http://www.k2outdoor.co.kr5.
6. 조길수, 2004년, , 서울: 시그마프레스.
7. 마리 오마호니, 사라 E, 브래독 저, 차임선 역, 2004년, , 서울: 예경.
8. 권영아 ․ 여은아, 1997년, , 서울: 신광출판사.
9. 김은애 외 다수, 1997년, , 서울: 교문사.
10. 권오경 ․ 고재운,『고기능 섬유와 스포츠 웨어』, 한국의류산업학회지 제 4 권 5 호, 2002.
11. 『Brand Power In Outdoor Market』, 삼성디자인넷 리포트, 2009.8.17.
12. 기능성섬유가공 저자 김영호 외 6인, 교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