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현대시인론] 청마(靑馬) 유치환 연구

 1  [한국현대시인론] 청마(靑馬) 유치환 연구-1
 2  [한국현대시인론] 청마(靑馬) 유치환 연구-2
 3  [한국현대시인론] 청마(靑馬) 유치환 연구-3
 4  [한국현대시인론] 청마(靑馬) 유치환 연구-4
 5  [한국현대시인론] 청마(靑馬) 유치환 연구-5
 6  [한국현대시인론] 청마(靑馬) 유치환 연구-6
 7  [한국현대시인론] 청마(靑馬) 유치환 연구-7
 8  [한국현대시인론] 청마(靑馬) 유치환 연구-8
 9  [한국현대시인론] 청마(靑馬) 유치환 연구-9
 10  [한국현대시인론] 청마(靑馬) 유치환 연구-10
 11  [한국현대시인론] 청마(靑馬) 유치환 연구-11
 12  [한국현대시인론] 청마(靑馬) 유치환 연구-12
 13  [한국현대시인론] 청마(靑馬) 유치환 연구-13
 14  [한국현대시인론] 청마(靑馬) 유치환 연구-14
 15  [한국현대시인론] 청마(靑馬) 유치환 연구-15
 16  [한국현대시인론] 청마(靑馬) 유치환 연구-16
 17  [한국현대시인론] 청마(靑馬) 유치환 연구-17
 18  [한국현대시인론] 청마(靑馬) 유치환 연구-18
 19  [한국현대시인론] 청마(靑馬) 유치환 연구-19
 20  [한국현대시인론] 청마(靑馬) 유치환 연구-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국현대시인론] 청마(靑馬) 유치환 연구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시인연보

2. 서론

3. 기존논의 검토

4. 사랑 - 멈출 수 없는 애가(哀歌)
4.1. 유치환 사랑시의 특성과 시대배경
4.2. 여인에 대한 사랑
4.3. 가족에 대한 사랑
4.4. 생명의 본질 - 사랑

5. 사회비판 - ‘사회시’에 담긴 사회비판과 현실 참여적 성격
5.1. 우국충정
5.2. 부패한 권력층 비판과 풍자
5.3. 고통 받는 민중들의 삶
5.4. 지사적 예언자적 면모를 드러낸 시
5.5. 전쟁의 비극성을 고발한 시

6. 허무의지와 니체의 영향
6.1. 허무의 인식
6.2. 신의 의미
6.3. 허무의 재인식
6.4. 허무의 의지
6.5. 니체의 영향
6.6 긍지 있는 인간의 형상화

7. 생명
7.1. 생명과 사랑, 자연, 사회
7.2. 허무의지와 생명성
7.3. 신의 의미와 휴머니즘

8. 대표시 평설

9. 결론

10. 참고문헌

본문내용
2. 서론

청마 유치환(靑馬 柳致環, 1908.7.14~1967.2.13)은 생명파 시인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1931년 시 을 발표하면서 시단에 등장한 그는 1967년 뜻밖의 교통사고로 타계하기까지 40년 가까이 문단 활동을 하면서 그 누구보다 많은 시작활동을 한 이른바 대형시인, 또는 대가시인이다. 그의 시는 우리 나라의 험난한 근대사의 굴곡을 그대로 따라가고 있다. 그의 생애와 시에서는 일제 강점기와 광복, 한국전쟁과 종군경험, 4․19와 5․16등 역사의 흔적이 그대로 묻어난다. 일제 말기의 만주 도피와 6․25 사변, 그리고 4․19는 청마의 사상 형성 및 변화에 결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이처럼 청마의 삶과 시는 떼려야 뗄 수 없는 관계에 놓여 있다. 청마의 생애와 그가 겪은 많은 역사적 사건들은 때때로 그의 시가 이야기하는 대상을 변화시키곤 했지만 그럼에도 그의 시는 늘 인간을 이야기했다. 사회나 자연, 사물이나 도시문명에 대해 이야기하면서도 이러한 시적 대상들은 궁극적으로 인간의 이야기를 전달하기 위해 동원된 도구나 매체로써 기능했기 때문이다. 청마의 초기 시 세계는 생명과 사랑에 그 중점이 있었다. 이는 인간을 말하기에 가장 가깝고 적합한 시적 대상들로, 그의 시적 경향을 잘 드러내 준다. 그는 문학사적으로는 생명파에 속해 있었는데, 생명파는 어떤 특정한 이념을 앞세운 의식적인 문학운동을 추구한 사람들이라기보다는 임의적 인간관계에서 기초한 자연발생적인 유파였다. 따라서 생명파를 대변하는 동인인 『시인부락』에 속해있지 않았던 청마도 그의 시 세계가 생명파의 본질을 잘 드러냄으로써 생명파로 분류될 수 있었던 것이다. 생명파 시인들은 생의 구경에 가로놓인 절대 허무 앞에서 그것을 초월하든지 의지로써 대결하든지 하는 생의 근원적 문제를 다루었다. 이것이 청마의 시 세계의 한 축을 이루고 있는 허무의지에 대한 작품들이 나온 배경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청마의 작품세계를 사랑, 사회비판, 허무의지, 생명이라는 네 가지 틀로 분류하여 검토해 볼 것이다.


3. 기존논의 검토

청마와 그의 시를 다각적으로 검토해 보기에 앞서 여태까지 발표되었던 청마 유치환의 작품세계에 대한 논의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청마 유치환의 생애에 대한 전기적 연구와, 그의 삶이 작품 세계를 어떤 식으로 구축했는가에 대한 연구를 먼저 살펴보면, 유치환의 문학 활동과 관련한 생애를 일종의 평전 형식으로 정리(김광회, 1984)하거나, 유치환과 관련되는 친지의 증언과 문헌에 나타난 자료들을 중심으로 한 연대기적 서술(김용성, 1984) 등이 있다. 유치환의 생애와 관련하여 그 문학적 성과를 검토한 것(김종길, 1974)이 있다. 여기서 김종길은 청마의 인간적인 면모와 그의 생애가 문학 작품에 미친 영향을 분석하고 있다. 그는 청마야말로 한국 현대시에서 가장 거대하고 꾸준하고 열렬한 도덕적인 시인이라고 역설하며 청마시의 정체를 이해하기 위하여 시인의 인간성과 작품 간의 상관성을 살핀 것이다. 불굴의 의지와 열화와 같은 생명의 의욕, 강인한 고투로 전개해 온 유치환은 그 심저에 감상과 생리적인 애련의 매개로 발동될 허무와 회의의 근원적 태반이 처음부터 자리 잡고 있다고 본 연구(김양수, 1983)도 있다. 조동민은 애련이 청마시의 본질적 요소의 의미를 띤다고 전제하고, 청마시의 두드러진 형상은 원시적 야성의 회복을 열망하는 생명 의지의 발양을 보인다고 주장하며 청마의 애련의 세계를 순수 감정에서 우러나온 절대선과 뜨거운 인정의 실재로서 파악(조동민, 1975)한 바 있다. 청마시가 지향하는 최상의 정점을 ‘행복’ 으로 보고 청마시의 애수의 정서가 이념과 의지와 표리 관계를 이루는데 이것은 이지적인 면을 동반한 애수로서, 이 애수의 정서는 청마시의 일관된 태도임을 밝히는 연구(오탁번, 1980)도 있다.
참고문헌

● 단행본
권영민, 「유치환과 생명의지」, 『한국 현대시사 연구』, 일지사, 1983.
김광회, 『뜨거운 노래는 땅에 묻고』, 지문사, 1984.
김봉군·이용남·한상무, 「유치환론」, 『한국 현대 작가론』, 민지사, 1984.
김양수, 「유치환의 수상록」, 『문예』, 1983.
김용민, 『루소의 정치철학』, 인간사랑, 2004.
김용성, 『한국 현대 문학사 탐방』, 현암사, 1984.
김용직, 『한국 현대시의 이해』, 삼성문화문고, 1971.
김재홍, 「청마 유치환」, 『한국현대시인연구』, 문학세계사, 1986.
김종길, 「비정의 철학, 청마시의 세계」, 『시론』, 탐구당, 1965.
유치환, 「청마 유치환론」, 『창작과 비평』, 1974.
유치환, 「청마의 생애와 시」, 『청마시선』, 민음사, 1974.
김준오, 「허무와 비의지적 자아, 유치환의 ‘자아’」, 『한국 대표시 평설』, 문학세계사, 1985.
김 현, 「「기빨」의 시학」, 『한국현대시문학대계』, 지식산업사, 1987.
김현·김윤식, 『한국문학사』, 민음사, 1973.
문덕수, 『유치환 평전』, 시문학사, 2004.
박철석, 『유치환』, 문학세계사, 1999.
유치환, 『韓國現代詩人硏究(18) - 유치환』, 문학세계사, 1999.
박철희, 『한국문학의 현대적 해석 - 유치환』, 서강대학교 출판부, 1999.
신경림·정희성, 『한국 현대시의 이해』, 진문출판사, 1981.
아리스토텔레스, 『니코마코스 윤리학』(최명관 역), 훈복문화사, 2005
오세영, 「실존 그리고 허무의 의지 - 유치환론」,『한국현대시인연구』, 월인, 2003.
유치환, 「산중일기」,『구름에 그린다』,신흥출판사, 1959.
유환 , 「산중 동신」,『전집』3권.
유치환, 「(『파도야 어쩌란 말이냐』의) 이 시집을 엮으며」,『청마유치환전집(3)』, 정음사, 1984.
이영도, 『사랑하였으므로 행복하였네라』, 중앙출판공사, 1967.
鄭東湖, 「위버멘쉬는 누구인가」, 『니이체의 연구』, 탐구당, 1983.
최동호, 「청마시의 깃발이 향하는 곳」, 『현대시』, 1985.

장 자크 루소, 『사회계약론』, 서울대출판부, 1999


● 논문
김종길, 『창작과 비평(1974년 여름호)』, 『유치환』, 박철석 편저, 문학세계사에서 재인용
곽동훈, 「시집《싱명의 서》에 깔려 있는 청마의 방황」, 《국어국문학》제 21집,
부산대 국문과, 1983년 12월.
방인태, 「유치환 시에 나타난 생명존중」,『배달말(15)』, 1990.
배호남, 「유치환 시의 문학관 연구」,경희대 대학원 석사논문, 2001.
오탁번, 「청마 유치환론」, 『어문논집』제 21집, 고려대학교 국문학연구회, 1980.
이재훈, 「유치환 시에 나타난 허무의식(虛無意識) 연구」,『한국문예비평연구』,2007.
이혜선, 「유치환 시의 현실비판과 풍자의식, 동국어문학」, 1997.
임수만, 「청마 유치환의 ‘고독’과 ‘生命’에의 熱愛」, 『한국시학연구』제22호, 2008.
전상훈, 「유치환 시 연구」, 조선대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1993.
조동민, 「청마연구 서설」, 『국어국문학』68·69 합병호, 1975.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