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상문화]미디어 아트

 1  [영상문화]미디어 아트-1
 2  [영상문화]미디어 아트-2
 3  [영상문화]미디어 아트-3
 4  [영상문화]미디어 아트-4
 5  [영상문화]미디어 아트-5
 6  [영상문화]미디어 아트-6
 7  [영상문화]미디어 아트-7
 8  [영상문화]미디어 아트-8
 9  [영상문화]미디어 아트-9
 10  [영상문화]미디어 아트-1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영상문화]미디어 아트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들어가며

본문

1. 북 코식(Vuk Cosic) - 딥 아스키(deep ASCII)
2. 조디 - wwwwwwwww.jodi.org
3. 로이 애스콧 - 가상현실
4. 도널드 마리넬리
5. 히로세 미치타카
6. 사이먼 페니
7. 라파엘 노사노-에메르(Rapael Lozano-Hemmer) - 벡토리얼 엘리베이션(Vectorial Elevation)

결론
본문내용
들어가며

우리 주변에서 ‘미디어’는 ‘공기’, ‘물’ 보다 더 많이 쓰는 단어가 되었다. 이런 것을 살펴보면 어쩌면 우린 공기를 마시고 물을 먹고 사는 것이 아니라 미디어를 보고 듣고 느끼며 사는 것이라는 착각에 빠지게 된다.
이렇게 우리 주위에서 넘쳐나는 미디어란 과연 무엇일까? 미디어란 말도 ‘문화’라는 말처럼 너무 광범위하고 모호하게 사용되고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미디어란 ‘매개물’, ‘매체’, ‘도체(導體) 도체(導體) : 열 또는 전기의 전도율이 비교적 큰 물체를 통틀어 이르는 말. 열에는 금속, 전기에는 금속이나 전해 용액 따위가 이에 속한다. (출처 : 네이버 국어사전)
’ 등의 의미를 지닌 미디엄(Medium)의 복수형이란 점에서 물질과 연관을 지닌다. 그러나 그 미디엄은 ‘중간’, ‘수단’, ‘방편(means)’이란 의미도 지닌다는 점에서 꼭 이 용어가 물질로부터 파생한 것이라고 볼 수 없다. 진자연, 「미디어아트의 현대적 해석」, 『프랑스문화예술연구 봄호』제 23집, 프랑스문화예술연구, 2008, p. 753에서 재인용 - 최태만, 「미디어천국과 미디어 제국의 경계에서」, 『현대미술학 논문집』제 4호, 문예마당, 2000, p. 57 재인용

첫째는 텔레비전이나 영화, 라디오, 신문 등 활자와 영상매체를 포함하여 독자와 가장 긴밀하게 접촉할 수 있는 정보 접촉 창구로서의 수단을 의미한다. 이 경우 미디어는 저널리즘을 포함한 일체의 정보 수단이라는 인식이 우선하며, 이는 과학기술의 정보 확산에 관한 효과를 뜻하는 것이다. 미디어란 용어는 본래 저널리즘 용어로 정착하였기 때문에 이때의 미디어는 의미 전달을 위한 기호로서 소통과 통신이라는 매체이론, 그리고 매체학적 용어가 된다.
다음으로 시각 예술에서 논의하는 미디어란 보다 도구적인 수단으로서의 과학기술, 즉 기술에 의한 복제 수단이나 멀티미디어, 그리고 오늘날 디지털 기술에 이르기까지 시각 이미지의 광범위한 기술적 적용과 관계가 깊다. 시각 예술에서 미디어라는 용어가 일반화된 것은 적어도 미디어가 더 이상 낯설지 않은 표현 도구로서 자리를 차지하게 된 디지털 시대의 산물이기 때문이다. 진자연, 「미디어아트의 현대적 해석」, 『프랑스문화예술연구 봄호』제 23집, 프랑스문화예술연구, 2008, p. 754에서 재인용 - 이용우, 「매체랩과 매체오페라」, 『현대미술학 논문집』제 4호, 문예마당, 2000, p. 7
이처럼 예술에서의 미디어란 현대미술의 영역에서 소재의 개념으로 등장하는 아날로그와 디지털 이미지, 영상 예술이나 영상문화 전반을 일컫는다. 이러한 예술에서의 미디어는 기호학적 요소, 즉 예술의 시각적 존재 이유를 설명하는 관건으로서의 재료를 일컫는다. 이는 맥루한(Marshall Mcluhan)의 “미디어는 메시지이다(Medium is message)”라는 매체 중심적 사고와 관련이 있다고 할 수 있는데, 이 같은 메시지의 전달은 이미지를 바탕으로 모든 대상을 일종의 기호체계로 전환하는 것에 중점을 둔다. 뿐만 아니라 인간이 환경에 대해 적응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미디어를 통해 이미지를 창조하는 역할을 하기도 한다. 진자연, 「미디어아트의 현대적 해석」, 『프랑스문화예술연구 봄호』제 23집, 프랑스문화예술연구, 2008, p. 754-755

그렇다면 미디어를 재료로 하는 아트 즉, 미디어 아트를 우리가 조금이라도 짚고 넘어가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이 답변은 진중권의 책 『미디어 아트』 진중권 엮음, 『미디어 아트 - 예술의 최전선』, 휴머니스트, 2009
의 소개 글로 대신하고자 한다.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